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flame detect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7초

A Low-cost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Thermal Camera

  • Nam, Yun-Cheol;Nam, Yunyo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3호
    • /
    • pp.1301-1314
    • /
    • 2018
  • In this paper, we present a low-cost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thermal camera and a smartphone. The developed system collects thermal and RGB videos from the developed camera. To detect fire, candidate fire regions are extracted from videos obtained using a thermal camera. The block mean of variation of adjacent frames is measured to analyz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ndidate fire regions. After analyz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regions of interest, a fire is determined by the candidate fire reg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system, we compared with a smoke detector, a heat detector, and a flame detector. In the experiments, our fire detection system showed the excellent performance in detecting fire with an overall accuracy rate of 97.8 %.

YCbCr 컬러 모델에서의 조건 검사와 적응적 차영상을 이용한 화염 및 연기 검출 알고리즘 (A Real Time Flame and Smok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Conditional Test in YCbCr Color Model and Adaptive Differential Image)

  • 이두희;유재욱;이강희;김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7-6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감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 정보로 연기와 화염을 실시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산불은 막대한 인명, 재산피해를 불러오기 때문에 조기 감지에 따른 초기 진화가 매우 중요하다. 제안하는 산불 감시 알고리즘은 화염 감지와 연기 감지로 나뉘는데, 화염 감지는 단일 프레임에서 YCbCr 컬러 모델에서의 조건 검사를 통하여 화염을 검출한다. 연기 감지를 위해서는 먼저 현재 영상과 인접한 프레임들의 평균 영상사이의 차를 가중치로 이용하여 배경 범위를 설정하고, 이 범위를 벗어나면서 회색조를 갖는 픽셀만을 연기영역으로 검출한다. 제안하는 화염 감지 알고리즘은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일조량에 따른 조도의 변화에 강건하고, 연기 검출 알고리즘은 단위 시간동안의 변화량을 고려하여 회색조의 픽셀만을 연기로 감지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조기 산불 탐지가 가능하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산불 감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DSP를 이용한 지능형 화재검출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Fire-Detection Systems Using DSP)

  • 김현태;송종관;박장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11-414
    • /
    • 2009
  • 화재로 인해 많은 물적 인적 피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처리기법과 고속의 DSP 프로세서 기술 그리고 IT 기술을 활용하여 발화 초기에 화재를 인식하고 경보를 발생하여 화재에 조기 대응하는 화재 검출 알고리즘을 실장한 지능형 화재검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지능형 시스템의 화재 검출 알고리즘은 화염검출과 연기검출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진다. 화염 또는 연기만 발생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경보를 관리용 컴퓨터에 전송한다. 화염과 연기가 동시에 발생하면 화재경보를 발생하도록 하였다. 다양한 환경에서의 실제 실험을 통해 오작동 없이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조명과 환경 변화에 강건한 화염 검출 시스템 (A Fire-Detection System Robust to Light Sources and Environment changing)

  • 박수창;박장식;손경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2-38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주변 조명과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강건한 화염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RGB 색좌표계에서 화염과 조명의 색 특성을 분석하여 주변색과 화염을 분리할 수 있고 조명에 강건한 임계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화염은 발생 후 동적인 변화를 가지므로 평균 히스토그램 차는 조명과 환경 변화에 강건한 화염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염 영역 내부의 픽셀 수의 변화를 계산하여 화염을 인지하도록 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조명과 환경 변화에 불구하고 화염 검출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 PDF

랙크식 물류창고 조기 화재감지를 위한 최적 화재감지기 설치방법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Optimum Installation of Fire Detector for Early Stage Fire Detecting in Rack-Type Warehouses)

  • 최기옥;김동석;홍성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8-45
    • /
    • 2017
  • This paper is an experimental study to find an optimal detection method for detecting fire early in a rack-type warehouse stored with goods.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rack-type structure with the fourth floor of 13.5 m high and conducted fire experiments which were to measure flow of heat/smoke in rack-type structure and response time of fire detectors. The detectors used at experiments were fixed temperature type detectors, rate of rise detectors, photoelectric smoke detectors, air sampling smoke detectors and flame detectors. The used ignition sources are n-heptane fire for response of heat detection and cotton fire for response of smoke detection. The fixed temperature type detectors, rate of rise detectors and photoelectric detectors were installed to every rack level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rate of rise detector should be installed every 2 levels and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should be installed every 4 levels for the early stage fire detection. Air sampling smoke detectors can detect fire early in response to control of sensitivity, but there is a problem in false alarm. The fixed temperature detector is not suitable for early stage fire detection in warehouse and flame detector not worked if flame is not visible, so it need to install combination with other detector.

