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feed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1초

넙치 성어기 배합사료 및 생사료의 사육효과 비교 (Evaluation of Extruded Pellets as a Growing Diet for Adult Flounder Paralichythys olivaceus)

  • 김경덕;강용진;이해영;김강웅;김경민;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3-177
    • /
    • 2006
  • 본 연구는 넙치 성어기 사료로 양식현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생사료를 배합사료로 대체하기 위하여 부상배합사료와 생사료의 사육효과를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평균체중 329 g의 넙치를 6종류의 실험배합사료(EP1-EP6),시판사료(EP7)및 생사료(MP)로 1일 2회 반복으로 공급하며 8개월간 사육 실험하였다. 사육기간 동안의 생존율은 $63\sim78%$ 범위였으며, 증체량은 MP 실험구가 EP1 실험구 보다 낮았으나, EP2-EP7 실험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사료효율은 MP 실험구가 EP1, EP3, EP4, EP5 및 EP6 실험구 보다 낮았으나, EP2 및 EP7 실험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단백질효율은 모든 EP 실험구들이 MP 실험구 보다 높았다. 사료섭취량은 MP실험구가 EP실험구들에 비해서 높았지만, EP실험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어체의 비만도는 모든 EP 실험구들이 MP 실험구와 차이가 없었다. 등근육 및 전어체의 수분,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은 모든 실험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329\sim680g$의 넙치 성어 사육을 위하여 MP 대신 EP1, $Ep3\sim6$를 사용하여도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어류양식장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Survey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Fish Farms on the Jeju-Island)

  • 문영건;하진환;강창희;송춘복;오명철;허문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9-191
    • /
    • 2007
  •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제주도에서 성업 중인 육상 수조식 양식장 21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양어 용수, 양어 사료, 양식 넙치에서 조사하였다. 식품 병원성 미생물 중 일반세균과 총 대장균군, 그리고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Vibrio parahaemolyticus를 조사하였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특이할만한 점은 여름에 들어서면서 집중적이면서도 빈번하게 비가 내렸다. 양어용수를 검사한 결과 S. aureus, B. cereus and Salmonella spp.는 각각 $0-3.3{\times}10^2 CFU/ml,\;0-2.2{\times}10^2CFU/ml\;and\;0-5.1{\times}10^1 CFU/ml$ 검출이 되었다. 또한 사료 내 미생물을 조사하여 본 결과 조사한 MP사료 85%에서 S. aureus, B. cereus and total coliforms이 검출이 되었다 반면 양식 넙치를 조사한 결과 Escherichia coli O157:H7, total coliforms은 검출이 되지 않았다. 추후 이와 관련하여 좀더 체계적인 연구 시스템을 양식현장에 적용한다면 근래 들어 문제가 되고 있는 식품위생상 수산물이 야기하는 문제점들이 해결이 되어 안전한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 같다.

해조류 유래 Fucoidan의 어류용 백신 항원보조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Potential of Fucoidan Extracted from Seaweeds as an Adjuvant for Fish Vaccine)

  • 민은영;김광일;조미영;정승희;한현자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3
    • /
    • 2019
  • Fucoidan(후코이단)은 주로 갈조류에서 추출되는 fucose를 함유한 함황 다당류의 일종으로,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 효과와 함께 다양한 경로로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생리 기능성물질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체 백신 분야에서는 fucoidan의 백신 adjuvant(항원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수산업 분야에서는, 보조사료로서의 fucoidan의 기능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고 있으나, 수산용 백신 개발을 위한 adjuvant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동물세포에서 fucoidan의 adjuvant에 대한 긍정적인 검토와 함께 안전성을 증명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fucoidan을 어류 백신용 adjuvant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류에서도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fucoidan의 분자량에 따라 세포 내 흡수율이 각기 다르다는 점과 병원체의 인위감염에 따른 항체 생성을 포함한 어류의 특이면역 반응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뒷받침 된다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adjuvant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fucoidan이 사람과 동물을 포함하여 어류의 면역자극 즉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수산업 분야에서 fucoidan의 사용과 어류 백신용 adjuvant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넙치 육성용 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현장 사육 실험 (Development of Extruded Pellet for Growth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Commercial Scale Feeding Trials)

