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p valv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3초

알루미늄 플랩 밸브와 상변화 구동 마이크로 펌프의 제작 (The fabrication of a micro pump with a flap valve and a phase change actuator)

  • 이상우;심우영;양상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C
    • /
    • pp.1023-1025
    • /
    • 1998
  • This paper presents the fabrication of a micro pump consisting of a pair of Al f1ap wave and a phase change actuator. The phase change actuator is composed of a heater, a silicone rubber diaphragm and a working liquid chamber. The diaphragm is actuated by the evaporation and the condensation of the working liquid. The actuator pumps fluid through the valves. The micro pump is fabricated by the anisotropic etch, the boron deposition and the metal evaporation. The forward and the backward flow characteristics of the f1ap valves were obtained. Also, the flow rate of the micro pump has been measured. When the square wave input of 12 V, 60% duty ratio and 0.2 Hz is applied, the average flow rate is $0.15{\mu}{\ell}/sec$ for zero pressure difference.

  • PDF

KMRR의 열수력학적 설계를 위한 실증실험

  • 임인철;김헌일;이보욱;이지복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343-352
    • /
    • 1993
  • 다목적연구로(KMRR)는 일반 발전용 원자로와는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설계 개념 또한 특이하다. 위와 같은 특이한 설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열수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시운전 시험도 설계 개념의 입증에 중점을 두고 수행될 예정이다. 실증실험은 크게 설계 자료 생산을 위한 실험, 기기 설계 검증 시험, 시운전 성능 시험으로 나눌 수 있다. 설계 자료 생산을 위한 실험으로 핵연료의 열수력학적 특성을 규명하는 실험, 우회 유동에 의한 노심 출구 냉각수 상승 억제를 입증 또는 해석하기 위한 자료 생산용 실험 등이 이루어졌다. 기기 설계 검증 시험으로는 Pump 특성 시험, Flap valve 특성 시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운전 성능 시험으로는 설계 개념을 입증하기 위한 여러 시험들이 행해질 예정이다. 이러한 실험들을 통하여 설계에 필요한 많은 자료들이 생산되었고, 시운전 시험을 통하여 설계를 검증하고 실제 운전에 필요한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 기고를 통하여 이러한 실험의 중요성 및 내용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 PDF

항공기용 유압 스푸울 밸브의 윤활해석

  • 박태조;김래성;김치붕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7년도 제25회 춘계학술대회
    • /
    • pp.218-223
    • /
    • 1997
  • 유압장치의 핵심부품인 유압 제어밸브(hydraulic control valve)는 유압펌프 등에 의하여 가압된 유압유의 압력과 유량을 제어하고 유동방향을 변화시키는 주요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대부분의 제어밸브는 스푸울(spool)과 슬리브(sleeve)를 기본구조로 채용하고 있다. 피스톤 형상인 스푸울이 슬리브내를 왕복운동하면 스푸울과 슬리브 사이의 간극(clearance)에서는 점성유체인 유압유의 윤활작용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비대칭인 유체압력이 발생한다. 이 결과로 스푸울에 측력(lateral force)이 작용하며, 조건에 따라서는 스푸울에 작용하며, 조건에 따라서는 스푸울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증대할 뿐만 아니라 스푸울과 슬리브의 내벽에 과도한 마멸(wear)을 유방시키기도 하여 제어밸브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기도 한다. 유압공학분야서는 이를 유체고착(hydraulic locking) 현상이라고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Flap actuator의 Selector manifold에서 사용되는 스푸울 밸브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스프울과 슬리브 사이 간극에서의 윤활특성을 이론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 PDF

과급압력, 배압, 분사 시기 및 분사량에 따른 복합 방식 배기 재순환 시스템 적용 디젤 엔진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 (Optimization of Diesel Engine Performance with Dual Loop EGR considering Boost Pressure, Back Pressure, Start of Injection and Injection Mass)

  • 박정수;이교승;송순호;전광민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36-144
    • /
    • 2010
  •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is an emission control technology allowing significant NOx emission reduction from light-and heavy duty diesel engines. The future EGR type, dual loop EGR, combining features of high pressure loop EGR and low pressure loop EGR, was developed and optimized by using a commercial engine simulation program, GT-POWER. Some variables were selected to control dual loop EGR system such as VGT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performance, especially turbo speed, flap valve opening diameter at the exhaust tail pipe, and EGR valve opening diameter. Applying the dual loop EGR system in the light-duty diesel engine might cause some problems, such as decrease of engine performance and increase of brake specific fuel consumption (BSFC). So proper EGR rate (or mass flow) control would be needed because there are trade-offs of two types of the EGR (HPL and LPL) features. In this study, a diesel engine under dual loop EGR system was optimized by using design of experiment (DoE). Some dominant variables were determined which had effects on torque, BSFC, NOx, and EGR rate. As a result, optimization was performed to compensate the torque and BSFC by controlling start of injection (SOI), injection mass and EGR valves, etc.

