• 제목/요약/키워드: Flood control capacity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1초

베이즈 이론을 활용한 적정 하천설계빈도 결정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Return Period for River Design using Bayes Theory)

  • 류재희;이진영;김지은;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793-800
    • /
    • 2018
  • 본 연구는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홍수재해에 대비하고 안정적인 치수대책 수립을 위하여 공학적 판단에 근거한 하천의 적정 설계빈도 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방하천의 설계빈도는 하천의 중요도 및 지역특성에 따라 최소 50년부터 최대 200년까지 설정되고 있으나, 적용범위가 넓어 하천의 지형적, 치수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하천의 적정 설계빈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7개의 평가인자(시가화 침수면적, 유역면적, 형상계수, 하도경사, 수계 및 하천차수, 배수영향구간, 이상강우 발생빈도)에 대하여 베이즈 이론을 적용하여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또한,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피해잠재능을 산정하였고, 시군구별 잠재능을 구분하여 적정 설계빈도를 결정하였다. 충청남도 382개 지방하천에 대하여 현행 설계빈도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382개의 현행 하천설계빈도보다 상향되는 하천은 65개 하천으로 상대적으로 시가화 침수면적이 크게 산정되고 홍수피해잠재능이 큰 지역의 하천이며, 하향되는 하천은 169개로 분석되었다.

이수측면에서 평화의댐 활용방안 연구 (Utilization of Peace Dam for Conservation Purpose)

  • 이재응;임동선;이종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8호
    • /
    • pp.653-66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평화의댐을 화천댐과 연계운영하여 치수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이수측면에서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평화의댐은 2003년 2단계 축조공사 완료후 현재 댐 마루표고가 EL.225m에서 증축될 계획이어서 담수능력이 증가될 것이다. 만일 평화의댐 저수용량이 증대되고 수문이 설치된다면 치수뿐만 아니라 이수 측면에서도 한강수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운영 기법을 사용하여 평화의댐 상시만수위 변화, 화천댐 하절기 제한수위의 변화, 그리고 평화의댐으로 유입되는 유입량의 변화를 다양하게 고려한 저수지 운영을 실시하여, 신뢰도 95%시 화천댐 연평균발전량, 상시발전량, 용수공급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평화의댐 상시만수위와 화천댐 제한수위 증대시 발전량은 증가하나 유입량 감소시에는 발전량에 크게 변화를 미치지 않았다. 용수공급능력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유입량 감소시 약 35∼40%가량 감소하므로 일정수준을 유지하려면 평화의댐을 증고하여 상시만수위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랜덤포레스트 회귀모형을 적용한 도시지역에서의 실시간 침수 예측 (Real-time flood prediction applying random forest regression model in urban areas)

  • 김현일;이연수;김병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spc1호
    • /
    • pp.1119-1130
    • /
    • 2021
  • 불안정한 기후와 함께 나타나는 국지적 집중호우로 인한 도시 침수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나, 강우량을 포함한 기상정보 현황 또는 예보정보를 활용하여 공간적인 도시홍수 예측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는 아직 마련되지 못한 상황이다. 공간적인 홍수정보는 하천의 제방, 도시 하수관거의 통수능, 저류지, 펌프시설과 같은 구조물적 대책에 어려움이 있을 시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홍수상황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강수량, 도시 유역에 대한 2차원 침수해석 결과, 그리고 기계학습 모형 중 하나인 랜덤포레스트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도시유역에 대한 침수지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유역은 내수침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울산시 우정태화지구로 선정하였다. 지속시간 6시간의 총강우량 50 mm, 80 mm 그리고 110 mm 대한 랜덤포레스트 회귀분석 예측 침수면적과 검보정된 2차원 물리모형의 침수해석 결과 비교시 각각 63%, 80%, 그리고 67%의 적합도를 보여주어, 빠른 시간안에 발생하는 도시 침수에 대한 대응, 대피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기존 다목적댐의 홍수대응 능력 향상 방안 (Strategy of Flood Control Capacity Enhancement on Existing Multipurpose Dams to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 김우구;유태상
    • 기술사
    • /
    • 제44권2호
    • /
    • pp.23-28
    • /
    • 2011
  • 기상이변 현상이 잦아지면서 강우의 시공간적 분포가 긴 세월동안 정상성(Stationary)을 가진다고 가정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 이러한 인식에 본고를 통해서 수공구조물, 특히 다목적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대책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 PDF

