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fauna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초

동해 후포 연안 어류상의 수심별 차이 (Depth-dependent Variability of Fish Fauna in the Coastal Waters off Hupo, East Sea)

  • 이충일;정해근;권순만;한문희;설강수;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6-45
    • /
    • 2018
  • 본 연구는 동해 중부 후포 연안에 서식하는 어류 군집의 계절 및 수심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어류 시료는 2011년과 2017년 사이에 계절별로 저층자망과 삼중자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총 17과에 속하는 46종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정점 A (수심 약 80 m)에서 36종, 정점 B (수심 약 140 m)에서는 22종이 채집되었다. 현존량에서 우점종은 기름가자미(Glyptocephalus stelleri), 용가자미(Cleisthenes pinetorum), 대구횟대 (Gymnocanthus herzensteini), 고무꺽정이(Dasycottus setiger) 였는데, 전자의 3종은 얕은 수심(정점 A)에서 더 많이 채집되었고, 후자 1종은 깊은 수심(정점 B)에서 현존량이 더 높았다. 조사해역 어류 군집의 종수, 현존량, 생체량, 종다양도는 수심에 따라 변하였지만, 시간(계절 또는 연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NOSIM (Analysis of similarity) 결과 또한 어류 군집 구조는 수심에 따라 차이가 유의하였지만, 연도 또는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여주었다. nMD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결과는 이러한 군집 구조가 시각적으로 뚜렷이 구분되었고, 이러한 구분은 수심과 수온 차이에 따른 우점종의 공간분포 차이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무등산국립공원의 어류 분포 특성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 고명훈;장수림;원용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4-164
    • /
    • 2018
  • 무등산국립공원의 어류 분포 양상을 밝히고 보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8개 지점에서 족대와 투망으로 채집된 어류는 6과 21종이였다. 우점종은 갈겨니(Zacco temminckii, 43.0%), 아우점종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15.1%), 그 다음은 피라미(Z. platypus, 11.2%), 돌고기(Pungtungia herzi, 10.1%),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 8.9%), 참갈겨니(Z. koreanus, 4.5%) 등의 순으로 우세하였다. 한국고유종은 13종(61.9%)으로 출현비율이 높았으며, 멸종위기종과 외래종은 서식하지 않았다. 군집구조에서 영산강 수계 지점들(St. 1~7)과 섬진강 수계 지점(St. 8)은 뚜렷이 구별되었으며, 영산강 수계는 다시 최상류 지점들(St. 1, 2, 4, 6, 7)과 중 상류 지점들(St. 3, 5)로 나누어졌다. 연도별 출현 종수는 19~20종으로 유사하였으나 개체수는 2014년 3,366개체, 2015년 2,670개체, 2016년 3,429개체로 2015년이 2014년과 2016년보다 20% 이상 적었다. 이러한 원인은 2015년이 다른 년도에 비해 낮은 강수량으로 하천수위가 급격히 낮아져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8개 지점 중 3개 지점은 하천공사가 이루어져 어류 서식지가 교란되었는데, 특히 저서성 어류가 큰 영향을 받았다.

월악산국립공원의 서식지에 따른 어류군집 분석 (Analysis of Fish Community according to Habitat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 박승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90-502
    • /
    • 2021
  • 본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의 서식지에 따른 어류상 현황 및 어류군집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월악산국립공원의 주요 하천에서 공간균등계층추출법으로 총 20개의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계절별로 3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식지의 물리적 환경은 대부분 산간계류형(Aa) 하천이었으며, 하상구조는 큰돌과 자갈이 산재되어 있는 형태였다. 서식지의 평균고도는 304.4m, 평균 수심은 40.3cm로 대부분 1m를 넘지 않았으며, 하천 차수는 3~5차하천까지 분포하였다. 서식지별 물리적 환경요인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도에 따라 하상물질 특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출현한 어종은 총 7과 16종 2,183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은 참갈겨니(86.2%), 아우점종은 버들치(3.8%)였다. 법정보호종으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가는돌고기가 본 조사에서 처음 출현하였다. 어류군집의 순위풍부도 곡선의 모형을 분석한 결과 20개 지점중 9개 지점에서 Zipf 모형이 도출되었으며, 대수정규 모형 3개 지점, 선점 모형 4개 지점, 그밖에 4개 지점은 1종만이 출현하여 분석이 불가능하였다. 환경요인에 따른 어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개 지점과 출현종을 대상으로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도에 따른 서식환경의 차이로 인하여 어류군집이 나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임진강 지류 신천의 어류군집 특성 및 수질이 하천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and the Effects of Water Quality on River Health in Sincheon, Imjin River, Korea)