The Clinical Outcomes of Damus-Kaye-Stansel Procedure According to Surgical Technique

  • Yang, Chan Kyu;Jang, Woo Sung;Choi, Eun-Suk;Cho, Sungkyu;Choi, Kwangho;Nam, Jinhae;Kim, Woong-Ha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4호
    • /
    • pp.344-349
    • /
    • 2014
  • Background: The Damus-Kaye-Stansel (DKS) procedure is a method for mitigating the risk of systemic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SVOTO).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n which surgical technique shows a better outco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utcome of the DKS procedure according to the surgical technique use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2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the DKS procedure from March 2004 to April 2013. When the relationship of the great arteries was anterior-posterior, the double-barrel technique (group A) was performed. If the relationship was side-by-side, the ascending aortic flap technique (group B) was performed. Results: There was no early mortality and 1 late mortality in group B.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dian peak pressure gradient of preoperative subaortic stenosis in both groups: 14 mmHg (range, 4 to 53 mmHg) in group A and 15 mmHg (range, 0 to 30 mmHg) in group B (p=0.526). Further, a significant postoperative pressure gradient was not observed in either group A or group B. More than moderate postoperative neoaortic regurgitation was observed in 1 patient of group B; this patient underwent neoaortic valve replacement 66 months after the DKS procedure. No one had a recurrent SVOTO during follow-up. Conclusion: The DKS procedure is an effective way to minimize the risk of SVOTO,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outcomes of the DKS procedure according to the surgical technique used.

소아 환자에서 조직확장기 사용의 유용성 (Usefulness of using Tissue Expander in Pediatric Patient)

  • 이준우;박철규;박종림;김용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763-768
    • /
    • 2010
  • Purpose: Reconstruction of soft tissue defect using tissue expander can provide better flap which is more similar to surrounding tissue in color, skin texture and hair compared to other methods. Many pediatric patients need reconstruction of soft tissue defect because of giant congenital nevi, congenital or acquired malformations and burn scars. Reconstruction using tissue expander is adequate to minimize dysmorphism in these patients. We intended to assess outcomes of using tissue expander in pediatric patients by retrospective study. Methods: Total cases were 168 of pediatric patients who received soft tissue reconstruction using tissue expander by the same surgeon from February, 1982 to May, 2009. All patients who received soft tissue reconstruction were under 10 years old. Mean age was 4.3 years old, the youngest 13 months, the oldest 8 years. Eightynine cases were male and 79 cases were female. Most common cause was giant hairy nevi (67 cases, 39.9%), secondary cause was burn scar/scar contracture (61 cases, 36.3%). Trunk (38 cases, 22.6%) was most common anatomical location. Results: Soft tissue defects were successfully covered using tissue expander in 149 cases (88.7%) without major complications. There was infection on 8 cases (4.7%) and we treated by adequate antibiotics in these cases. There were tissue expander folding or valve displacement on 5 cases (3%). Conclusion: Usage of tissue expander is useful on pediatric patients because tissue expansion is rapid on children and there are less secondary contractures on operation site than full thickness skin graft. Because of psychological stress due to tissue expander, operation should be performed before school age.

관상동맥-폐동맥 이상기시증(Anomalous Origin of Coronary Artery from Pulmonary Artery)의 수술적 치료: 중기 성적과 좌심실 및 승모판 기능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Surgical Treatment of Anomalous Origin of Coronary Artery from the Pulmonary Artery: Postoperative Changes of Ventricular Dimensions and Mitral Regurgitation)

  • 강창현;김웅한;서홍주;김재현;이철;장윤희;황성욱;백만종;오삼세;나찬영;한재진;이영탁;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19-26
    • /
    • 2004
  • 배경: 이 논문의 목적은 관상동맥-폐동맥 이상기시증의 수술적 치료의 중기 성적을 확인하고 수술 후 좌심실 기능과 승모판 폐쇄부전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부터 2003년 까지 관상동맥-폐동맥 이상기시증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5명의 환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1998년 이전(9명)에는 다양한 수술방법을 사용하였으나, 1998년 이후(6명)부터는 1) 대동맥과 주폐동맥 양쪽 모두 관류와 심정지액 주입을 시행하였고, 2)관상동맥의 재이식 시 주폐동맥의 일부를 이용하여 도관을 만들어 대동맥에 연결하였고, 그리고 3)승모판 폐쇄부전은 특별한 수술적 교정을 시행하지 않았다. 결과: 대상 환자들의 연령의 중앙값은 6개월(1개월∼34년)이었다. 수술방법은 좌쇄골동맥-좌전행지 문합술이 1예, 좌관상동맥 결찰술이 2예, Takeuchi 술식이 2예, 그리고 관상동맥 재이식술이 10예에서 시행되었다. 평균추적관찰 기간은 5.5 $\pm$ 5.8년(2개월 ∼ 14년)이었으며, 수술 후 조기사망이 1예, 만기사망이 1예에서 발생하여 5년 생존율은 85.6$\pm$9.6%이었다. 수술전 좌심실 이완기말과 수축기말직경은 수술 후 3개월 이내에 의미있게 감소하였고(p<0.05), 수술 전 3도 이상의 의미 있는 승모판 폐쇄부전은 6예(40.0%)에서 관찰되었으나 모두 수술 후 1개월 이내에 2도 이하로 감소하였다. 3예의 환자에서 재수술이 필요하였으며 재수술의 원인은 관상동맥 문합부위의 협착과 승모판 폐쇄부전이었다. 그러나 1998년 이후의 환자군에서는 조기사망, 만기사망, 그리고 재수술 등의 예가 없었다. 결론: 관상동맥-폐동맥 이상기시증은 수술 후 만족할 만한 생존율과 좌심실직경의 감소와 그리고 승모판 폐쇄부전의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관상동맥의 문제가 승모판 폐쇄부전의 재발과 장기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98년 이후 단일화된 수술방침으로 시행한 결과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