  • 서주영;최진;이종하;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4-120
    • /
    • 2007
  • 육성기 넙치 사육용으로 부상배합사료 및 생사료의 사육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2회에 걸친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평균체중 115 g의 넙치를 5종류의 실험EP ($EP1{\sim}EP5$v와 생사료(MP)로 78일간 사육 실험하였으며, 실험 2는 양식현장에서 평균체중 137 g의 넙치를 실험 1에 사용한 5종류의 EP ($EP1{\sim}EP5$), 시판사료(EP6) 및 EP4와 EP6에 물과 각종 영양소를 흡착시킨 2종류 흡착-습사료(MEP4 및 MEP6)로 80일간 사육 실험하였다. 사육실험 결과, 실험 1에서 증중율은 모든 EP 실험구가 MP 실험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EP4는 MP에 비하여 더 높은 값을 보였다. 사료효율은 EP4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등근육의 간과 수분함량 및 간의 지질함량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 2에서는 생존율은 $89{\sim}99%$의 범위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증중량은 EP4와 MEP4 실험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EP3과 MEP6 실험구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사료효율은 모든 실험구에서 108% 이상으로 양호하였으며, EP4, MEP4 및 MEP6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114{\sim}350\;g$인 넙치에게 생사료를 기초로 제조된 MP를 공급하는 것 보다 영양소 균형이 잘 갖춰진 EP를 공급하여도 좋을 것으로 보이며, EP 공급시 물과 다른 영양소의 흡착과정은 불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MP와 상업용 EP 실험구에 비해 양호한 성장 결과를 보인 EP4는 MP 대체 실용사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징어 가공 부산물의 해양투기에 따르는 주변해양환경의 영향에 대한 검토 (Examination of the effect on the surrounding marine environment by disposing of a squid by-product)

  • 황보규;신현옥;김민선;강경미;남택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1호
    • /
    • pp.27-36
    • /
    • 2011
  • Squid by-product like viscera has just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serious pollutants on the surrounding marine environment in Ulleung island of Korea. The effect as a marine pollutant, however, has not been examined and evaluated properly. It was carried out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marine pollution by disposing squid by-products. The sediments and water qualities were investigated in several positions, including the dumping position around Ulleung island. It is also estimated a spreading of by-product in terms of estimating the sinking speed and evaluating the attracting characteristics as a feed.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pollutions of the sediment and water quality. The spreading of by-product by the local current was 2-2.5 times of the depth, and it will become longer in spring tide. It was confirmed that the squid by-product has attracting ability for local fish by acoustical survey. Furthermore, it can be useful for the local fish species as feeds.

순천 상내리 갯골에 출현하는 민물두줄망둑(Tridentiger bifasciat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ridentiger bifasciatus in the Tidal Creek at Sangnae-ri, Suncheon, Korea)

  • 예상진;정재묵;김현지;박주면;허성회;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0-167
    • /
    • 2014
  • The feeding habits of Tridentiger bifasciatus were studied using 733 individuals collected in the tidal creek at Sangnae-ri, Suncheon, Korea, using a push net, monthly, from April 2011 to March 2012. The standard length (SL)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1.5 to 8.2 cm. The stomach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T. bifasciatus consumed mainly amphipods, such as Corophium sp., while copepods, polychaetes, and shrimps were other important prey species. In addition T. bifasciatus ate small quantities of crab larvae, fish, gastropod larvae, and insects. T. bifasciatus is a generalist that feeds on various zoobenthos, including fish. T. bifasciatus underwent an ontogenetic dietary shift. Smaller individuals (1-2 cm SL) fed mainly on amphipods. The proportion of amphipods decreased as body size increased, whereas the consumption of polychaetes increased gradually.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composition of T. bifasciatus was significant. Insects were common prey during summer, while the amounts of other prey, including polychaetes, were similar during spring, autumn, and winter.

명태피 및 말쥐치피를 이용한 피교의 최적가공조건과 품질에 대하여 (CONDITIONS FOR ALASKA POLLACK AND FILE FISH SKIN GLUE PROCESSING AND THE QUALITY OF PRODUCT)

