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ery Percept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7초

수산물 음식과 수산물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 조사: 부산·경상도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of Seafood and Processed Seafood Products: The Case of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 Area)

  • 손선익;최봉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67-17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fishery products and processed food of marine products in college studen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44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aquatic food was 2~3 times a week, the place of intake was good for taste of home and aquatic foods, respectively. Purchase motifs of processed fish products are easy, the frequency of ingestion is 3 to 4 times a week, the criteria for selection were always consumed, and the taste was considered to be high when purchased. The perception of nutrition and necessity of consumption of aquatic foods was high and radioactivity was low. 133 male students (57.8%) and 98 female students (45.4%) were aware of the aquatic traceability system. The college students generally has a high preference for the taste of marine products and high frequency of consumption, and they recognized that nutritional excellence and necessity were positive. The marketing strategy should be developed by developing proper product considering the age level and sex of consumers. The limitation is that they are college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s and coastal areas.

어장입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Fishing Ground Location)

  • 강연실
    • 수산경영론집
    • /
    • 제17권1호
    • /
    • pp.1-17
    • /
    • 1986
  • Since the middle of the 70s, the countries with the marine resources declared the exclusive water zone of two hundred miles. As a result, our country lacked many foreign fishing grounds. This awakened our perception of fishing grounds. The fishing ground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conomical effectiveness of fisheries. The fishing ground must have the following basic conditions. 1. It must be the place the fishery resources inhabit and wander. 2. Their catching or aquaculturing must be possible by the technical methods. 3. It must have economic worth in the management. The fishing ground that achieves the above basic conditions is affected by the following factors. This is the factor of the fishing ground location. A. Natural factor 1). Suitable climate 2).Abundant resources 3). Good quality of the sea-bottom 4). Not to be pollutted area B, Economic factor 1). Be adjacent to fishing port and fisheries market 2). Good working conditions 3). Be abundant of economical resources C. Social factor 1). Be possible to work legally 2). Be permitted in the political relations 3). Be acquainted with the customs of foreign countries The fishing ground location is mainly affected by the natural factor of the above factors. The abundance of resources depends on the natural resources. The resources in the fishing ground have the cycle of developing period, maturing period, and decaying period according to the fishing efforts. The point that we sustainably yield the maximum of fishery resources is the changing point of maturing period and decaying period. We call this point MSY, so the resources of fishing ground should be managed by the MSY. Therefore, when we select the fishing ground location. We should judge the natural factor, the economic factor and the social factor synthetical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environment, so we can achieve the efficient management.

  • PDF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의 방문객 만족 영향요인 -예산향토사과축제- (Service Quality Influencing Visitors' Satisfaction in Yesan Apple Festival)

  • 박덕병;이민수;김소윤;신현배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4권3호
    • /
    • pp.185-197
    • /
    • 2017
  • Service quality in local festivals is a crucial for visitors satisfaction.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o influence visitors satisfaction in local festival. A field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06 visitors to the Yesan Apple Festival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and products, staff, and landscape factors could significantly has a significant on visitors' overall satisfaction, whereas facility factor don not influence significantly. The study suggested that festival managers should allocate their marketing resources for the program and products, staff, and landscape factors to increase the visitor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This study encourages festival managers to provide high level of festival quality to consider extension effects of the festival experiences from long-term perspectives.

점포선택속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6개 메이저 브랜드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ffects of Shop Choice Properties on Brand Attitudes: Focus on Six Major Coffee Shop Brands)

