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alarm sound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공동주택에서의 화재 경보음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An Study on the Sound Attenuation of Audible Fire Alarm Device in Apartment Buildings)

  • 이민주;김명준;윤명오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58-661
    • /
    • 2005
  • In many fire emergencies, the auditory fire alarm signals are very important to save the occupant's life. But as the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elements has been improved, it is more difficult for occupant to recognize the fire alarm signals when the audible fire alarm worked. This is the first study to show the sound attenuation of audible fire alarm device in apartments.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sound attenuation level in seven units. The result showed that it was not sufficient to detect the sound from the fire alarm device in bedrooms. Whether the fire alarm device worked or not, the differences of sound level in bedrooms were below 1$\sim$10dBA. To give the minimum sound level 60dBA in bedrooms, the proper sound levels from alarm device installed in livingrooms were suggested using computer simulation.

  • PDF

공동주택 화재 경보음 전달특성과 개선방안 고찰 (An Study on the Sound Attenuation and the Improvement in Hearing Condition of Fire Alarm Device in Apartment Buildings)

  • 이민주;윤명오;김명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593-601
    • /
    • 2006
  • In many fire emergencies, the auditory fire alarm signals are very important to save the occupant's life. But as the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elements has been improved, it is more difficult for occupant to recognize the fire alarm signals when the audible fire alarm worked. This is the first study to show the sound attenuation of audible fire alarm device in apartments.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sound attenuation level in seven units. The result showed that it was not sufficient to detect the sound from the fire alarm device in bedrooms. Whether the fire alarm device worked or not, the differences of sound level in bedrooms were below 1$\sim$10 dBA. To give the minimum sound level 60 dBA in bedrooms, the proper sound levels from alarm device installed in livingrooms were suggested using computer simulation.

공동주택 화재경보 발생음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ound attenuation of the fire alarm sounder system in apartment buildings)

  • 이민주;강희혁;권봉석;김명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62-1168
    • /
    • 2007
  • In many fire emergencies, the audible fire alarm signals are very important to save the occupant's life. But as the sound insulation of building elements has been improved, it is more difficult for occupant to recognize the fire alarm signals when the fire alarm worked. This is the study to show the sound attenuation of the fire alarm sounder system in apartment buildings.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sound attenuation level in 17 unit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minimum sound level at sleeping area by NFPA(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72. When only the fire alarm worked in stair hall, the sound levels in bedroom were in the range of $30.6{\sim}42.8dB(A)$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ound level and ambient sound level in bedrooms were in the range of $7.1{\sim}13.8dB(A)$. And when the emergency broadcasting device in the livingroom and the fire alarm worked simultaneously, the sound levels in bedrooms were in the range of $54.2{\sim}63.0dBA$. Finally, it was showed that the fire alarm sounder system didn't give a sufficient sound level in bedroom to awake out of sleep.

  • PDF

공장소음으로 인한 화재 경보음 인지 영향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ise Generation and Awareness of the Fire Alarm Sound in the Factory)

  • 이영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7-103
    • /
    • 2015
  • The people who are in the noise factory are difficult to hear and recognize about fire and to evacuate quickly when a fire occu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orkplace's background noise of 31 factories in Incheon and to know the workplace noise level comparing to fire alarm sound level. The measured average noise level was 96.8dB(A). Noise level of measured result was exceeded as 6.8dB(A) comparing to NFSC (National Fire Safety Code) noise level of 90dB. NFPA suggests that when background noise exceeds 85dB or more than that, other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to know alarm sound. Also fire alarm sound should exceed more than 15dB(A) comparing to background noise level.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design of the fire alarm systems should not be applied to the workplace without considering background noise and it needs to be improved with regulations and the systems.

공동주택에서의 화재경보음 전달 (Fire Alarm Sound Transmission in Apartment Units)

  • 정정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67-75
    • /
    • 2018
  • 공동주택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 최소화 및 재실자의 신속한 대피를 위해서는 화재 발생 사실이 경보음을 통해 전체 세대로 전달되어야 한다. 공동주택의 경우 엘리베이터 실과 같은 공용공간에 경종이 설치되어 있으나, 세대내 공간으로 경보음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공동주택에서의 주,야간 소음을 측정하여 공동주택 세대 내 소음 발생 실태를 조사하고 세대내 공간으로의 경보음 전달 정도를 분석하였다. 엘리베이터 실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이 공동주택 내부로 전달되는 경우 방화문 및 방문의 차음성능으로 인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 레벨을 고려하면 공동주택 외부에서 발생되는 경보음을 청취하여 피난행동을 시작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공동주택 거실의 월패드와 각 방별로 경보음 발생기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음향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각 방별로 경보음 발생기를 설치한 경우에서만 배경소음 + 15 dB 기준과 75 dB (A)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통한 경보음 전달 예측과 개선 (Prediction and Reduction of Alarm Sound Propagated through Elevator Shaft)