Maximizing of hydropower generation of Hwacheon Reservoir using HEC-ResPRM model

  • Karimizadeh, Keivan;Choi, Changwon;Yi, Jaeeung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9-219
    • /
    • 2015
  • Hwacheon Reservoir is one of the reservoirs, which are located on the North Han River in South Korea. Construction of this reservoir was started in 1939 and completed in 1944. At the upstream of this reservoir there are Peace Reservoir, which is located in South Korea and Imnam Reservoir, which is located in North Korea. After construction of Imnam Reservoir, inflow regularity of Hwacheon Reservoir was changed and inflow of Hwacheon Reservoir also, was decreased. Peace Reservoir is used to decrease flood and damage at downstream due to unexpected release from Imnam Reservoir. This reservoir also, has a special role to regulate inflow of Hwacheon Reservoir. Hwacheon Reservoir has an important role for hydropower generation and flood control. Capacity and maximum discharge capacity of Hwacheon Reservoir are 1018 million $m^3$ and $9500m^3/s$, respectively. This reservoir has four generators to produce power and it is one of the important reservoirs for hydropower generation in South Korea. Due to the important role of this reservoir in generating power, maximization of hydropower generation of this reservoir is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is purpose, HEC-ResPRM model was applied in this study. HEC-ResPRM is a useful and applicable model to operate reservoirs and it gives optimal value for release to maximize power by minimizing penalty functions. In this study, after running the model, amount of release was optimized and hydropower generation was maximized by allocating more water for hydropower release instead of spillway release. Also, the model increased release in dry period from October to June to prevent high amount of release in flood season from July to September.

  • PDF

2개의 하천이 합류하는 하구역에서의 연결수로 통수능에 따른 홍수위저감효과 분석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 by Applying the Connecting Channel in Estuary Area Including the Confluence of Two Rivers)

  • 김수영;김형준;윤광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2호
    • /
    • pp.1065-1075
    • /
    • 2015
  • 하구둑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된 하구역에서는 상류로부터 내려온 하천수와 외해의 조석, 수문의 운영에 따라 복잡한 유출특성을 가지게 되며, 하나의 하구역에 2개 이상의 유역출구가 존재하는 경우 더욱 복잡한 형태의 홍수유출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사례로 현재 개발계획이 수립중인 새만금 지역을 들 수 있다. 새만금 지역의 경우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에서 하천수가 유입되고 방조제에서는 배수갑문을 통해 하천수를 방류하고 해수유입을 차단한다. 두 하천이 만나는 새만금호 내에는 분리하는 용지가 들어서게 되며, 두 수계의 유출량을 연결수로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계획되고 있다. 이러한 연결수로는 평소에는 주운의 역할을 하지만 홍수시에는 두 수계간의 홍수를 소통시켜 홍수를 분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하구역 내의 치수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연결수로에 대한 홍수분담능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수로의 통수능에 따른 홍수위 저감효과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해석에는 Delft3D를 활용하였으며 해석기간은 배수갑문의 방류가 어려워 최대홍수위가 발생되는 소조기로 설정하였다. 새만금종합개발계획상의 토지이용계획에서는 3개의 연결수로가 계획되어 있으나 연결수로에 의한 홍수위저감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해석을 단순화하여 가장 폭이 넓은 수로 1개만 운영되도록 설정하였다. 연결수로의 폭은 동일하게 하고 하상고를 EL.-15m~EL.-3m까지 2m 단위로 변화시켜 다양한 통수능 조건에서의 홍수저감효과를 검토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연결수로의 통수능이 감소하면 두 수계간의 수위차가 증가하면서 배수갑문지점에서의 최대수위도 증가하며, 동일한 수위차라 하더라도 통수단면적에 따라 유속의 영향으로 홍수위 저감효과도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통수단면적이 증가하더라도 홍수위 저감효과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통수단면적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연결수로 설계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준설로 인한 공사비를 최소화하면서 홍수위 저감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 연결수로를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지도를 활용한 홍수터 복원 구역 선정 및 홍수완충공간의 홍수 저류효과 분석 (Determination of Floodplain Restoration Area Based on Old Maps and Analysis on Flood Storage Effects of Flood Mitigation Sections)

  • 이동진;지운;김상혁;안홍규;장은경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2호
    • /
    • pp.40-49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홍수의 피해를 저감하면서 동시에 자연친화적 수변구역의 홍수완충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제방이 건설되기 이전의 홍수범람 범위와 하천구역을 참조하여 홍수터 복원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상구간에 대해 고지도를 활용하여 홍수터 복원가능 공간의 입지 선정 방법을 제안하고 홍수터를 홍수완충공간으로 활용할 경우 홍수위 저감 효과를 부정류 수치모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고지도를 활용하여 하천구역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19년에 비해 2020년 하천구역 면적이 단계적으로 총 27.8% 감소 (1,059,380 m2)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과거 홍수범람 구역이었던 제내지를 offline 저류지로 복원할 경우 2,200,868 m3의 유효 저류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HEC-RAS 부정류 모의를 통해 분석한 홍수위와 홍수량 조절 효과는 대상구간의 하류 단면에서 16 cm와 219.01 m3/s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수치모의에는 홍수완충공간이 offline 저류지 형식으로 적용되었으며, 제방 후퇴/이설을 통한 홍수터의 확대가 적용될 경우 홍수위 저감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위험도제약(危險度制約) 선형계획법(線形計劃法)에 위한 홍수기(洪水期) 저수지운영(貯水池運營) (Reservoir Management in Flood Period with Chance Constrained LP)

