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assemblag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4초

동해 연안 자망에서 채집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collected by trammel net i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 최광호;한문희;강창근;박주면;최정화;박정호;손명호;백근욱;최은정;이충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4호
    • /
    • pp.415-427
    • /
    • 2012
  •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 in the north coast (NC: Ayajin) and central coast (CC: Hupo) of the East Sea were calculat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trammel net during 2011-2012. A total of 20 species from NC and 17 species from CC were collected. Of the fishes collected,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Glyptocephalus stelleri and Careproctus rastrinus in the NC, and Dasycottus setiger and G. stelleri in the CC. These 2 fishes accounted for 71.7% and 81.0%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in the NC and CC, respectively. The number of fish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fluctuated with the seasons. The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revealed that the fish assemblages classified into north and central groups. Analysis of similarity percentages of species contributions (SIMPER) indicated that most individual of G. stelleri and Gadus macrocephalus contributed to north group, and D. setiger and G. stelleri in central group, whereas 15 species contributed to 90% of the dissimilarity.

국가습지유형분류체계의 습지 유형 (하천형과 호수형)에 따른 경남지역 습지의 어류군집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Fish Assemblage Characteristics by Wetland Type (River and lake) of National Wetland Classification System of Wetlands in Gyeongsangnam-do)

  • 김정희;윤주덕;임란영;김구연;조현빈
    • 생태와환경
    • /
    • 제51권2호
    • /
    • pp.149-159
    • /
    • 2018
  • 습지 유형에 따른 어류군집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관리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29개의 습지 (하천형 20개소, 호수형 9개소)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하천형 습지에서는 평균(${\pm}SD$) $10.3{\pm}4.8$종이, 호수형 습지에서는 평균 $9.1{\pm}4.1$종이 출현하였으며, 출현 종수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Mann-Whitney U test, P>0.05). 반면 두 습지 유형의 어류군집을 구성하는 종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으며(PERMANOVA, Pseudo-F=2.9555, P=0.007), 각 유형의 어류군집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종은 참갈겨니(하천형, 28.51%)와 블루길 (호수형, 23.21%)로 확인되었다 (SIMPER). 지점별 어류군집을 활용한 NMDS 분석결과 총 3개의 그룹(하천형, 호수형, 기타)으로 구분되어 기존의 유형 구분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습지 관리는 멸종위기종을 중심으로 한 일원화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 의하면 습지 유형별 어류군집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고유종, 외래종, 주요 기여종에 대한 정보를 활용한 관리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지형을 기반으로 한 습지의 유형 분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부 습지의 유형에 대한 분류가 모호한 경우가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해 생물상 분석을 통한 보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습지 유형에 대한 분석결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모든 유형의 습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각 습지의 유형을 대변할 수 있는 세부적인 관리 방법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진해 잠도 주변 암반해역의 어류상 (Fish Assemblage in a Rocky Subtidal Habitat around Jam-do, Jinhae)

  • 곽석남;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73-278
    • /
    • 2016
  • 본 연구는 진해 잠도주변 조하대 암반서식지에서 통발에 의해 채집된 어류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을 조사하였다. 어류 시료는 2007년 9월에서 2008년 7월까지 통발로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4과에 속하는 48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흰꼬리볼락(Sebastes longispinis),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 볼락(Sebastes inermis),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망상어(Ditrema temminckii), 세줄베도라치(Ernogrammus hexagrammus)였으며, 이들 6종은 총 채집 개체수의 71.0%를 차지하였다. 어류 군집의 현존량과 다양도는 계절변동을 나타냈는데, 출현종수, 개체수, 다양도는 가을철에 가장 높았고, 생체량은 봄에 높았다. 우점종의 현존량은 계절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흰꼬리볼락은 봄과 여름에 현존량이 높았고, 가시망둑은 가을과 봄에 높았다. 볼락은 9월, 12월, 5월에 높은 현존량을 보였고, 그물코쥐치는 대부분 개체가 가을에만 출현하였다.

봄-여름 남해 중부 연안 자어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Larval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central Korea during Spring and Summer)

  • 유준택;김영혜;이승환;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86
    • /
    • 2017
  • 본 연구는 남해 중부 연안역에서 2016년 4~8월까지 자어군집구조의 월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42종의 자어가 출현하였다. 우점종 중 멸치(E. japonicus)는 여름보다는 봄철에 우점하였고, 용서대(C. abbreviates)는 봄철에만 출현하였으며 수조기(N. albiflora)는 여름철에만 출현하였다. 자어 군집은 계절별로 4~5월 (봄)과 6~8월 (여름)의 그룹으로 유의하게 나눌 수 있었고, 여름철은 또다시 6~7월과 8월의 두개의 유의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2016년 8월 조사해역에서는 이상 고수온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수온이 $28^{\circ}C$까지 상승하였고, 멸치와 수조기 자어의 출현량은 산란 적정수온을 넘은 수온으로 인해 급감하였다.