  • 최광식;한미숙;윤정도;고명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5-276
    • /
    • 2021
  • 신천의 어류 군집 특성과 하천의 건강성을 밝히기 위해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3개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12과 30종 3,677개체였다. 우점종은 피라미(Zacco platypus, 28.4%), 아우점종은 대륙송사리(Oryzias sinensis, 13.6%), 그 다음으로 참갈겨니(Zacco koreanus, 11.8%),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11.7%), 붕어(Carassius auratus, 9.6%), 참붕어(Pseudorasbora parva, 7.9%)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 종 중 한국고유종은 10종(33.3%)이었고, 외래종은 이스라엘잉어(Cyprinus carpio (Islaeli type), 떡붕어(Carassius cuvieri), 배스(Micropterus salmoides), 구피(Poecilia reticulata), 플래티(Xiphophorus maculatus) 5종(16.7%)이었으며, 육봉형 어류는 둑중개(Cottus koreanus)와 밀어(Rhinogobius brunneus) 2종(6.7%), 기후 변화 민감종은 둑중개 1종(3.3%)이 출현하였다. 어류 군집분석 결과, 신천본류와 수동천, 청담천은 우점도는 낮고 다양도는 높았으며, 동두천과 상패천은 우점도는 높고 다양도는 낮았다. 하천건강성은 최상류와 지류인 수동천이 매우 좋음, 좋음이었으나 상류부는 보통, 중·하류부는 나쁨, 매우 나쁨으로 나타났다. 수질도 중류부터 하류까지 대부분 나쁨 또는 매우 나쁨이었고 지류 수동천만 매우 좋음이었다. 따라서 수질이 어류서식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결국 하천건강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도별 신천의 수질은 점점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외래종의 도입은 매우 부정적인 요인이었다. 신천의 하천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질개선과 더불어 외래어종의 관리가 요구된다.

어류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한 하천구조 최적화 (Optimization of Channel Structure for Fish Habitat Suitability Enhancement)

  • 최흥식;김상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3호
    • /
    • pp.267-276
    • /
    • 2013
  • 본 연구는 어류서식 적합도 향상을 위한 하천구조 개선 방안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상하천의 유역 및 수중환경조사와 어류의 군집특성 결과를 이용하여 건전한 수중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복원 목표어종으로 참갈겨니를 선택하였다. PHABSIM을 이용한 검증결과 유속과 수심에 대한 적합지수 향상을 위한 저수로 폭의 변화는 대상어종의 서식적합도 향상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식적합지수 향상을 위한 저수로 폭의 변화는 일관성 있는 서식적합도의 향상을 나타내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Genetic Algorithm을 이용하여 대상하천의 서식적합도 개선을 위한 주어진 유지유량에 따른 하천 구간별 유속, 수심을 고려한 저수로 폭의 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수로 단면 구조개선의 방안 제시는 수계환경개선을 위한 각종 사업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에서 확인된 몇 종의 담수어 척추골수에 관하여 (The Vertebrae of Some Freshwater Fishes Collected in T$\v{o}$kyusan National Park)