  • 이길성;강부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39-151
    • /
    • 1992
  • 유입량의 분포에 따른 가변(可變) 제한수위(制限水位)아래서 홍수기(洪水期) 저수지 이수운영(利水運營)모형을 수립하였다. 사용된 최적화모형은 방류량(放流量)의 기대방류량(期待放流量)으로부터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모형과 홍수조절용량을 최소화하는 위험도제약(危險度制約) 선형계획법(線形計劃法)(CCLP)모형(模型)의 2가지 부모형(副模型)으로 구성되어 있다. 확정론적 등가식을 만들기위해 유입량의 분포는 2모수(母數) 대수정규분포(對數正規分布)를 가정하였으며 모수(母數)는 최우추정법(最尤推定法)에 의하여 구하였다. 모형은 소양강(昭陽江)댐과 충주(忠州)댐의 홍수기 운계운영(運繫運營)에 적용되었다. 그 결과 소양(昭陽)이 충주(忠州)보다 상대적으로 큰 규모의 홍수사상에 대하여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가변제한수위(可變制限水位)를 이용한 운영은 일률제한수위(一律制限水位)의 운영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충주(忠州)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유입홍수량이 큰 시구간의 방류형태는 홍수량의 규모를 줄이는 조절효과와 지체효과를 보이며, 갈수시에는 상대적으로 실제보다 많은 방류를 하는 형태를 보인다.

  • PDF

Analyzing on the cause of downstream submergence damages in rural areas with dam discharge using dam management data

  • Sung-Wook Yun;Chan Yu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3호
    • /
    • pp.331-347
    • /
    • 2023
  • The downstream submergence damages caused during the flood season in 2020, around the Yongdam-dam and five other sites, were analyzed using related dam management data. Hourly- and daily-data were collected from public national websites and to conduct various analyses, such as autocorrelation, partial-correlation, stationary test, trend test, Granger causality, Rescaled analysis, and principal statistical analysis, to find the cause of the catastrophic damages in 2020. The damage surrounding the Yongdam-dam in 2020 was confirmed to be caused by mis-management of the flood season water level. A similar pattern was found downstream of the Namgang- and Hapcheon-dams, however the damage caused via discharges from these dams in same year is uncertain. Conversely, a different pattern from that of the Yongdam-dam was seen in the areas downstream of Sumjingang- and Daecheongdams, in which the management of the flood season water level appeared appropriate and hence, the damages is assumed to have occurred via the increase in the absolute discharge amount from the dams and flood control capacity leakage of the downstream river. Because of the non-stationarity of the management data, we adapted the wavelet transform analysis to observe the behaviors of the dam management data in detail. Based on the results, an increasing trend in the discharge amount was observed from the dams after the year 2000, which may serve as a warning about similar trends in the future. Therefore, additional and continuous research on downstream safety against dam discharges is necessary.

XP-SWMM을 이용한 도시하천에서의 홍수소통능력 평가 (Assessment of Flood Flow Conveyance for Urban Stream Using XP-SWMM)

  • 홍준범;김병식;서병하;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2호
    • /
    • pp.139-150
    • /
    • 2006
  • 최근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유역 내 불투수 면적의 증가는 자연유역에 비해 짧은 도달시간과 높은 첨두 홍수량을 유발하여 도시홍수 피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홍수피해를 저감시키고자 구조물적 또는 비구조물적 홍수방어 대책들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인 굴포천 유역은 유역 내의 유출 특성이 아닌 하류의 한강 외수위 조건에 의해 잦은 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고자 폭 20m의 임시 방수로를 폭 80m로 확장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도시 유출 모형의 하나인 EPA의 SWMM 모형을 근간으로 하는 XP-SWMM모형을 이용해 굴포천 방수로 확장에 따른 홍수소통능력을 분석하였다. 재현기간 100년인 설계 강우와 동일한 조위 조건 하에서 개수전과 후에 대한 수위와 유량을 비교하였으며, 분석결과 개수전 상황이 개수후에 비해 통과 유량이 1/3임에도 불구하고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개수후 상태에서 모의한 결과 방수로 분기점에서 자연 분류시킬 경우 최고 $300m^3/sec$ 가까운 유량이 방수로 방향으로 역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방수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굴포천 하류로부터 방수로로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수리 시설물의 설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