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afety Measures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6초

Biorisk Assessment of Medical Diagnostic Laboratories in Nigeria

  • Oladeinde, Bankole Henry;Omoregie, Richard;Odia, Ikponmwonsa;Osakue, Eguagie Osareniro;Imade, Odaro Stanley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4권2호
    • /
    • pp.100-104
    • /
    • 2013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public and private medical diagnostic laboratories in Nigeria for the presence of biosafety equipment, devices, and measures. Methods: A total of 80 diagnostic laboratories in biosafety level 3 were assessed for the presence of biosafety equipment, devices, and compliance rate with biosafety practices. A detailed questionnaire and checklist was used to obtain the relevant information from enlisted laboratori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e presence of an isolated unit for microbiological work, leak-proof working benches, self-closing doors, emergency exits, fire extinguisher(s), autoclaves, and hand washing sinks in 21.3%, 71.3%, 15.0%, 1.3%, 11.3%, 82.5%, and 67.5%, respectively, of all laboratories surveyed. It was observed that public diagnostic laboratorie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an isolated unit for microbiological work (p = 0.001), hand washing sink (p = 0.003), and an autoclave ($p{\leq}0.001$) than private ones. Routine use of hand gloves, biosafety cabinet, and a first aid box was observed in 35.0%, 20.0%, and 2.5%, respectively, of all laboratories examined. Writte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biosafety manuals, and biohazard signs on door entrances were observed in 6.3%, 1.3%, and 3.8%, respectively, of all audited laboratories. No biosafety officer(s) or records of previous spills, or injuries and accidents, were observed in all diagnostic laboratories studied. Conclusion: In all laboratories (public and private) surveyed, marked deficiencies were observed in the area of administrative control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biosafety. Increased emphasis on provision of biosafety devices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codes of practices issued by relevant authorities is strongly advocated.

Exploring Occupational and Behavioral Risk Factors for Obesity in Firefighter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Study Design

  • Choi, Bong-Kyoo;Schnall, Peter;Dobson, Marnie;Israel, Leslie;Landsbergis, Paul;Galassetti, Pietro;Pontello, Andria;Kojaku, Stacey;Baker, Dea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2권4호
    • /
    • pp.301-312
    • /
    • 2011
  • Firefighters and police officers have the third highest prevalence of obesity among 41 male occupational groups in the United States (US).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firefighter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behaviors with obesity.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framework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conditions, health behaviors, and obesity in firefighters. In addition, the paper describes a detailed study plan for exploring the role of occupational and behavioral risk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obesity in firefighters enrolled in the Orange County Fire Authority Wellness Fitness Program. The study plan will be described with emphasis on its methodological merits: adopting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pproach, developing a firefighter-specific work and health questionnaire, conducting both a cross-sectional epidemiological stud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a sub-study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ith dietar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measures, and evaluat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body mass index as an obesity measure in comparison to skinfold-based percent body fat. The study plan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can be an essential first step for establishing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for obesity among professional and voluntary firefighters.

Sliding Arc Plasma를 이용한 석유공장에서의 BTX 처리효율에 관한 연구 (BTX Treatment of a Petrochemical Plant by Sliding Arc Plasma)

  • 권우택;권이승;이우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65-70
    • /
    • 2015
  • 본 연구는 울산소재 석유공장의 건조시설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스크러버(Scrubber)로 최종 처리하여 배출되는 저 농도의 유해가스와 산 처리 시설에서 발생되는 고 농도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공정별로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및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s)을 대상으로 측정하였으며 농도 측정은 TVOCs 측정기와 GC-MSD를 이용하여 SAP 전 후단의 TVOCs와 BTX의 농도를 측정, 분석하여 제거효율을 평가하였고, SAP 반응기는 5 단계로 구성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슬라이딩 아크 프라즈마(slidind arc plasma) 반응기의 단수별에 따른 TVOCs 농도 변화는 유입 TVOCs 농도의 변화에 따른 처리효율 결과 481 ppm 미만에서 94.83%, 481 ppm 이상일 경우에는 1단에서는 89.07% 2단에서는 약 91% 이상으로 처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석유화학공정 및 제조시설에서 SAP 공정을 통한 VOCs 제거에 대한 연구 및 기술개발의 기초가 되어 VOCs의 보다 안정적인 처리와 다양한 기술개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인화성액체 취급 연구실의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관한 기준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Explosive Hazardous Areas in Flammable Liquid Handling Laboratories)

