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protection method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방폭전기 안전 기준 제정 배경 및 방폭지역 구분 요령

  • 정재종
    • 방재기술
    • /
    • 통권15호
    • /
    • pp.22-27
    • /
    • 1993
  • The classification of hazardous area is a method of analysing and classifying the environment where explosive gas or vapour atmosphere may be expected to be present. The object of area classification is to enable the proper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electical apparatus and other equipments. This report is intended to serve a general reference about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of hazardous area with explanations of related Korean Standard.

  • PDF

방염처리된 목재의 방염성능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Investigation about Flame-Retardant Performance Valuation Method of Wood treated by Flame-Retardant)

  • 차정민;김인범;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 /
    • pp.271-274
    • /
    • 2010
  •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을 평가함에 있어서 건축물의 내장재로 활용되어지는 목재의 경우 방염액 또는 방염필름 등을 활용한 직접적인 방염처리방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데 방염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잔염시간, 잔신시간, 탄화길이, 탄화면적 등의 수치가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는데 목재를 활용한 합판에 적용되어지는 방염처리방법에 따라 성능기준의 모호성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방염성능의 적합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이에 대해 실험적으로 고찰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 PDF

내열성이 우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염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cellent Heat Resistance Organic-Inorganic Hybrid Flame Retardant)

  • 조경래;이성은;이춘하;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67-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다중이용시설의 화재 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내장재의 가연성으로 인한 화재확산 및 연소 시 유독가스 발생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한 방염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로 실리카 졸에 방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방염 소재를 적용하여 졸-겔법에 의한 방염 접착제 또는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기존의 방염소재는 물론 비방염소재의 방염화를 비할로겐 방법으로 적용가능하며, 기존의 접착 코팅제의 기본 물성과 특히 내열성능을 높여 화재 시 내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축자재의 비할로겐 방염화를 확대하고자 한다.

온도조건에 따른 내화뿜칠피복재의 함수율 변화 검토 (Study on Changes of the Moisture Content of Sprayed Fire-Resistive Material according to Temperature Conditions)

  • 이건철;최중구;이건영;김대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2-213
    • /
    • 2014
  • In case of fire spray protection sheath, fire resisting capacity is assessed for each material and installation method according to fire-resistive construction recognition. This study reviews effects of the percentage of water content that exist in fire spray protection sheath during the assess process of fire resisting capacity on fire resisting capacity, and changes of the percentage of water content according to temperature conditions. As a result of exams, as curing temperature is higher and thickness of specimen is thinner, decrease of the percentage of water content becomes significant.

  • PDF

도막상태에 따른 열감지기의 감온특성에 관한 시험, 연구 (A REPORT ON THERMAL LAG OF PAINTED HEAT DETECTORS)

  • 이복영;유인호
    • 방재기술
    • /
    • 통권14호
    • /
    • pp.18-33
    • /
    • 1993
  • This report is announced about thermal lag of painted heat detectors. Thermal lag is forecast result from painting the part of heat receiving. It is delayed responsive time to assume fire fighting, escape. Test is simulated that heat detector is painted by synthetic resin emulsion paint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installation. Painting method, number, thick etc is determined by research worker based on the popular idea.

  • PDF

소방펌프차의 고압방수를 위한 중계방수방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y Pumping Method for the High Pressure of Fire Engine Pump)

  • 민세홍;권용준;박종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52-5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물 화재 등 고압방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방수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방펌프차의 중계방수방법과 활용방안을 정립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중계 방수압력의 변화에 대하여 시험결과 소방펌프차의 방수구를 개방하고 측정하였을 경우 방수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보다 약 20 %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활동 현장에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소방펌프차 2대의 압력을 각각 변화시키면서 시험한 결과에서도 비슷한 효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고압 방수능력이 있는 소방펌프차가 소방서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소방펌프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에서도 고압 소방펌프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현재 보유하고 있는 소방차를 활용하여 초고층 화재 등 고압방수의 필요성이 있는 화재현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소방차량 운영 및 활용방안을 제안한다.

PSA기법을 이용한 원자력시설의 핵심구역 파악 (Vital Area Identification of Nuclear Facilities by using PSA)

  • 이윤환;정우식;황미정;양준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3-68
    • /
    • 2009
  • The urgent VAI method development is required since "The Act of Physical Protection and Radiological Emergency that is established in 2003" requires an evaluation of physical threats in nuclear facilities and an establishment of physical protection in Korea. The VAI methodology is developed to (1) make a sabotage model by reusing existing fire/flooding/pipe break PSA models, (2) calculate MCSs and TEPSs, (3) select the most cost-effective TEPS among many TEPSs, (4) determine the compartments in a selected TEPS as vital areas, and (5) provide protection measures to the vital areas. The developed VAI methodology contains four steps, (1) collecting the internal level 1 PSA model and information, (2) developing the fire/flood/pipe rupture model based on level 1 PSA model, (3) integrating the fire/flood/pipe rupture model into the sabotage model by JSTAR, and (4) calculating MCSs and TEPS. The VAT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the VIPEX that was developed in KAERI. This methodology serves as a guide to develop a sabotage model by using existing internal and external PSA models. When this methodology is used to identify the vital areas, it provides the most cost-effective method to save the VAI and physical protection costs.

전기화재감식용 블랙박스 개발연구 (The develpment of Black-Box for ldentification Electrical Fire)

  • 이복영;권오승;정창기;박상태
    • 방재기술
    • /
    • 통권30호
    • /
    • pp.46-54
    • /
    • 2001
  • According to the use of electric power increases, the fire which ignited by electrical causes increases too. In this thesis electrical fires which occurs in the country for the past ten years are analyzed and developed the technology to identify the electrical fire. The focus of study is method to identify the electrical fires. The causes of electrical fire, it is analyzed a short-circuit and a over current, which take the highest ratio compare with other causes. The rationalization of identification, an electrical operating status is continuous monitored and the status can be accessed, black-box for identification electrical f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causes of electrical fire are found out logically, and the developed black-box for identification fi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