  • 이승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2-206
    • /
    • 1994
  • 국립공원에서 자연보존의 일환으로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1993년 5월부터 11월까지 덕유산국립공원 일대의 9개 지소에서 담수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한국고유종 및 아종인 칼납자루, 긴몰개, 돌마자, 금강모치, 참종개, 미유기, 동사리를 포함한 5개과 17종의 담수어류를 확인하였다. 금강수계에서는 16종이, 낙동강수계에서는 8종이 분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어종은 긴몰개, 돌마자, 돌고기, 버들치, 갈겨니, 미꾸리 및 동사리로서 7종이었고 우세종은 버들치, 갈겨니 그리고 동사리였다. 한편 한국산 담수어의 형태에 관한 기초자료 축적의 일환으로 이지역에서 채집된 담수어 17종의 척추골수를 soft X-ray를 활용하여 그 분석결과를 보고함과 아울러 수계의 환경훼손에 따른 어류의 비정상적 골격형질 발현양상 파악결과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First Record of a Gaper Champsodon longipinnis (Perciformes: Champsodontidae) from Korea

  • Han, Song-hun;Kim, Maeng Jin;Song, Choon B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297-300
    • /
    • 2015
  •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hampsodon longipinnis (Champsodontidae) collected from Korea. The specimen (100.9 mm in standard length) was caught by a bottom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traits: body with small denticulate scales except abdomen around pelvic fin base; posterior end of maxilla extending beyond margin of eye; dark pigmentation on most of the first dorsal fin, upper half of the first to the fourth soft ray of the second dorsal fin, and partial upper lobe of caudal fin. We add C. longipinnis to the Korean fish fauna and suggest a new Korean name, "Jeom-ak-eo-chi," for the species.

New Record of Sagami Grenadier, Ventrifossa garmani (Gadiformes: Macrouridae) from Korea

  • Jeong, Moon-Kyung;Lee, Sung-Il;Kim, Jin-K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3호
    • /
    • pp.317-320
    • /
    • 2010
  • A single specimen (149.9 mm TL) of sagami grenadier, Ventrifossa garmani was collected from Korea waters. This species is similar to Coelorinchus spp. in body shape, but is distinguished by a short and rounded snou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errated second dorsal spine in the first dorsal fin, a triangular spine on the scale, seven branchiostegal rays and six scales below middle of first dorsal fin. We describe this species as the first record to Korean fish fauna and propose the Korean name "Kkeo-kkeul-meo-ri-min-tae-sok" for this genus, and "Kkeo-kkeul-meo-ri-min-tae" for this species.

The first record of a frogfish, Fowlerichthys scriptissimus (Antennariidae, Lophiiformes), from Korea

  • Han, Song-Hun;Kim, Joon Sang;Song, Choon B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2.1-2.5
    • /
    • 2017
  • This is the first report of Fowlerichthys scriptissimus (Lophiiformes, Antennariidae) from Korea. A single specimen (291.0 mm SL) was collected off the coast of Jejudo Island by gill net on 28 March 2012 and identified wi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pproaches. The specime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ll five pelvic fin rays bifurcate and possessing 20 vertebrae, 13 pectoral-fin rays, and a basidorsal ocellus on the side of the body. This species is distinguishable from other Korean taxa by the number of pectoral fin rays, the bifurcate form of the pelvic rays, and the vertebral count. We add this species to the Korean fish fauna and suggest new Korean names, "Byeol-ssin-beng-i-sok" and "Byeol-ssin-beng-i" for the genus and species, respectively.

한국산 양쥐돔과 어류 1 미기록종, Acanthurus nigricauda (One Unrecorded Species of Acanthurus nigricauda (Acanthuridae, Perciformes) from Korea)

  • 김진구;박정호;황강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4-167
    • /
    • 2007
  • 농어목 양쥐돔과(Acanthuridae)에 속하는 Acanthurus nigricauda 1개체(체장 213.5 mm)가 부산시 기장군 동암 앞바다에서 정치망으로 처음 채집되었다. 본종은 가슴지느러미 상부와 미병부의 측면 중앙에 1개씩의 선명한 검은 반문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양쥐돔"이라 명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