  • 김민호;이준서;김은희;마병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8
    • /
    • 2022
  • 화학 산업의 발전에 따라 관련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화재·폭발 사고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화재 ·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인화성액체를 취급하는 장소 등은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한국산업표준(KS C IEC60079-10-1)에 따라 폭발위험장소를 구분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인화성액체를 취급하는 연구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실에서 인화성액체가 누출되어 증발 풀(pool)을 형성하는 경우 한국산업표준에 따른 폭발위험장소 구분 절차의 적용성과 환기속도의 변화가 누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실과 같은 장소는 한국산업표준에 따른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대한 기준적용이 어려우며, 별도의 안전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중대재해처벌법과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연계방안 연구 - 중대산업재해 중심 (A Study on the Link between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and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Focused on the Serious Industrial Accidents)

  • 이병림;김상덕;최재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660-671
    • /
    • 2022
  • 연구목적: 중대재해의 업무중단 리스크를 확인하고,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를 활용한 중대재해처벌법 준수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중대재해처벌법,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ISO 45001 각각의 요구사항과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산업재해로 인한 업무중단 및 재무적 악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를 활용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의 문서화 요구사항을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와 연계하고, 중대재해처벌법 의무 이행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론: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의 구축·운영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을 준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재해 예방 및 2차 피해 최소화 등을 통하여 업무연속성 유지와 ESG 경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스티렌 모노머 화재폭발사고 피해예측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mage prediction analysis for styrene monomer fire explosion accidents)

  • 최형수;최민제;조규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37-44
    • /
    • 2024
  • 본 연구는 석유 화학사 생산공장에 설치된 스티렌 모노머 저장 탱크의 화구(fireball)와 증기운 폭발(VCE)에 대한 최악의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피해 예측 및 사고영향을 분석하였다. 혼합잔사유 저장 탱크의 주성분인 스티렌 모노머 이상중합반응 시 화구(fireball)와 증기운 폭발(VCE)로 인한 복사열과 과압의 영향 범위는 e-CA 사고 피해 예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복사열과 폭발 과압의 피해 영향 범위는 각 최대 반경 1,150m와 626m로 분석된다. 복사열 4kW/m2이 미치는 1,150m 이내 사람은 20초 동안 노출 시 피부가 부풀어 오를 수 있다. 폭발 과압 21kPa이 미치는 626m 이내 건축물은 철 구조물의 손상과 기초에서 이탈될 수 있고, 사람은 신체 부상할 수 있다. 화재, 폭발 또는 누출 사고 발생 시 복사열, 과압에 의한 사업장 내 근로자, 인근 주민 또는 주변 시설물 등의 위험 정도와 수용 여부 위험 기준을 판단하고, 취급 물질 유해·위험성 파악, 비상대응체계 구축, 개선 및 투자 활동 등을 통해 사업장 피해 최소화 대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ask-specific Noise Exposure Assessment of Firefighters

  • Kang, Taesu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69-576
    • /
    • 2019
  •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firefighters' daily personal noise exposure and explore noise levels related to specific tasks and their contributions to total noise exposure using 24-hour full-shift noise exposure measurements with task-based data. Methods: Noise exposure was assessed for eight firefighters (two rescuers, two drivers, and four suppressors) using time-activity diaries. We collected a total of 24 full-shift personal noise sample sets (three samples per a firefighter). The 24-hour shift-adjusted daily personal noise exposure level (Lep,d), eight weekly personal noise exposures (Leq,w), and 40 task-specific Leq values (Leq activity) were calculated via the ISO/NIOSH method. Results: The firefighter noise-sample datasets showed that most firefighters are exposed to noise levels above EU recommended levels at a low-action value. The highest noise exposure was for rescuers, followed by drivers and suppressors. Noise measurements with time-at-task information revealed that 82.3% of noise exposure occurred when checking equipment and responding to fire or emergency call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efighters are at risk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Therefore, efforts at noise-control are necessary for their protection. This task-specific noise exposure assessment also shows that protective measures should be focused on certain tasks, such as checking and testing equipment.