  • 이원호;김수옥;이상윤;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51-61
    • /
    • 2012
  • 본 연구는 커피 시장에 대한 시장 규모가 커지고 점차 확대되고 있는 대형 브랜드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점포선택 속성(가격, 종업원서비스, 점포의 입지, 점포 분위기)을 4가지로 규정하여, 그 선택속성들과 커피전문점 이용자의 특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 가를 알아보자 하였으며, 또한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났지만 점포선택속성 중 점포의 분위기와 점포입지가 점포선택 속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이 충성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어떠한 속성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아울러 소비자의 욕구에 부합되는 선택 속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유통학문의 연구방법론은 크게 2가지로 규범적 연구방법론, 실증적 연구방법론(경험적 분석기법, 통계적 분석기법)이 있는데, 이중에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방법론중에서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응답자의 분포가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 이용된 2차 자료를 보면 서울지역의 응답자 수는 경기도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고 경기도 지역의 응답자 수 또한 6대 광역시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따라서 지역 표본이 해당 지역의 모집단을 대표하는데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응답자의 비율을 측정척도로 사용한 점이다. 본 연구에서 점포선택속성에 대한 지각정도와 브랜드 선호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응답자의 비율을 척도로 사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점포선택속성과 브랜드 선호도 간의 관계, 집단 간 차이를 비교적 정확하게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위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커피전문점들이 점차 지방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6대 광역시 뿐만 아니라 지방 소도시의 소비자들까지 포함하여 설문조사를 실행하여 1차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특히 설문조사에서 관련된 변수들을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되 점포선택속성에 대한 지각정도, 브랜드 선호도 외에도 재 구매의도까지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 등을 통해 더욱 정교한 실증분석을 실행하여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에 대한 보다 세밀한 분석결과를 도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본 면형 유산 보존제도의 확산과정과 특성 (Developing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Preservation of Area-Based Heritage Sites in Japan)

  • 성원석;강동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4호
    • /
    • pp.32-59
    • /
    • 2020
  • 우리나라의 면형 유산 보존제도는 1984년 제정된 「전통건조물보존법」이 시효이다. 그러나 이 제도는 1996년에 폐지되었다. 일본은 1960년대 고도(古都)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66년 「고도보존법」을 제정하고 '역사적풍토보존지역'과 '역사적풍토특별보존지구'를 도입하였다. 면형 유산의 보존을 위해서는 1975년 「문화재보호법」의 개정과 함께 도입된 '중요전통적건조물군보존지구' 제도가 시초이다. 이후 2000년대 초반 면형 유산의 보존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고, 유산과 유산 사이의 공간과 맥락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중요문화적경관' 제도가 도입되었다. 또한 일본의 근대화와 관련된 각종 물적·비물적 자원을 포괄하는 '근대화산업유산군33'이 2007년에 지정되었으며, 같은 해 역사적 가치를 가진 지역 풍경을 보호하기 위한 '아름다운일본의역사적풍토100선'이 선정되었다. 이후 2015년에는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유·무형 유산을 통합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한 '일본유산' 제도가, 2016년에는 사라져 가는 농수산업의 계승과 육성을 위한 '일본농업유산', 2017년에는 20세기 일본의 근현대 기술의 증거물인 '20세기유산'까지 제도의 확산 과정을 이루었다. 결과적으로, 현재(2020년 9월) '역사적풍토보존지역'과 '역사적풍토특별보존지구'가 30개소와 60개소, '중요전통적건조물군보존지구' 120개소, '중요문화적경관' 65개소, '근대화산업유산군' 66개소, '아름다운일본의역사적풍토100선' 264개소, '일본유산' 104개소, '일본농업유산' 15개소가 지정되었다. 이러한 상황 인식 속에서, 1976년 이후 순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일본의 면형 유산 보존제도 전반의 특성 추출을 기본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일본 면형 유산 보존제도를 조사하고 연구범위를 설정한다. 둘째, 면형 유산 보존제도의 확산과정을 조사하고, 제도 발전에 따른 제도들 간의 관계성을 분석한 후 그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관계성 및 특성과 관련된 내용의 구체화를 위해 대표 사례 3곳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종합하여 대표 사례가 가지는 특성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도출한 일본 면형 유산 보존제도의 두드러진 특징은 매년 신규유산이 탄생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유산들 간의 중첩 현상이 발생하며, 면형 유산의 보존은 물론 전통 산업, 문화 관광 등 연관 산업의 활성화와 지역 정체성의 강화 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현재 우리나라가 시행하고 있는 '근대역사문화공간' 제도의 활성화에 시사점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