  • 정정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89-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선경보방식으로 경보음이 발생되는 경우 발화층과 직상층 이외의 다른 층으로도 전달되는 경보음에 대하여 건축음향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배치를 갖는 3가지 조건에 대하여 예측하였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흡음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현재 조건으로 예측한 경우, 경보 발생층에서 멀어질수록 전달되는 경보음 크기는 작아졌지만, 3개층이 떨어진 경우에도 약 54 dB(A)~56 dB(A) 크기로 전달되어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배경소음 보다 크게 전달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개선안으로 제시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흡음재를 적용한 결과 인접층으로 전달되는 경보음 레벨은 약 12 dB~16 dB 정도 작아질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공동주택의 배경소음 레벨과 유사하거나 작은 정도로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규정한 일제경보방식의 의도대로 경보음이 발생되는 발화층과 직상층 이외의 층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화재비상경보음의 건물 내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Fire Alarm Sound in Buildings)

  • 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53-16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건축 실내음향 특성파악에 이용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상경보설비의 음향장치에 공급되는 전압의 변동에 따른 비상경보설비음의 전달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상경보설비의 음향장치 음향파워레벨(정격전압 DC 24V)은 경종은 98.6dB, 전자식사이렌 스피커는 95.7dB 그리고 전자식사이렌 폰은 101.8dB로 측정되었다. 또한 경종은 주파수 증가에 따라 음항파워레벨이 증가하고 고주파 대역에서 피크 레벨을 보이는데 반해 전자사이렌의 폰형과 스피커형은 135~200Hz에서 최저음향파워레벨을 보이다가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패턴을 나타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상경보설비와의 이격거리에 따른 전달특성을 살펴보면, 대상건물의 복도에서는 전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인접해 있는 강의실에서는 벽체 부분을 제외한 우회전달음의 영향으로 비상경보설비 음향장치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전달되는 음압레벨의 차가 크게 발생하였다. 향후 예측수법의 정확도와 타당성 검토을 통한 화재비상경보음의 전달특성을 건축물의 계획 시에 예측 비교한다면 화재 경보의 인지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주거공간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he Single Alarm Detector in the Rooms of Single Houses by Computer Simulation)

  • 임근주;박상천;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29-35
    • /
    • 2020
  • 본 연구는 단독주택에 설치된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층 주택 2개 및 2층 주택이 포함된 세 가지 유형의 주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주거 공간에서 경보음 발생에 따른 음압 레벨을 예측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적용된 음원의 특성을 직접 측정하여 입력 데이터로 사용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부엌과 거실에서의 음압레벨이 탐지기의 경보음이 발생했을 때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침실에서의 음압레벨은 미국화재방지협회 기준인 75 dB(A)보다 최소 20 dB(A)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주택 내부의 침실 공간에서 충분한 음압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관련 표준을 제정하여 화재시 안전한 대피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소규모 건설공사현장 작업자의 화재경보음 인지 실험 (Experiment on the Perception of Fire Alarm Sound of Small Construction Site Workers)

  • 문필재;김서영;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53-160
    • /
    • 2023
  • 이 연구는 소규모 건설 현장에서의 사이렌 및 휴대용 확성기에 대한 작업자의 화재경보음 인지 실험에 관한 연구이다. 사이렌 경보음 인지 분석 결과 지상 1층, 지상 2층, 지상 4층에서 측정한 경우 1층 보다는 지상 4층에서사이렌 경보음 인지 불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지상 1층의 경우 1명이 전부 인지 불능이었다. 지상 2층의 경우 1명이 마지막 3차에서는 인지를 못하였으며, 다른 1명은 3번 모두 인지 불가였다. 지상 4층의 경우에는 3명이 3차 실험 모두 인지 불능으로 나타났다. 휴대용 확성기 경보음 인지 분석 결과 지상 1층의 경우 1명이 전부 인지 불능이였으며, 지상 2층의 경우 총 2명이 인지 불능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었고, 마지막인 지상 4층의 경우에는 4명이 모두 인지 불능으로 나타났다. 인지를 하지 못한 실험자들은 모두 작업 공간 및 장애물로 인해 휴대용 확성기 경보음과 작업 소음을 구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난조명 및 음성경보 기능을 내장한 화재경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re Alarm System with Evacuation Lighting and Voice Alarm Functions)

  • 이건호;최수길;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25-34
    • /
    • 2018
  • 본 논문은 피난조명 및 음성경보 기능을 내장한 화재경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화재감지기에 화재시 피난성능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화재조기인지 및 피난시야확보가 가능하도록 피난조명 및 음성경보 기능을 자체적으로 내장한 화재감지기 및 시스템을 개발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경우 평균조도가 1.62 lx, 평균음향 89.7 dB, 평균음성 86.1 dB로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한 피난성능실험결과 본 실험조건에서 기존시스템보다 63.08%에서 67.82%까지 피난시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시스템의 경우 자체 음성경보를 통해 화재인지 실패를 방지하고, 비상조명 점등을 통해 최소한의 피난을 위한 가시거리를 제공함으로써 화재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화재취약계층인 청각장애인 및 시각장애인까지 고려함으로써 당위성 및 효용성을 갖춘 화재경보시스템으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