충청남도 지역의 119 구급으로 이송된 교통사고 환자의 발생 특성 (Current status of traffic accident victims who were transported by 119 ambulances in Chungcheongnam-do)

  • 김진현;최은숙;이경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9-112
    • /
    • 2021
  • Purpose: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raffic accident victims who were transported by 119 ambulances with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Chungnam province and provide essential data for accident prevention. Methods: The pre-hospital care records of patients who called the 119 emergency service in 2019 were obtained from the Chungnam Fire Department. Data pertaining to 13,663 traffic accident victims who were transported to hospitals were analyzed. Results: Patients in those aged ≥60 years accounted for 49.8% of the total cases. In patients aged ≥80 years(n=2,154), motor cycle accidents were highest as 28.3%. In addition, cultivator (n=135) and buggy car (n=79) accident victims were the highest in aged ≥80 years as 66.7% and 67.1%, respectively. Traffic accident victims-population ratio in Chungnam was 0.65%, wherein 2.03% included population aged ≥80 years. Conclusion: It was clear that accidents varied across administrative districts depending on the age group of population distribution. Thus, safety measures for preventing motorcycle, cultivator, and buggy car accidents are necessary for areas with many older people aged ≥80 years.

깊이 인자를 고려한 매설배관의 사고피해영향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Comparison of Consequence Analysis for Buried Pipeline Considering the Depth Factor)

  • 한승훈;설지우;류병태;태찬호;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9-16
    • /
    • 2016
  • 매설배관은 내부 또는 외부의 결함으로 인하여 leak나 rupture가 발생 할 수 있으며, 가스가 누출 시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매설배관에 대한 위험성 평가시 매설을 고려하지 않거나, 매설 깊이를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배관압력의 1/10으로 가정하는 OGP기준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기관의 매설배관 ETA분석자료를 통하여 발생가능 사고 중 Jet fire의 사고피해영향을 분석하였으며, Jet fire의 복사열 계산에 있어서 배관의 매설깊이 인자를 고려한 매설모델을 수립하였다. 사례연구는 New Jersey의 Edison지역에서 발생한 사고를 이용하여 본 모델과 OGP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화염원으로부터 10m거리를 기준으로 매설모델의 복사열 값이 OGP모델에 비해 실제 사례와 비슷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안전을 고려한 건설사업관리용역업자(CM) 사업수행능력 평가기준 요인 도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For Assessment Criteria of Project Performance Capability of CM(Construction Management) Considering Safety)

  • 김도수;김백중;신윤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57-566
    • /
    • 2019
  • 건설업은 국내 산업 중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건설업의 재해는 막대한 재산손실과 인명피해로 인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더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최근 이로 인해 건설업에서 발생하는 재해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 각 부처에서는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는 이번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에서 보호대상의 확대와 책임 소재의 명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발주자 책임강화에 따른 건설사업관리자 선정 시 안전을 고려하는 요인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성장하고 있는 건설사업관리 시장에 비해 증가하고 있는 건설재해에 대한 저감 대책 중 하나인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법률을 참고하였고, 다양한 건설사업의 특성과 안전 요인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화된 건설사업관리용역업자 사업수행능력 평가기준을 개선하기 위해, 발주자의 입장에서 건설사업관리자를 선정할 때 안전에 대한 항목을 참고할 수 있도록 관련 요인을 도출하고 중요도를 분석해 새로운 평가의 기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법령, 국내 논문 및 문헌, 해외 사례 등을 바탕으로 기존 연구와 문헌을 고찰하고, 전문가 면담을 통해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항목은 4가지 상위요인 그룹으로 분류하여 총 19가지의 하위요인으로 정리하여 공공기관 및 민간사업 잘주처 관계자 및 건설사업관리업 종사자, 안전관리자에게 쌍대비교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층 분석적 방법인 AHP기법을 활용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비교하고 우선순위를 분석해 최종적으로 안전을 고려한 건설사업관리 사업수행능력 평가기준에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발주자 입장에서 건설사업관리자를 선정함에 있어 안전관리 요인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 건설 산업 전체의 재해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