  • 이응호;하진환;허우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1977
  • 수산물 가공시의 부산물인 어피, 어두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우선 어피를 원료로 피교를 가공할 때의 최적조건 및 제품의 이화열적 특성을 실험하고 아울러 제품의 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 어체중량에 대한 피의 수율은 명태피가 $4.6\%$, 말쥐치피가 $5.0\%$였다. 명태피교 최적가공조건은 알칼리 용액 3시간, 침지용액의 알칼리농도 $0.1\%$, 첨가수량은 명태피 중량의 3배, 추출온도 $70^{\circ}C$, 추출 시간 3시간, 추출용액의 pH 5.0이었고, 말주치피교 최적 가공조건은 알칼리용액 침지시간, 침지용액의 알칼리농도, 추출농도, 추출시간 및 추출용액의 pH는 명태피교의 가공조건과 같이 첨가수량은 말쥐치피 중량의 5배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명태 및 말쥐치피교제품의 단백질 함량은 각각, $98.0\%,\;96\%$이었으며, 다른 일반성분 의 조성도 시판 gelatin과 비슷하였다. 명태와 말쥐치피교 제품의 점도는 5.84 및 5.79였고, 융점은 $21.8^{\circ}C$$25.0^{\circ}C$, 응고점은 $7.1^{\circ}C$$7.4^{\circ}C$이었고, jelly강도는 10.0g 및 11.6g이었다. 색도와 탁도는 명태피교 제품이 말쥐치피교 제품보다 약간 좋았다. 그리고 구성아미노산 조성으로 보아 추룰잔사도 사육원료로서 손색이 없었다. 또한 피교제품의 총아미노산에 대한 개별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시약급 gelatin과 거의 같았다.

  • PDF

Effect of Feeding Date Pits on Milk Production, Composition and Blood Parameters of Lactating Ardi Goats

  • AL-Suwaiegh, S.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4호
    • /
    • pp.509-515
    • /
    • 2016
  • Twenty Ardi lactating goa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stituting 10%, 15%, and 20% of concentrate feed with date pits on milk production, composition, and blood parameters. Four isocaloric and isonitrogenous dietary treatments were used. Four levels (0% [control], 10%, 15%, and 20%) of date pits were used to replace concentrate feed. The forages to concentrate ratio used was 60 to 40. Dry matter intake (DMI) of goats fed diets containing 10% and 15% date pit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fed diets containing 0% and 20%. However, goats fed a diet containing 20% date pit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DMI compared to those fed control diet. The protein percent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goats fed control diet compared to the other dietary treatments. Total solids percent was significantly the lowest for goats fed diet supplemented with 10% date pits. Goats fed a diet containing 20% date pit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total protein compared to those fed a diet containing 10%. In addition, goats fed a diet containing 15% date pits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protein percent compared to those fed a diet containing 20% date pits.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goats fed diets containing 10% and 20% date pits compared to those fed 15% date pits.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date pits can be added up to 20% of the concentrate feeds into lactating Ardi goat diets without negative effects on their productive performance.

동물사료로서의 곤충의 잠재적 가치 (Insect, potential source of animal feed)

  • 박관호;김용순;구본우;김은선;박지영;지상윤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5권2호
    • /
    • pp.176-187
    • /
    • 2022
  • Because of human population growth, longer lifespans, and climate change, there is growing concern around world to produce enough food and feed. Insects are regarded as an alternative with high potential because the production of insects demands limited amounts of water and land, and they can add value to low-value by-products. Insects have high levels of crude protein, lipids and minerals. The relative amount of protein can vary substantially, with crude protein content ranging from 23% to 76%, depending on insect species. Their amino acid composition is good and protein digestibility is high. Insect to be a significant sustainable source as a replacement of ingredients such as soya or fishmeal in the feeds of terrestrial livestock or fish. This review provides an overview of nutritional value of insect in animal feed and challenges required to develop a sustainable, safe, and affordable insect farming industry.

대하 (Penaeus chinensis)의 단백질요구량과 단백질원으로서 대두박의 이용 (Optimum Level of Protein and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of Fish Meal by Soybean Meal in Feeds for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 김현준;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3-186
    • /
    • 1993
  • 대하의 단백질요구량과 배합 사료에 어분 대신 대두백으로 대체하고 여기에 오징어유를 첨가한 먹이에 대한 성장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합 사료를 먹이로 공급할 때 단백질 함량을 $25\~50\%$로 실험한 결과, 단백질 함량 $40\%$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과 빠른 성장을 보였고, 단백질 함량 25, 30, 35, 40, 45, $50\%$인 배합사료를 대하에 공급하였을때 생존율은 각각 74.0, 82.0, 91.0, 97.0, 93.0, $88.0\%$이었다. 최적의 사료내 단백질 함량은 $13\~84mg$인 대하 치하는 $40.4\%$, $0.9\~8.1g$ 인 대하는 $39.9\%$로 계산되었다. 사료중 단백질원을 어분 대신 대두백으로 대체할 때에는 대두박 함량을 $0.0\~76.0\%$로 실험한 결과, 대두백 함량이 많아질수록 생존율과 성장이 둔화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오징어유를 대두박 함량의 $2.5\%$ 첨가하였을때 생존율은 향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