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e Spread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초

외장재 설치 공간의 화재확산 차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lock from Spread of Fire of the Exteriors Installation Space)

  • 민세홍;윤정은;김미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3-89
    • /
    • 2012
  • In this study, FDS fire simulation experiments and measured wind speed by applying the exterior installation portion for blocking the spread of the fire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aluminum composite panels installed in the lower and the upper part of the panel to remove all the lower side, and then the maximum wind speed 0.24 m/s and the upper side 0.58 m/s were measured. In the FDS, the measured wind speed difference air currents are approximately 3.7 times in 12 seconds, the occurrence of 17 seconds early moment wind 2.2 m/s was measured from. Before and after the fire occurred in early of the air velocity about 39 seconds was 3.5 times difference. Such air currents caused by the temperature of the building but also by the building height was found. Turbulent flame of fire by expanding the vertical extent of damage become greatly important factor. Therefore, through the exterior installation portion of the block that can delay the spread of fire is expected that this should be taken.

環狀旋回噴流의 燃燒特性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nnular Swirl Jet)

  • 이창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410-416
    • /
    • 1983
  • This study presents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flame structure of annular swirling flow when there were changes the equivalence ratio and swirl number of swirling jet of fuelair mixtu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uring the investigations in which the change of equivalence ratio and swirl number were studied, three basic shapes of flame were observed in this study. Visible flame lengths of swirling jet results in the decrease with increasing of swirl number and air-fuel ratio of mixture. Radial distribution of flame temperature with strong swirl is higher than that of weak swirl at the same equivalence ratio of mixture. The angle of spread of the annular jet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swirl number. When the swirl intensity is increased in a jet, the decay of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de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nozzle exit of burner.

건축용 바닥재의 연소성능 시험 (Burning Tests for Interior Flooring Materials)

  • 이봉우;이장원;사공성호;김희수;이병호;김현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0-37
    • /
    • 2008
  • 건축용 바닥재의 화재예방을 위하여 국제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바닥재 시험평가 방법인 KSISO 9239-1을 이용하여 각종 바닥재에 대한 연소성 시험을 복사열 판넬 시험기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복사열 판넬 시험기를 이용하여 각종 바닥재에 대한 화염 전파거리, 임계 열류량 그리고 연기 발생농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바닥재의 구성 물질 별로 서로 다른 연소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바닥재의 표면 재질 및 구성성분이 열 방출과 연기 발생량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평가방법은 화재위험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인자인 임계 열류량, 연기 발생량 및 화염 전파거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중요한 시험방법임을 알 수 있었고 국내 건축용 바닥재 화재평가 방법을 국내실정에 맞게 제정 및 적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화재 확산 연구를 위한 실물화재 실험 (The Real Scale Fire Tests for Vertical Fire Spread Study of External Finishing Material)

  • 권오상;유용호;김흥열;김정현;민세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85-91
    • /
    • 2012
  • 건축물에서 화재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초기의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확산방지 대책은 일반적으로 방화구획에서의 구조부재의 내화 성능 확보, 마감재료의 연소 성능에 따른 사용 제한 등이 있다. 마감재료의 연소 성능 판단은 화염의 확산을 판단하기 위해 가장 기초적인 화재 안전 설계이지만 국내의 연소 시험은 시편 크기의 화재 시험 방법으로 연소 성능을 판단하고 있어 샌드위치패널 등과 같은 복합재료의 연소 성능을 판단하기에는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특히 외벽 마감재료의 경우 내부 마감재료에 비해 드라이비트, 알루미늄복합패널, 메탈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복합재료 등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외벽 마감재료의 국제시험규격인 ISO 13785-2 시험방법을 통해 외벽 마감재료의 실물 화재 실험을 통해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화재 확산 특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샌드위치패널구조 기축건축물의 플래시오버 지연 공법 연구 (A Study on the Flash Over Delay Method for a Previously Constructed Building with Sandwich Panel Structure)

  • 김도현;조남욱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3권12호
    • /
    • pp.71-8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ied reinforcement method at the joint part of the sandwich panel. Becasue the joint part of the sandwich panel has a disadvantage that flame spreads fast inside steel plates in the event of fire, leading to a big fire rapidly. In this study, the combus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through KS F ISO 13784-1 "Reaction-to-fire tests for sandwich panel building system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reinforcement method to prevent flame from being brought into the internal joint of the sandwich panel. For the reinforcement inside the panel, the tape produced using expanded graphite-based heat-expandable glass fiber was attach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vention of flame from being brought into the internal joint could delay the flash over time and the collapse of the test specimen.