화염의 칼라와 움직임을 이용한 화재감지 (A Fire Detection Using Color and Movement of Flames)

  • 조경래;배성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8-1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영상에서 화염의 칼라와 움직임 특징을 이용한 새로운 화재 감지 방법을 제안한다. 색차로부터 휘도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RGB 칼라를 YCbCr 성분으로 변환한다. 제안한 방법은 인접 영상들 간의 휘도의 차를 누적하여 화염의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고, 화염의 색을 이용하여 화염 후보 영역을 생성한다. 최종적으로, 화염 후보 영역의 면적에 대한 시간적 변화를 이용하여 화염 영역을 결정한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비디오 영상에서의 화재 감지 방법보다 화재 영역의 분류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선박 기관실에서의 화재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Detection in Ship Engine Rooms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박경민;배철오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6-481
    • /
    • 2019
  • 화재의 초기 검출은 인명과 재화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불꽃과 연기를 신속하면서 동시에 검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영상 기반의 화재 검출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화재 검출은 불꽃과 연기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여러 알고리즘을 거쳐서 화재의 검출 유무를 판단하므로 연산량이 많이 소모되었으나, 딥러닝 알고리즘인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면 별도의 과정이 생략되므로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기관실에서 화재 영상을 녹화한 데이터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불꽃과 연기의 특징을 외각 상자로 추출한 후 합성곱 신경망 중 하나인 욜로(YOLO)를 이용하여 학습하고 결과를 테스트하였다. 실험 결과를 검출률, 오검출률, 정확도로 평가하였으며 불꽃은 0.994, 0.011, 0.998, 연기는 0.978, 0.021, 0.978을 나타내었고, 연산시간은 0.009s를 소모됨을 확인하였다.

퍼지 로직을 이용한 화재 불꽃 감지 (Fire-Flame Detection Using Fuzzy Logic)

  • 황현재;고병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6B권6호
    • /
    • pp.463-470
    • /
    • 2009
  • 본 논문은 기존의 센서 기반 화재 감지기가 넓은 장소와 개방된 공간에서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화재 불꽃 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수의 휴리스틱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속도가 느린 문제점을 보여주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값들을 사용했으며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블록 단위로 처리하였다. 먼저 입력된 영상에서 배경 모델과 불꽃 색상 모델 을 이용하여 화재 후보 영역을 추출한다. 그 후 후보 블록에 대하여 시간축 상에서의 명도 변화, 웨이블릿 계수 변화, 모션 변화를 추출하여 확 률 모델을 생성하며, 생성된 모델들을 퍼지 로직의 멤버십 함수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역퍼지(defuzzification) 과정을 통해 최종 결과 함수를 생성하고 이로부터 불꽃 발생 확률값을 예측하였다. 실험에서는 제안한 화재 불꽃 감지 알고리즘을 성능이 가장 좋다고 알려진 Toreyin의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UV-IR 복합형 화재감지장치 개발 (The Development of UV-IR Combination Flame Detector)

  • 이복영;권오승;정창기;박상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01
  • All objects emit thermal radiation and this radiation is the basis of the techniques used to detect flames. The usual phenomena occurring in the initial stage of the fire are generally invisible products of a combustion and visible smoke. Liquid or gaseous materials do not undergo a smoldering stage so that fires develop very rapidly. Also, the heat generated by the initial flames is usually not sufficient to activate a heat detector. In this case the most effective criterion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is the flame. According to the fire regulation of korea, the compulsory standard provided that a flame detector shall be installed in a place that the attachment height of detector is higher than 20 m, chemical plants, hangar, refinery, etc..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discriminated between a flame and other radiant emitters, developed a UV detector tube contains an inert gas which absorbs UV radiation, developed PZT pyroelectric element is based on the use of photovoltanic cell, developed IR band-pass filter that only allow a 4.3 $\mu\textrm{m}$ radiation wavelength to reach the sensors and developed UV-IR combination flame detector combined into a single detection device.

  • PDF

컬러 화재영상의 화염 색상 및 시공간적 특성 분석 (Flame Color,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Color Fire Images)

  • 황준철;김원호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41-4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컬러 화재영상에 포함된 화염의 색상 분석과 시공간적 특징 분석을 통하여 신뢰성 높은 화재 판정 조건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컬러영상에서 화염을 판정하는 컬러속성으로서 Y-휘도 성분과 Cr-색차 성분을 조합한 문턱치를 도출하고 화염 후보영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화염 후보영역에 대해서는 화염의 공간적인 질감분석과 시간적인 동적변화를 DCT와 프레임간 휘도성분 변화량을 분석하여 최종 화염 판정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시한 화염 판정 조건의 신뢰성과 실용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