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cenario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31초

화재이력에 따른 터널구조물 시공재료의 화재손상 평가 (Assessment of Fire-induced Damage to Tunnel Structural Members at Different Fire Scenarios)

  • 최순욱;장수호;권종욱;배규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60-969
    • /
    • 2006
  • In this study, a series of fire tests was carried out to evaluate fire-induced damage to structural members in tunnels. From the tests, the loss amount of concrete materials by the RWS fire scenario was slightly bigger than by the RABT fire scenario. Especially under the RWS fire scenario where the maximum temperature is over 1,200, the loss of concrete materials was mainly induced by melting. Generally, the loss of materials in reinforced concrete was slightly smaller than that in unreinforced concrete. Depending upon an applied fire scenario, fire-induced damage to shotcrete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real-time investigation of a specimen surface by a digital camcorder, it was proved that the material loss under the RABT fire scenario was mainly induced by spalling. However, it was also revealed that although fire-induced damage in the initial heating stage under the RWS was so close to that under the RABT, the material loss under the RWS at the later stage after 50 minutes elapsed since fire initiation was induced not by spalling but by melting.

  • PDF

화재에 의한 터널구조물 시공재료의 손상 평가 (Evaluation of Fire-induced Damage to Structural Members in Tunnels)

  • 장수호;최순욱;권종욱;배규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C호
    • /
    • pp.219-22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나리오에 따른 터널구조물의 시공재료별 단면손실과 폭렬현상을 파악하고자 터널구조물 시공재료별로 시험체를 제작한 후 모의 화재시험을 수행하였다. 시공재료별로 화재시험을 수행한 결과, 모든 시공재료에서 RABT 화재곡선보다 RWS 화재곡선에서 단면손실이 다소 크게 발생하였다. 특히, RWS 화재곡선에서 나타나는 $1,200^{\circ}C$ 이상의 고온으로 인한 융해는 시공재료의 단면손실에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철근 보강 구조물은 무근 구조물에 비해 단면손실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숏크리트의 경우 화재 시나리오에 따른 단면손실의 차이가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가열시험 도중에 가열면을 실시간 관찰한 결과, RABT에서의 재료 손상은 폭렬과 탈락에 의해 발생한 반면 RWS에서는 초기에는 RABT와 유사하나 가열개시후 약 50분 이후의 재료 손상은 폭렬과 탈락이 아닌 융해에 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화재안전설비 작동 시나리오에 따른 화재위험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Risk according to the Operation Scenario of Fire Safety Equipment)

  • 진승현;구인혁;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9-140
    • /
    • 2022
  •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ata for fire risk assessment. In the existing fire risk assessment, the operation of fire safety facilities is not considered.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data on the fire growth rate to predict the spread of fir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build a fire scenario using fire statistics data. In addition, the fire growth rate is to be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floor area of burnout and the cause of fire.

  • PDF

스마트 화재대피 유도 컴퓨터 및 실증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이 피난 유도와 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uter and demonstration scenario simulation using smart fire evacuation guidance on evacuation induction and time)

  • 신동민;조병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44-253
    • /
    • 2021
  • 본 연구는 화재 발생 시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 대피 유도 서비스 시스템이 화재대피 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컴퓨터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을 때 대피시간이 22초 단축되었고 실증시뮬레이션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을 때 대피시간이 40초 감소되어 화재 발생 시 피난 시간 단축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실증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는 피난유도를 실시한 경우가 실시하지 않은 경우보다 피난 종료까지 시간이 39초 더 빠르게 나타났다. 실증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은 피난 경로에 병목현상이 발생하지 않았고 이로인해 컴퓨터 시나리오 시뮬레이션과 실증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의 대피 완료 소요시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추후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에 학생실습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국내 성능위주설계의 시행현황 분석 - 화재시나리오 및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of Domestic PBD (Performance 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Fire Scenario and Simulation)

  • 안성호;문선여;류일현;최준호;황철홍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2-40
    • /
    • 2017
  • The current status of Performance-Based Design (PBD) implemented in 4 wide areas (Seoul, Gyeonggi, Incheon and Busan) over the past 5 years was reviewed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PBD implementation and target buildings. Then, detailed status related to fire scenarios, input information for fire simulation, and grid size were analyzed with the pre-review for the PBD. As a result, the domestic PBD was mainly applied to the mixed occupancy. In the fire simulations performed on the identical fire scenario and fire space,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HRR)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PBD designer. Various combustibles were also considered for the identical fire source, and their combustion properties also showed considerable uncertainty.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accurate input information for predictive models of heat and smoke detectors was examined. Finally, the average grid size for the fire simulation using Fire Dynamics Simulator (FDS) was analyzed, and the improvement of PBD to minimize designer dependency was proposed.