소나무 낙엽층 화염높이 산정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Flame Height Equation for the Pinus densiflora Surface Fuel Bed)

  • 김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0-15
    • /
    • 2009
  • 산불에서의 화염높이 산정은 복사열전달에 의한 수평 또는 수직적 화염확산을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화염특성 중 화염높이는 빛을 수반하는 화염(the luminous flame)의 평균높이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풍속과 경사 등으로 인한 화염 높이가 변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외한 산림내 지표연소물질(surface fuel)인 소나무 낙엽층(fuel bed)에 대한 화염높이 관측실험과 열량분석계을 이용하여 발열량(Heat Release Rate) 측정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지표연소물질에 대한 화염높이 산출식 $H_f=0.027(\dot{Q'})^{2/3}$을 도출하였다. 실험값과 개발 산정식, 기존 Heskestad 식과의 적용값 비교 결과, 소나무 낙엽의 경우, 실험값과 개발 산정식 적용값의 표준오차는 0.08, 실험값과 기존 Heskestad 식의 표준오차는 0.23으로 개발 산정식의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분의 밀도변화에 따른 온도전이에 관한 실험적 연구 (Study on the Deep Stead Fire Spread Temperature by the Change of the Wood Flour Density)

  • 김진수;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5
    • /
    • 2015
  • 산업의 발달과 소득의 증가로 인해 목재와 같은 다공성 물질의 수요 및 생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축산 농가를 비롯한 가공 산업 분야에서 목분의 활용이 증대됨에 따라 화재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화재 발생시 목분은 깊이 방향으로 연소의 전이가 발생하며 내부 산화제의 소멸에 따라 화염이 없는 훈소로 진행되기도 한다. 훈소로 진행되는 경우는 화원의 위치 파악 곤란으로 초동진화에 실패하여 2차 피해를 키우는 직접적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 내외적으로 수요가 높은 뉴질랜드산 목분을 대상으로 자연대류 상태의 하향식 심부화재를 모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용기 내의 목분의 체적 밀도(3%, 5%, 10%, 15%)를 변화시켜 깊이방향으로 전파되는 심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화원의 전이 속도를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목분의 체적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내부 온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목분 밀도체적 $0.2140g/cm^3$ (5%) 이상의 조건에서는 온도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음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으며 본 실험을 통하여 뉴질랜드산 소나무 목분의 온도 전이속도는 평균 0.249 mm/min의 속도 값을 가짐을 밝혔다.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현장방염검사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site Flame Resistant Inspection Method by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 김황진;이성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124-129
    • /
    • 2016
  • 현행법상 현장방염 처리한 실내장식물은 관할 소방서에서 45도 연소시험을 통해 방염성능검사에 합격하여야 한다. 45도 연소시험법은 방염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시험법이지만 시료 제출자가 부정시료를 제출하였을 경우에는 시험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X-선 형광분석기를 이용한 현장방염 검사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총 10종의 방염도료를 합판 및 MDF에 처리하여 그 성분을 X-선 형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함유된 물질의 함량 차이로 인해 각 방염제마다 고유의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측정기기로 손쉽게 각 물질별 함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도적인 절차가 마련된다면 효율적인 현장방염검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tandby Mode에서 출화된 콘센트의 화염 패턴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me Pattern an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Electric Outlet Fired at Standby Mode)

  • 최충석;송길목;김형래;김향곤;김동욱;김동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9-44
    • /
    • 2002
  • Standby mode에서 출화된 콘센트의 화염 패턴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탄화 패턴을 분석한 결과 불꽃은 약 50~70cm 정도 방사되었다. 가연물에 착화된 후 약 150sec 경과하였을 때 온도가 약 $300^{\circ}c$까지 상승했으며, 화염은 ceiling jet을 형성하며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트래킹은 극간의 최단거리를 형성하며 이루어졌으며 저항 값은 약 100~300$\Omega$을 나타냈다. 칼받이를 금속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정상 부분은 비정질 구조를 나타냈으나, 트래킹에 의해 소손된 부분은 수지상 조직(dendrite structure)과 보이드(void)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용융된 칼받이를 SEM 및 EDX로 분석한 결고 ㅏ정상 부분과 용융된 부분의 구조와 조성 변화에 차이가 있다.

USN을 이용한 목조문화재 방재시스템에 관한 연구 -불꽃감지기 오작동 확인시스템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for Wooden Cultural Assets Using USN -Focusing on the System Checking the Malfunction of Flame Detector-)

  • 백민호;김정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49-54
    • /
    • 2010
  • 목조문화재의 화재특성을 보면 화재전파가 빠르고 화재가 발생하면 전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화재의 예방과 초기 진압을 위해서는 상황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기술적인 대응과 더불어 인지된 문제를 조기에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을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에 의한 상황 감지, 그리고 상황에 따른 빠른 대처 즉, 진압에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 불꽃감지기, 이미지 센서, USN 기반 문화재 방재 응용사례, 오작동 확인시스템 구현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 유비쿼터스형 문화재 방재시스템에 대해 불꽃감지기 오작동 확인시스템에 대해 실험하여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