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c breakag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Formation, Breakage and Reformation of Humic Flocs by Inorganic and Organic Coagulants

  • Kam, Sang-Kyu;Lee, Min-Gyu;Kang, Kyung-Ho;Xu, Mei-L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5-285
    • /
    • 2008
  • The floc formation, breakage and reformation of humic acid by inorganic (alum and PAC) and organic coagulants (cationic polyelectrolytes) at several conditions (pH, ionic strength and floc breakage time) were examined and compared among the coagulants at different conditions using a continuous optical monitoring method, with controlled mixing and stirring conditions. For alum, the shapes of formation, breakage and reformation curves at different pH (5 and 7) were different, but the shapes and the sizes of initial floc and reformed floc were nearly the same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electrolytes at pH 7. For PAC, similar shapes of the curves were obtained at different pH and ionic strength, but the sizes were different, except for those of reformed flocs at different pH. However, for these coagulants, reformed flocs after floc breakage, occurred irreversibly for all the conditions used in this study. For organic coagulants, the time to attain the initial plateau floc size, the extent of floc strength at high shear rate and reversibility of reformed floes were different, depending floc formation mechanism. Especially, for the cationic polyelectrolyte forming humic flocs by charge neutralization or electrostatic patch effect mechanism, reformed flocs occurred reversibly, regardless of pH and floc breakage time, but occurred irreversibly in the presence of electrolytes.

막결합형 활성슬러지 시스템에서의 막오염 유발 인자 (Factors Affecting Membrane Fouling in Membrane Filtration of Activated Sludge)

  • 장인성;이정학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23-329
    • /
    • 2000
  • 막결합형 활성슬러지 공정은 막오염으로 인한 플럭스 감소 때문에 시스템의 경제성과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막오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외여과막과 결합된 활성슬러지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막오염 유발 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활성슬러지 공정의 운전 초기에 급격한 플록 크기 감소와 동시에 급격한 플럭스 감소가 관찰되었다. 초기 플럭스 감소현상은 활성슬러지 플록의 입자 크기 감소로 인한 케이크 저항의 증가가 주요 원인이었다. 이것은 운전시간에 따른 각 여과 저항값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플록 해체로 인하여 EPS 양이 운전 전보다 약 150 % 가량 증가한 것을 볼 때 EPS 양의 증가가 케이크 저항 증가의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Fractal Nature of Magnetic Colloidal Dispersion with Cobalt Iron Oxide and Metal Iron Particles

  • Yoon, Kwan Han;Lee, Young Sil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25-131
    • /
    • 2022
  • The microstructure of highly aggregated colloidal dispersions was investigated by probing the rheological behavior of magnetic suspensions. The dynamic moduli as functions of frequency and strain amplitude are shown to closely resemble that of colloidal gels indicating the formation of network structure. The two types of characteristic critical strain amplitudes, γc and γy, were characterized in terms of the changing microstructure. The amplitude of γc indicates the transition from linear to nonlinear viscoelasticity and depends only on particle volume fraction not magnetic interactions. The study of scaling behavior suggests that it is related to the breakage of interfloc, i.e., floc-floc structure. However, yielding strain, γy, was found to be independent of particle volume fraction as well as magnetic interaction. It relates to extensive deformation resulting in yielding behavior. The scaling of elastic constant, Ge, implies that this yielding behavior and hence γy is due to the breakage of long-range interfloc interactions. Also, the deformation of flocs due to increase strain was indicated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fractal nature.

생체고분자물질 농도와 이온강도에 따른 점토입자 현탁액의 응집핵-응집체 이군집 응집 특성 연구 (Investigation on Flocculi-floc Interaction and Flocculation in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Ionic Species and Clay-containing Suspension)

  • 김재인;이병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5-193
    • /
    • 2020
  • Bimodal flocculation describes the aggregation and breakage processes of the flocculi (or primary particles) and the flocs in the water environment. Bimodal flocculation causes bimodal size distribution with the two separate peaks of the flocculi and the flocs.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and ionic species common in the water environment increase the occurrence of bimodal flocculation and flocculi-floc size distribution, under the flocculation mechanisms of electrostatic attraction and polymeric bridging. This study investigated bimodal flocculation and flocculi-floc size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concentration and ionic strength in the kaolinite-containing suspension. The batch flocculation tests comprising 0.12 g/L of kaolinite showed that the highest flocculation potential occurred at the lowest xanthan gum (as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concentration, under all the ionic strengths of 0.001, 0.01, and 0.1 M NaCl. Also, it was important to note that the higher ionic strength resulted in the higher flocculation potential, at all the xanthan gum concentrations. The bimodal flocculation and flocculi-floc size distribution became apparent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had low and intermediate flocculation potential. Besides the polymeric bridging flocculation, steric stabilization increased the flocculi mass fraction against the floc mass fraction, thereby developing the bimodal size distribution.

