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anono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목재(木材) 접착제(接着劑) 제조(製造)를 위한 아까시나무 타닌의 구조규명(構造糾明)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Robinia pseudacacia L. Flavonoids for Wood Adhesive Formulation)

  • 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0권1호
    • /
    • pp.79-85
    • /
    • 1992
  • 아까시나무로부터 두종류의 flavanone인 7, 3', 4' - trihydroxy flavanone과 3, 7, 3', 4', 5' - pentahydroxy flavanonol이 단리되어 $^{13}C$ NMR에 의해 구조가 규명되었다. flavanone은 resorcinol A-ring과 Catechol B-ring으로, flavanonol은 resorcinol A-ring 및 pyrogallol B-ring으로 구성되고 있다.

  • PDF

내후성 활엽수종인 아까시나무 목질부와 현사시나무 수피의 추출성분 (Extractives of the Wood of Black Locust and the Bark of Poplar as Decay-Resistant Hardwood Tree Species)

  • 배영수;함연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52-61
    • /
    • 2000
  • 아까시나무와 현사시나무를 채취, 건조하고 아세톤-물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한 후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및 물 분획으로 분류하고 동결건조하여 갈색 분말로 조제하였다. 각각의 분획은 메탄올-물 및 에탄올-헥산의 혼합용액으로 Sephadex LH-20 칼럼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아까시나무의 목질부 추출성분은 (+)-leucorobinetinidin과 같은 flavan 화합물과 robtin, dihydrorobinetin 및 robinetin 등의 flavanonol 화합물을 포함하며 현사시나무의 수피 추출성분은 (+)-catechin과 naringenin, eriodictyol, sakuranetin, aromadendrin 및 taxifolin 등의 후라보노이드 화합물, 그리고 살리신 유도체인 salireposide 및 소량의 aesculin과 쿠마린산 등 다양한 종류의 페놀성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aesculin은 현사시나무의 수피 조성분에서는 아직 우리 나라에서 보고되지 않았다. 단리된 페놀성 성분의 구조 분석을 위하여 NMR 및 FAB-MS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화분의 추출성분 (Extractives from Pollen)

  • 이상극;김진규;함연호;박재군;배영수
    • 임산에너지
    • /
    • 제22권1호
    • /
    • pp.30-36
    • /
    • 2003
  • 화분을 98%의 EtOH로 추출하고 hexane, CH₂Cl₂, EtOAc, 그리고 H₂O용성으로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그 중에서 EtOAc 분획을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MeOH와 EtOH-hexane혼합액을 용리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NMR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규명을 하였고 FAB-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주로 quercetin-3-O-β-D-glucopyranoside와 kaempferol-3-O-β-D-rutinoside같은 flavonol 유도체들과 flavanonol계 화합물인 aromadendrin-5-methyl ether, 그리고 acid 화합물인 p-methoxybenzoic acid가 적은 양으로 단리 되었다.

  • PDF

Phenolic Compounds from Barks of Ulmus macrocarpa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 Kwon, Young-Min;Yeom, Seung-Hwan;Kim, Min-Ki;Lee, Jae-Hee;Lee, Min-W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76.1-376.1
    • /
    • 2002
  • Phytochemical examination of Barks of Ulmus macrocarpa isolated two flavanone, three flavanonol, three flavan 3-ol and one procyanidin compounds. We also determin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se compounds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 Three flavan 3-ol (catechin, epicatechin and catechin-7-O-$\beta$-O-xylopyranoside) and procyanidin B1 showed significant antioxidative activity. (omitted)

  • PDF

Chemotaxonomic Significance of Taxifolin-3-O-Arabinopyranoside in Rhododendron Species Native to Korea

  • Kim, TaeHee;Kwon, Ye Eun;Park, Sun Min;Kim, Min Seok;Jeong, Young Hwan;Park, Se Yeong;Bae, Young-Soo;Cheong, Eun Ju;He, Yi-Chang;Gong, Chun;Gao, Wei;Kim, Hee Kyu;Ham, Yeon Ho;Kim, Jin-Kyu;Choi, Sun E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3호
    • /
    • pp.159-173
    • /
    • 2022
  • Genus of Rhododendron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since ancient times and is known to be effective in immune function, inflammation, and cold symptoms. And the reason for this activity is the flavanonol type among flavonoids in the genus of Rhododendron. Among the flavanonol types, Taxifolin-3-O-arabinopyranoside was isolated from the root of native R. mucronulatum in Korea, and the structure was finally identified through HPLC, LC-MS/MS, 1H-NMR, and 13C-NMR. Taxifolin-3-O-arabinopyranoside is a compound mainly found in R. mucronulatum, a representative species of the genus of Rhododendron, and exhibit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atopic activities. In this study, Taxifolin-3-O-arabinopyranoside was chemotaxonomic significant in 5 species of the genus Rhododendron native to Korea (R. mucronulatum, R. mucronulatum var. ciliatum, R. schlippenbachii, R. yedoense var. Poukhanense, R. japonicum for. Flavum). Compared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Taxifolin-3-O-arabinopyranoside was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in 4 species of Rhododendron except for the R. mucronulatum.