화염 전파모델을 이용한 소파화재 설계화원구성의 적용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Fire Scenario Design of a Couch Burning through a Fire Spread Model)

  • 김성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37-42
    • /
    • 2016
  • 본 연구는 화재전파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화재 위험성 평가에 적용되는 설계화재 구성의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화재전파해석을 위해 열중량분석과 시편연소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실험에서 얻어진 물성을 FDS 열해리 모델에 적용하여 격자크기에 따른 화재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전체적인 화재성장특성은 실화재 실험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으나 초기 피크 발열량과 전체 방출 열에너지는 약 30% 이내에서 유사한 예측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해석모델은 화재성장율이나 최대발열량 도달시간 등과 같은 화재성장특성을 예측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지속적인 모델의 개선 및 재료 물성의 상세연구를 통해 설계화재시나리오 구성에 있어서 화재모델의 적용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화재시나리오별 침매터널 구조물의 화재저항성 평가 (Assessment of structural fire resistance of a fire-proofed immersed tunnel under tunnel fire scenarios)

  • 최순욱;장수호;김흥열;조봉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429-44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뿜어붙임 방식의 모르타르 내화재가 시공된 침매터널 벽체구조물을 모사한 철근콘크리트 블록시험체에 대해 $HC_{inc}$ 화재시나리오와 IS0834(4시간) 화재시나리오 하에서 침매터널 내화재의 화재저항성 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HC_{inc}$ 화재시나리오 하에서는 내화재와 시험체 계면으로부터 0, 25, 50 mm 위치에서의 최대온도가 각각 $311^{\circ}C$, $194^{\circ}C$, $142^{\circ}C$로 나타났으며, IS0834(4시간) 화재시니리오 조건에서는 0, 25, 50 mm 위치에서의 최대온도가 각각 $332^{\circ}C$, $222^{\circ}C$, $179^{\circ}C$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적용된 두 가지 화재시나리오들은 최대온도개념에서 유사한 화재강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내화재 설치여부에 따른 침매터널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구조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내화재가 설치되지 않은 시험체에 대한 화재시험을 수행하여 화재에 의한 콘크리트의 단면손실과 강도저하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구조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상의 해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된 강력한 화재시나리오 조건에서는 침매터널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내화재가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유화학공장의 소화설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 Petrochemical Plants)

  • 김봉훈;최재욱;임우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4-22
    • /
    • 2014
  • 석유화학공장에서 화재 폭발사고는 매년 반복되고 있으나 화재 방호시스템에 관한 국내 법규는 최악의 화재 시나리오에 대응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석유화학공장에서 국내외 화재 방호시스템의 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울산국가산업단지 석유화학공장 32개소의 소화설비 현황을 조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석유화학공장에서 소화용수는 최악의 화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하여 설계하고 고정식 물분무 설비, 고가 모니터 노즐, 워터커튼 설비, 대용량 포모니터 설비와 같은 소화설비가 최악의 화재 시나리오에 대비하여 설치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화재위험평가를 위한 화재통계 기반 화재시나리오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Scenario Analysis Based on Fire Statistics for Building Fire Risk Analysis)

  • 진승현;김혜원;구인혁;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1-82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methodology for rational fire risk assessment for building evacuation safety in case of fire, and specifically, to propose a fire risk assessment technique using fire scenarios considering various uncertain factors in case of fire. In order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the assumed conditions can occur, that is, the probability of each accident caused by fire, the safety rat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factor by using fire statistics. Factors related to the fire protection performance and evacuation ability of buildings are defined as disaster factors. In this study, disaster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 PDF

터널 화재로 인한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손상특성 규명 (Fire-induced damage on Shield TBM concrete segment)

  • 최순욱;장수호;이규필;배규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3-430
    • /
    • 2005
  • Fire accidents in underground space may bring much loss of lives as well as properties and result in catastrophic disasters. This study aimed to manufacture the high-temperature furnace capable of simulating fire scenarios (RABT and RWS) and carry out the preliminary fire tests to evaluate fire-induced damage in underground structures. Specimens used in the fire tests were the concrete segments generally used in shield TBM tunnels. The simulated fire scenario was set to the RABT curve that is the most representative fire scenario in underground space. From the fire tests, the spalling was estimated to reach approximately 20cm from the surface exposed to fire. In addition, from the observation of core specimens obtained after fire tests, the deteriorated zone of unspalled specimens amounted to approximately 10cm from the surface of spal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