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ire prevention

Search Result 1,54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demonstrate research for u-IT bas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the wooden cultural assets (우리나라 목조문화재의 u-IT기반 방재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한 실증 연구)

  • Kim, Jeong-Ho;Shin, Ho-Jun;Lee, Ji-Hyang;Bac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210-21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숭례문(국보 1호) 화재와 같은 문화재의 소실을 예방하고 초기 화재 진압을 위한 u-IT 기반 방재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한 실증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 PDF

A Study on the Measures of Fire Protection System of Historic Timber Architecture in Kangwon-Do (강원도지역 중요목조문화재 소방대책에 관한 연구)

  • Koo, Won-Hoi;Jung, Hae-June;Shin, Ho-Joon;Bac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46-449
    • /
    • 2011
  • 2005년 낙산사 이후 강원도 지역의 목조문화재의 소방대책 및 안전의식의 증대와 함께 많은 소방시설의 보강 및 정비가 이루어 졌다. 그럼에도 2008년 숭례문화재가 발생하는 등 목조 문화재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강원도에 위치한 중요 목조 문화재를 중심으로 목조 문화재의 소방 시설을 비교하고 삼척시에 위치한 죽서루를 중심으로 소방 현황과 대책에 대해서 알아보고 목조문화재의 화재 예방 및 소방대책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Investigation of main Combustibles for fire behavior prediction at Underground Spaces (지하대공간 화재성상 예측을 위한 주요가연물조사)

  • Kang, Seung-Goo;Seo, Dong-Goo;Kim, Dong-Ju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76-79
    • /
    • 2011
  • 본 연구는 지하대공간의 화재 하중 및 성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주요가연물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대형서점의 가연물의 종류, 크기, 재질과 지하주차장의 가연물의 종류, 주차대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지하공간내 발열량이 높은 곳과 위험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곳을 선정하여 가연물조사를 통해 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표준 모델을 모듈화를 제안하여 지하대공간의 화재성상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한다.

  • PDF

The Necessity and Assignment of Development of Simulation for Fire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Korea Situation in Residencial Space (주거시설의 화재조사를 위한 한국형 화재성상 시뮬레이션 개발의 필요성 및 과제)

  • Kwon, Young-Jin;Lee, Rang;Kim, Dong-Eun;Kim, Bong-Chan;Lee, Ju-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135-138
    • /
    • 2011
  • 최근 국내의 경우 FDS를 이용한 성능설계, 화재영향평가 및 피난안전성평가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더불어 제조물책임법(PL법)과 실화책임에 대한 법률등이 새롭게 제정됨에 따라 화재조사 및 감정분야에 화재시물레이션이 적용될것으로 예상됨으로서 이러한 분야에 대한 화재시물레이션의 적용이 큰 이슈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방방재청에서도 차세대소방기술에 대한 R&D로서 수행중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FDS를 화재조사에 활용함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대책을 검토한 것이다.

  • PDF

An Experimental and CFD Analysis Study on the Buildings Distance for Fire Propagation (건축물 화재에서의 인동거리에 따른 화재 전파에 대한 실험 및 CFD해석)

  • Kim, Dong-Eun;Kim, Bong-Chan;Lee, Jae-Won;Lee, Ju-Hee;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131-134
    • /
    • 2011
  • 최근 건축물 화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화재지점의 연소보다 연소 확대를 통한 인접건축물의 화재로 전파되는 2차적 피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재 피해의 경우 화재원인을 명확하게 결정내리기 힘들기 때문에 화재 조사 분야에서도 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호서대학교에서는 2009년 도시화재의 물리적 연소성상 예측모델을 위한 실제 실험을 대상으로 CFD 중 FDS를 이용하여 이를 해석하고 이를 통한 화재조사분야에서 활용범위와 신뢰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Urban Fire in Domestic and Foreign and the Analysis of Researches Trend (국내.외 도시화재의 특징 및 연구동향 분석)

  • Kim, Bong-Chan;Shin, Yi-Chul;Koo, In-Hyuk;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54-459
    • /
    • 2010
  • 우리나라는 아직도 화재경계지구로 분류된 노후화된 주택 또는 시장, 밀집지역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자연재해로 인한 화재 발생 시 매우 취약하며 이러한 특성이 도시화재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연구 및 대응책이 미비하며, 이에 국내 외 도시화재 특징 및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도시화재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로의 제시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