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pread rat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8초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가연물의 열발생률 및 화재성장률 측정 - 판매시설의 플라스틱 화재를 중심으로 - (Measurements of the Heat Release Rate and Fire Growth Rate of Combustibles for the Performance-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Plastic Fire of Commercial Building)

  • 장효연;남동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55-62
    • /
    • 2018
  • 국내 성능위주소방설계(PBD)에 신뢰성이 향상된 예측결과를 기여하고자 판매시설 가연물 중 플라스틱으로만 이루어진 제품을 대상으로 실규모 화재실험이 수행되었다. 이때 판매시설의 경우 다양한 가연성 물질이 진열된 판매대의 간섭 또는 상품 적재 등으로 인한 화재확산의 검토를 위하여 단일 및 다수가연물로 분리되어 실험조건이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최대 열 발생률에 따른 가연물의 노출 면적 및 중량은 대략 93%와 89%의 매우 선형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가연물에 대한 가스농도의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CO_2$)는 최대 열 발생률에 대하여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반면 일산화탄소(CO)는 지수함수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판매시설에서 발생되는 플라스틱 화재의 PBD에 신뢰성있는 화원정보로서 적용될 수 있다. 추후 실제 판매시설에서 적용되는 진열대의 면적이 적용된 추가적인 실험을 통하여 판매시설의 플라스틱 화재에 대표되는 화원 정보로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의 현장실험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 Field Test for a Smoke Control System Using Sandwich Pressurization)

  • 김정엽;안찬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87-92
    • /
    • 2016
  • 국내에서는 고층 및 복합 건축물이 다수 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화재시 실효성 있는 연기대응 기술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으며, 고층 건축물에서 제연설비에 대한 대안으로서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은 연기확산 방지와 원할한 피난환경 제공을 위해서 적정 층간차압과 이를 위한 급배기 풍량의 설계에 관한 자료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실제 건축물에서 수행한 현장실험의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실험에서 화재층의 배기풍량과 상하부층의 급기풍량으로 시간당 6회의 환기횟수를 적용하였으며, 시스템 가동으로 화재층인 12층과 그 상부층인 13층 사이에 약 260 Pa의 압력차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압력차 형성은 피난 및 방화구획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가연성 외장재를 사용한 건축물의 화재확대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Spread Prevention of Building using Combusitible Exterior)

  • 박성하;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9-150
    • /
    • 2018
  • Recently, a large fire has occurred through a dry bit, which is a flammable exterior material, in Daebong Green Apartment Fire in Uijeongbu in 2015 and Jecheon Sports Center Fire in 2017. In this study, KS F ISO 5660-1 Cone calorimeter experiment was used to examine the fire risk of dry bit. Also, the performance of the repair and reinforcement materials to prevent fire expansion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dry bit is likely to be ignited by internal and external flower gardens, and its combustion rate and calorific value are very high.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heat resistance such as ALC panel and ceramic board as a repair and reinforcement material has been proved. However, the insulation is expected to require further consideration.

  • PDF

저성장속도 화재에서의 스프링클러 헤드 동작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prinkler Head Activation in Low Growth Rate Fire)

  • 최용섭;윤종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26-35
    • /
    • 2016
  • 스프링클러 설비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초기에 제어 및 진압하는 설비로서 어떠한 화재 분위기에서도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온도에서 정상적인 동작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최근 화재성장속도가 느린 화재 발생 장소에서 일부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동주택 침실규모의 모형실험 및 캐비넷형 버너를 이용하여 화재성장속도가 느린 조건을 형성하고 실제 현장에서 배관 내에 가해지는 최소압력인 0.2MPa 이상의 가압수를 공급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과반수 이상의 플러쉬형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Cold Soldering 현상이 발생되면서 불완전하게 개방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화재 조기진압 및 제어에 실패하여 화재확산 및 인명피해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국내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기준의 보완의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외장재 연소확대방지용 헤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ead for Prevent the Fire Spread of Exterior)

  • 민세홍;김미숙;장영진;사재천;배연준;이재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13-1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건축외장재 화재로 인한 수직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확대방지용 헤드를 개발하였다. 헤드개발의 성능기준은 NFPA 80A 7.7.4.3 조항(Recommended Practice for Protection of Buildings Exterior Fire Exposures)에 의거하였으며, 방사압 0.05 MPa, 방수량 60 l/min 기준을 적용하였다. 헤드개발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드렌처헤드와는 사용용도 및 구조가 전혀 상이하나 이를 응용가공하여 총 5차례의 실험과정을 통해 방사압 0.05 MPa일 때 방수량 65 l/min의 연소확대방지용 헤드를 개발하였다. 연소확대방지용 헤드의 헤드 간 적정 이격거리는 실험결과, 3~5 m 이내로 건물별 화재위험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계에 적용하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드렌처 헤드의 형상에 따른 수막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hape of a Drencher Hea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Water Curtain)