난류조건에서의 점착성 유사 이군집 응집 모형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Two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 for Predicting the Bimodal Flocculation of Cohesive Sediments in Turbulent Flow)

  • 이병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3호
    • /
    • pp.233-243
    • /
    • 2015
  • 이군집 응집현상은 수자원환경에서 점착성 유사가 결합-해체의 과정을 통해 응집핵-응집체의 이군집 입자크기분포 (Biomodal Floc Size Distribution)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저난류 및 고난류 두 가지 조건에서 수행한 응집-침전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이군집 응집모형(TCPBE: Two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의 적용성을 단일군집 응집모형(SCPBE: Single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 및 다군집 응집모형(MCPBE: Multi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과 비교 평가하였다. 기존 SCPBE에 비하여, TCPBE는 응집핵-응집체의 상호작용 및 침강속도차에 따른 응집 기작을 모의할 수 있었다. 또한, 3개의 연립미분방정식을 가진 TCPBE는 30개 미분방정식을 가진 다군집 응집모형(MCPBE: Multi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과 대등한 모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TCPBE는 이군집 응집현상을 모의 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모델로 검증되었고, 향후 수자원환경이나 수처리 공정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응집-정밀여과에 의한 도시하수의 처리 (The Treatment of Domestic Wastewater by Coagulation-Crossflow Microfiltration)

  • 심주현;김대환;서형준;정상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81-589
    • /
    • 2005
  • 최근, 하 폐수 처리에 있어서 처리수의 보다 나은 수질과 엄격한 기준의 만족을 위해 기존의 공정외에 덧붙여 막분리 공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처리 과정에서 막분리 공정의 사용은 막의 막힘 현상과 용존 유기오염물 제거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막분리 공정에 응집제 alum과 PAC을 이용한 응집공정을 첨가하여 막 투과유속과 처리효율을 증가시켰다. 그리고 응집제 주입효과와 최적운전조건은 투과유속, 누적부피, 막의 총저항, 입자크기, 용존성 유기오염물, 용존성 알루미늄, 처리수의 수질을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alum 응집에 비교해 PAC 응집은 큰 입자를 형성하여 여과 매체의 막힘현상을 줄이고 높은 투과유속과 누적 부피량을 보였다. 또한 PAC 응집에서 낮은 용존 유기오염물과 용존성 알루미늄은 투과유속 감소율을 낮추었다. $0.2\;{\mu}m$ 막 사용시 케이크여과의 모습을 보였으며, $0.45\;{\mu}m$ 막 사용시 순환운전으로 인한 플럭 깨짐 현상으로 공극보다 작은 플럭의 투과가 발생하여 투과유속이 계속 감소하고 막의 총저항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PAC과 alum 모두 약 $300{\pm}50\;mg/L$가 최적 응집주입량이었으며, PAC 응집과 $0.2\;{\mu}m$ 막 사용시 처리 효율이 가장 높고, $0.45\;{\mu}m$ 막 사용시 투과수량이 가장 많았다. 처리 효율은 탁도 99.8%, SS 99.9%, $BOD_5$ 94.4%, $COD_{Cr}$ 95.4%, T-N 54.3%, T-P 99.8%이었다.

진양호소수의 효과적인 정수처리를 위한 최적응집제 주입량 결정 -콜로이드성 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응집제 주입효과- (Determination of Optimun Coagulant Dosage for Effective Water Treatment of Chinyang Lake -The Effect of Coagulant Dosing on Remoaval of Colloidal Pollutants-)

  • 이원규;조주식;이홍재;허종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61-772
    • /
    • 1998
  • 상수원수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최적 응집제 주입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수원수의 콜로이드성 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Alum, PAC 및 PACS의 응집제 주입량별 탁도제거 및 원수특성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저 잔류탁도를 나타내는 최적 응집제 주입량은 원수의 탁도가 5NTU인 경우 Alum은 35mg/ι, PAC은 30mg/ι 및 PACS는 10mg/ι이었고, 원수의 탁도가 10NTU인 경우 Alum은 30mg/ι, PAC은 25mg/ι 및 PACS는 10mg/ι이었으며, 이때 침전시간 4분 및 8분대의 탁도제거율은 원수탁도 5NTU인 경우 Alum은 10 및 72%, PAC은 44 및 62%, PACS는 25 및 55%였고, 원수탁도 10NTU인 경우에는 Alum은 52 및 70%, PAC는 90 및 95%, PACS은 10 및 28%였다. PAC이 Alum 및 PACS에 비하여 floc형성속도와 침강성이 우수하고 탁도제거율도 높게 나타나 침전지내급수량 변동이 심하고 표면부하율이 과부하일 경우 PAC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원수의 탁도별 응집제 주입량에 따른 pH 및 알칼리도는 응집제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되었으나 각 응집제 최대 주입량에서 pH는 음용수 수질기준인 pH 5.8이하로는 감소되지 않았으며, 알칼리도도 재탁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10mg/ι 이하로는 감소되지 않았다. 처리수준 잔류 Al은 원수탁도 5 및 10NTU인 경우 Alum과 PAC은 그 주입량이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갈수록 잔류탁도가 감소함으로써 잔류 Al도 감소하였으나 PACS는 잔류탁도가 증가하는 주입량에서도 잔류 Al은 감소하였다. 수중 KMnO$_4$ 소비량은 응집제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되었으며, 최저 잔류 탁도를 나타내는 최적 응집제 주입량에서의 KMnO$_4$ 소비량 감소율은 원수탁도 5NTU일 경우 PAC 39%, Alum 18% 및 PACS 11%였으며, 10NTU일 경우에는 PAC 42%, Alum 27% 및 PACS 36%로서 전반적으로 탁도제거율과 KMnO$_4$소비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 TOC는 응집제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씩 감소되었으나 응집제 주입량 30mg/ι 이후부터는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감소되는 정도는 PACS >PAC >Alum순이었다. 최저 잔류탁도를 나타내는 최적 응집제 주입량에서의 Zeta potential은 원수탁도가 5NTU일 경우 Alum, PAC 및 PACS 모두 -20mV∼-15mV사이였으며, 원수 탁도가 10NTU인 경우에는 0∼0.5mV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응집제 종류 및 주입량이 상이하더라도 응집효율이 가장 양호한 상태에서의 Zeta potential은 일정한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