Phenolic Compounds from Desmodium caudatum

  • Li, Wei;Sun, Ya Nan;Yan, Xi Tao;Yang, Seo Young;Choi, Chun Whan;Kim, Young H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215-220
    • /
    • 2013
  • Three C-glucosyl flavones (1 - 3), one xanthone (4), and four flavanonols (5 - 8) were isolated by various chromatographic methods from the leaves and stems of Desmodium caudatum (Thunb.) DC.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lucidated by 1D and 2D NMR and mass spectroscopy. Th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swertisin (1), spinosin (2), 7-methyl-apigenin-6-C-${\beta}$-glucopyranosyl-2"-O-${\beta}$-D-xylopyranoside (3), 1,3,5,6-tetrahydroxyxanthone (4), yokovanol (5), aromadendrin (6), 2'-hydroxy yokovanol (7), and 2'-hydroxy neophellamuretin (8). Compounds 2 - 4 were first isolated from D. caudatum, as well as the spectroscopic data for compound 3.

고내후성 활엽수종의 추출성분을 이용한 신기능성 물질의 분리 및 생리활성 (Bioactivities and Isolation of Functional Compounds from Decay-Resistant Hardwood Species)

  • 배영수;이상용;오덕환;최돈하;김영균
    • 임산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93-101
    • /
    • 2000
  • 아까시나무의 목질부와 현사시나무, 물푸레나무 및 느릅나무의 수피를 채취하여 아세톤-물 혼합용액(7:3, v/v) 으로 추출한 후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및 수용성으로 분획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조제한 후 메탄올-물 등의 용리용매로 Sephadex LH-20 칼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물푸레나무에서는 aesculitin 및 그 파생물인 fraxetin 등 다량의 쿠마린 화합물과 에스테르화합물을 단리하였으며, 느릅나무로부터 C-7에 xylopyranose와 apiofuranose와 같은 5탄당이 결합된(+)-catechin 배당체 화합물과 procyanidn B-3를 단리하였다. 아까시나무에서는 leucorobinetinidin의 C-4에 ethoxyl 기가 결합된 flavan 유도체 화합물과 robinetin 등의 flavanonol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현사시나무에서는 taxifolin 등의 후라보노이드 화합물과 배당체인 sakuranetin-5-O-glucopyranoside를 단리하였으며 살리신 유도체인 salireposide 등을 단리하였다. 내후성 시험에서는 목재블록에 부후균을 접종하여 배양한 후 중량감소를 측정하는 방법과 목분-agar 배지에 부후균을 접종한 후 균사의 생장 직경을 측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아까시나무가 다른 시룓르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메탄올 추출머리를 하지 않은 시료가 처리한 시료보다 좋은 균사생장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 시험에서는 물푸레나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아까시나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도 비교적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 두 분획으로부터 단리된 주요 단리화합물에 대해서는 물푸레나무의 aesculetin이 가장 높았으며 아까시나무의 robinetinidin도 비교적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나 틈새시장(niche market) 마케팅 등에 적용 가능하리라 여겨진다.된다.다.산물로 판단되었다.징하며 WLWQ에 적용되는 몇 가지 제약을 관찰하고 이를 일반적인 언어원리로 설명한다. 첫째, XP는 주어로만 해석되는데 그 이유는 XP가 목적어 혹은 부가어 등 다른 기능을 할 경우 생략 부위가 생략의 복원 가능선 원리 (the deletion-up-to recoverability principle)를 위배하기 때문이다. 둘째, WLWQ가 내용 의문문으로만 해석되는데 그 이유는 양의 공리(the maxim of quantity: Grice 1975) 때문이다. 평서문으로 해석될 경우 WP에 들어갈 부분이 XP의 자질의 부분집합에 불과하므로 명제가 아무런 정보제공을 하지 못한다. 반면 의문문 자체는 정보제공을 추구하지 않으므로 앞에서 언급한 양의 공리로부터 자유롭다. 셋째, WLWQ의 XP는 주제어 표지 ‘는/-은’을 취하나 주어표지 ‘가/-이’는 취하지 못한다(XP-는/-은 vs. XP-가/-이). 이는 IP내부 에 비공범주의 존재 여부에 따라 C의 음운형태(PF)가 시성이 정해진다는 가설로 설명하고자 했다. WLWQ에 대한 우리의 논의가 옳다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기닌다. 첫째, WLWQ의 존재는 생략에 대한 두 이론 즉 LF 복사 이론과 PF 삭제 이론 중 전자의 입장을 지지한다. 둘째, WP를 XP로부터 복원할 때 부분 자질만 복사된다. 이는 어휘가 통사층위로 들어온 이후에도 어휘 자질들이 완전히 동결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지시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ance and stress, and high threshold voltage. Besides, sheet resistance and stress value, rms(root mean square) by AFM were observed. On the electric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