  • 이승철;김봉준;이재오;박충화;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86-93
    • /
    • 2016
  • 드렌처 헤드의 형상이 화재확산 차단을 위한 수막의 유동특성 및 복사 감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헤드의 형상인자로서 오리피스 출구와 반사판의 거리(h) 그리고 반사판의 직경(D)이 변화되었으며, 오리피스의 직경(d)은 고정되었다. 주요 결과로서, h의 증가는 방수량과 분사각의 증가를 가져오지만, D의 증가에 따라 분사각의 변화는 감소한다. D의 증가는 방수량 증가에 매우 작은 영향을 미치며, 분사각의 큰 감소를 초래한다. 또한 D의 증가는 보다 편평한 수막 패턴을 생성시킬 수 있지만, 분사각 내의 더 낮은 액적 균일도를 가져온다. 작동압력의 증가에 따라 평균 액적직경은 크게 감소하지만, 일정한 압력 조건 하에서 헤드 형상변화는 액적직경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일정한 작동압력의 조건에서 드렌처 헤드의 복사 감쇠효과는 h 및 D의 변화에 따른 방수량과 액적 균일도에 의해 각각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omparison of Two Different Smoke Extraction Schemes of Transversely Ventilated Tunnel Fire

  • Rie, Dong-Ho;Kim, Hyung-Taek;Yoo, Ji-Oh;Shin, Hyun-Jun;Yoon, Sung-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 /
    • 제4권2호
    • /
    • pp.30-35
    • /
    • 2005
  • In case of tunnel fire, one of the most effective facilities to save lives is the smoke control system. In this study, two different smoke extraction schemes of transversely ventilated tunnel were compared. One is the smoke extraction using the fixed exhaust ports on the false ceiling to achieve the uniform and distributed smoke extraction (uniform exhaust). The other is that using the remote controlled smoke extraction where only vents close to the fire is opened whereas the others are closed to enhance the limitation of the smoke spread (localized exhaust). A number of numeric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optimal smoke extraction rate at each smoke extraction scheme to allow the tunnel users to escape to the safe area without endangering their lives by smoke.

선박 구조 개선을 통한 승무원의 피난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advancement for evacuation of the crews by ship structural improvement)

  • 김원욱;이명호;김종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342-348
    • /
    • 2014
  • 육상구조물의 대형화재는 특수한 소방장비와 그에 적합한 방법에 의해서 소방관에 의해서 진압된다. 하지만 해양구조물은 육상으로부터 어떠한 도움없이 승무원에 의해서 진압되고 이들은 선박의 구조적 특성과 선박의 충돌 및 화재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신속한 탈출이 어렵다. 일반적으로 화재에 의한 인명손상의 경우에는 연기에 의한 질식사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탈출 시간의 단축은 생존율을 향상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화재 분석 전용 프로그램인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시 승무원 생존율 분석을 위한 거주 공간내의 온도 및 연기유동에 의한 가시거리를 분석한다. 기존의 선박은 화재 경보 발령 시 방화문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승무원이 없을 경우에는 화재의 확산 및 연기의 유동 지연에 아주 효과적이다. 그러나 대피시간이 지연될 경우에는 방화문 안쪽에 위치한 승무원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화재로 인해 방화문이 폐쇄되어 승무원들이 이 방화문을 열고 탈출하는 경우와 연구에서 제안하는 차단막을 설치했을 경우의 화재 구역의 온도상승 및 연기유동 속도를 비교 분석한다.

국내 랙크식 창고의 방화관련 규정 개선에 관한 연구 (An Improvement of Fire Safety Code for Rack-Type Warehouse in Korea)

  • 김운형;이영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69-75
    • /
    • 2014
  • 최근 발생한 아모레퍼시픽 창고화재는 국내 랙크식 창고의 자동식소화설비 및 감지기 설치기준의 보완 및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물류창고는 보관물품에 따라 화재 확산율 및 열 방출비율이 다르며 저장높이, 랙크 배치, 통로폭, 물품의 양 등에 따라서 화재위험성이 결정된다. 고천정화에 따른 화재하중의 증가로 인하여 자동식 스프링클러설비가 작동하여도 가연물에 직접적인 침투효과에 한계가 있으며 화재감지기의 작동시간이 지연되어 초기소화에 실패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화재사례 및 국내외 관련규정비교 그리고 현장조사 등을 수행하여 랙크식 창고의 초기소화 및 제어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수용물품의 위험도 분류 및 스프링클러 설치기준 개선방향과 화재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 도입을 제안한다.

방화 범죄에서 가연성 물질과 연소촉진제의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lammable materials and Combustion Accelerants in an Arson)

  • 박혜정;남기훈;김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7-11
    • /
    • 2017
  • 본 연구는 방화에 사용된 가연성 물질, 연소촉진제의 연소특성을 파악하여 방화에 사용 가능한 물질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방화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화에 대한 통계자료를 조사 및 분석하여 사용된 가연성 물질(목재, 종이, 합성섬유, 합성수지)과 연소촉진제(휘발유, 경유, 페인트 도료)를 선정하였다. 가연성 물질의 열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열 중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연성 물질과 연소촉진제의 연소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해 연소 화염전파속도 측정 실험을 실시하여 실험 결과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