고리 주변해역 삼각망에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a Three-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 백근욱;허성회;박세창;김지형;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6-194
    • /
    • 2010
  • 2006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삼각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35과에 속하는 5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대부분 부 어류로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숭어 (Mugil cephalus), 전어 (Konosirus punctatus), 열동가리돔 (Apogon lineatus), 성대 (Chelidonichthys spinosus), 망상어 (Ditrema temminck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그리고 줄도화돔 (Apogon semilineatus)이었는데, 이들 8종은 전체 채집 개체수의 92.7%를 차지하였다. 본 조사해역의 채집된 어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개체수는 12월, 생체량은 3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온이 낮은 겨울철에 개체수와 생체량이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12월에 다른 계절에 비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Namhae Island)

  • 곽석남;허성회;김하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3-312
    • /
    • 2008
  •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이각망을 이용하여 어류군집의 계절에 따른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89종이 출현하였으며, 우점종은 전어(Konosirus punctatus), 숭어(Mugil cephalus), 농어(Lateolabrax japonicus),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볼락(Sebastes inermis), 동갈민어(Nibea mitsukurii), 청어(Clupea pallassi), 덕대(Pampus echinogaster),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문치가자미(Limanda yokohamae)였는데, 이들 어종은 전체 개체수의 61.6%와 총 생체량의 80.3%를 차지하였다. 어류 종조성 및 출현량은 계절 변동이 뚜렷하였는데, 출현 개체수 및 생체량은 4월, 5월 및 9월에 높았으며, 1월에 가장 낮았다. 수온 및 이와 관련된 요인이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출현량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이각망은 연안해역을 이용하는 다양한 크기의 부어성 어류를 어획하는 데 유용한 어구였으며, 특히 상업성 어종의 어획에 효율적이었다.

강화도 갯벌 천해의 건간망 어획 어류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Fish Catch Using a Fence Net in the Shallow Tidal Flat off Ganghwado, Korea)

  • 황선완;김종관;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76-685
    • /
    • 2003
  • Seasonal variation of the fishery resource in the shallow waters of Ganghwado tidal flat was investigated using monthly collected samples with a fence net from June 1998 to May 1999. Thirty-six species were found including 27 fish species, 6 crustaceans, and 3 molluscs. Of the fish, Konosirus punctatus, Sardinella zunasi Liza haematocheila and Synechogobius hasta dominated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92.1\%)$ and in biomass $(94.5\%).$ A few number of resident species, such as L. haematocheila and S. hasta, were collected only during the cold months.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in the spring, the adult migratory fish such as K. punctatus and S. zunasi, were collected. In the summer, the juvenile fish recruited in the shallow water showing a peak in fish abundance. The data suggested that they grew until late autumn before moving to deeper waters for over-winter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was principally determined by water temperature and/or water temperature related factors.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assemblage in the study area suggested that these species are highly adapted to extreme seasonal temperature variation and high water turbidity.

제주도 남부 가파도 연안 어류군집의 계절별 특성 (A seasonal characteristic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Gapa-do, southern part of Jeju Island)

  • 고준철;한송헌;김보연;최정화;황강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1호
    • /
    • pp.10-24
    • /
    • 2021
  • A seasonal characteristic of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 Gapa-do was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a trammel net from 2015 to 2019. Annual mean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18.9℃, 33.6 psu (2015), 19.5℃, 33.6 psu (2016), 18.9℃, 33.8 psu (2017), 18.8℃, 34.5 psu (2018) and 19.5℃, 33.7 psu (2019), which show a stable water mass. During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50 species (30 families and 8 orders) of fishes were identified, including Scorpaeniformes (3 families and 9 species) and Perciformes (18 families and 29 species) that accounted for 68% of the total number.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showing the peak in the summer by 35 species and the low in the winter by 20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the biomass peaked in the summer by 690 individuals and 151.4 kg, and were the lowest in the autumn by 336 individuals and 76.6 kg. The annual diversity index, evenness index and richness index were appeared to be 2.54-2.75, 0.68-0.76 and 5.32-6.65 at each stations. The dominance index was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2018 and the lowest in 2015. Marbled rockfish (Sebastiscus marmoratus), rock fish (Sebastes inermis),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rabbit fish (Siganus fuscescens), porcupine fish (Diodon holocanthus) and smallscale blackfish (Girella melanichthys) were dominant species, which occurred abundantly during the entire survey period. Subtropical fishes were identified as a total of 24 species (48.0%) an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r in 2019 by 20 (60.6%) species and lower in 2015 by 13 (44.8%)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of the subtropical fishes were appeared to be rabbit fish, porcupine fish, smallscale blackfish, flag fish (Goniistius zonatus), stripey (Microcanthus strigatus), grunter (Parapristipoma trilineatum), and bluestriped angelfish (Chaetodontoplus septentrionalis) at the study sites.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3. 꽃게통발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3. Fishes Collected by Crab Pots-)

  • 안용락;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15-722
    • /
    • 2002
  •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꽃게통발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채집된 어류는 26과 49종이었다. 붕장어 (Conger myriaster)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볼락 (Sebastes inermi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노래미(H. agrammus),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등이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 6종이 전체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의 $67.1\%$$69.4\%$를 차지하였다. 그 밖에도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 복섬 (Takifugu niphobles), 그물코쥐치 (Rudarisu ercodes), 그물베도라치 (Dictyosoma burgeri), 횐꼬리볼락 (Sebastes longispinis),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 종수는 11월에 28종으로 가장 많았고, 7월에 14종으로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모두 3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개체수는 7월에 생체량은 9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종다양도지수는 연중 큰 변동이 없는 편이었으나, 채집 어종수가 적고 쥐치와 말쥐치가 극우점하였던 8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Decapod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Jindong Bay

  • Kwak, Seok-Nam;Park, Joo-Myun;Huh, Sung-Hoi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9-269
    • /
    • 201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o determine season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decapod assemblag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abundance in an eelgrass bed of Jindong Bay. A total of 26 fish species and 29 decapod species were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from an eelgrass bed in Jindong Bay in 2002.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Hexagrammos otakii, Pholis neulosa and P. fangi and these accounted for 48.4 % i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Dominant decapod taxa were Palaemon macrodactylus, Charybdis japonica, Pagurus minutus and C. bimaculata. These were primarily small species or early juveniles of larger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varied greatly showing a peak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April and May, and peak biomass in fish in July and decapods in August. Catch rate was low in winter months both in fish and in decapod. Seasonal changes in the abundance of fishes and decapods corresponded with eelgrass biomass and abundance of food organisms indir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