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ger suck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손가락 빨기로 인한 부정교합의 치험례 (TREATMENT OF MALOCCLUSION, AS RELATED TO FINGER SUCKING : CASE REPORT)

  • 문상진;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0
    • /
    • 2004
  • 손가락 빨기는 유아의 심리적인 욕구와 영양적인 욕구에서 유발되어 흔히 $2{\sim}3$세까지는 정상적으로 간주된다. 이 시기까지의 상, 하악골과 교합을 포함하는 치열궁에의 영향은 습관의 중단과 함께 자연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5{\sim}4$세 이후까지 손가락 빨기가 지속된 경우, 이로 인해 유발된 부정교합의 정도가심하고 상, 하악골 발달의 부조화가 현저하며 자연적인 개선을 예측하기 어려울 때에는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관의 중단 및 습관으로 인한 부정교합과 심한 골격적 부조화를 해소하기 위해 $Fr\ddot{a}nkel$ appliance는 매우 효과적인 장치이다. 본 증례는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 중 손가락 빨기로 인한 심한 수평피개도와 상, 하악골 발달의 부조화, 심하게 함몰된 안모를 가진 3세 어린이와 정중선 변위, 안면 비대칭, 편측성 구치부 반대 교합을 지닌 4세 어린이에서 습관의 중단과 부정 교합의 치료를 위해 $Fr\ddot{a}nkel$ appliance를 이용해 치료하였다. 환아들은 $Fr\ddot{a}nkel$ appliance를 장착한 이후에 습관이 바로 중단되었으며 증례 1 에서는 심한 수평피개도와 상, 하악골의 부조화가 FR-II 장착 16개월 후 개선되었다. 증례 2 에서는 정중선의 변위, 하악골의 편위, 편측성 구치부 반대교합 안모 비대칭이 FR-III 장착 10개월 후 개선되었다. $Fr\ddot{a}nkel$ appliance는 골격적 부조화의 개선 및 Habit breaker로서 추천할 만한 장치이다. time이 짧았다. 36개월 이상인 환아는 $N_2O/O_2$를 사용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령과 $N_2O/O_2$ 사용시간, $N_2O/O_2$사용과 치료시간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한 반면, 체중과 $N_2O/O_2$사용시간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치료시간 연장, $N_2O/O_2$사용여부와 부작용 발생간에서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R)}$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 PDF

대전지역 미취학 어린이의 비수유성 빨기 습관에 대한 조사 연구 (Non-nutritive Sucking Habits of Preschool Children in Daejeon)

  • 박승효;이난영;이상호;정혜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47-25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 미취학 어린이의 비수유성 빨기 습관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이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기여요인과의 관련성을 평가하며 비수유성 빨기 습관이 유치열의 교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구강검진을 위해 개인치과에 내원한 만 18개월에서 65개월 사이의 어린이 841명을 검사하고 그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전체 설문에 대답한 어린이 중 32.8%에서 비수유성 빨기 습관이 있었으며 여아에서 37.7%로 남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모유 수유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비수유성 빨기 습관 유병률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출생순서와 엄마의 직업유무는 관련성이 없었다. 손가락빨기가 전체 비수유성 빨기 습관 어린이 중 62.6%로 인공젖꼭지빨기(37.4%)에 비해 더 우세하였고 습관의 지속기간 또한 유의하게 길었다. 비수유성 빨기 습관의 지속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치열 교합이상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

양호한 Finishing을 위한 이론적 근거 및 기준 (Rationale and criteria for excellent finishing)

  • 유영규;김영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7-648
    • /
    • 1999
  • 교정 치료 후 이상적인 교합과 양호한 심미적 결과를 얻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교정 장치 제거하기 4개월에서 7개월 전에 detailing을 시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finishing이라고 하며, 이 과정은 최종적인 양호한 결과를 얻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일부 교정의는 finishing을 위한 특별한 이론적 근거 및 기준 없이 이 과정을 교정 치료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행하면 되는 것으로 여기고 있다. 그러나, 최종적인 양호한 교정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finishing 과정이 총 치료 계획의 부분으로 치료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만 하며, 교정 장치 제거를 위한 이론적 근거 및 기준에 근거한 finishing을 위한 checklist가 필요하다. 이 checklist는 크게 네 부류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교합 요인, 심미적 요인, 치주적 요인과 습관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교합 요인에서 점검해야할 요소로는 alignment, marginal ridge discrepancy, interproximal contact, anterior inclination, posterior inclination, overjet, overbite, arch form과 functional occlusion 등이 있다. 심미적 요인에는 gingival form, crown form, crown width과 crown length 등이 있다. 치주적 요인에는 root angulation, bone level 등이 있다. 습관적 요인에는 mouth breathing, tongue position at rest, tongue thrust habit, lip biting, nail biting과 finger sucking 등이 있다.

  • PDF

근 기능 훈련 및 장치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혀, 입술, 볼의 최대 압력 비교 (Evaluation of the Pressure of the Tongue, Lips, and Cheeks in Patients with Myofunctional Therapy and Appliance)

  • 성민아;지명관;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3-23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평균 혀, 입술, 볼의 압력을 비교하여 구강 내 근육 불균형을 확인하고 근 기능 훈련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구강 악습관으로 인한 근 기능 이상이 관찰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치를 동반한 근 기능 훈련을 시행하였다. 압력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구강 근육의 기능 향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성 구호흡, 손가락 빨기, 입술 빨기, 혀 내밀기, 잘못된 연하 습관과 같은 구강 악습관이 있는 21명의 환자들로 구성하였다. 치료 전, 두 그룹 간의 측정값을 비교했을 때 혀와 입술의 측정값 사이에 큰 차이가 관찰되었다. 혀의 측정값은 근 기능 훈련을 시작하고 나서 1개월 이후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입술의 측정값은 치료 시작 후 3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대조군에서 측정한 혀, 입술, 우측 볼, 좌측 볼의 값은 실험군이 근 기능 훈련을 시작하고 나서 6개월 이후 측정한 값과 매우 유사했다. 장치를 동반한 근 기능 훈련을 꾸준히 시행할 경우, 혀와 입술의 압력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강 악습관으로 인한 구강 근육 불균형이 관찰되는 환자의 경우 적어도 6개월 이상의 근 기능 훈련이 추천된다.

직업모성과 비직업모성의 영유아 양육법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Method of Nurturing During Infancy Between Mothers With and Without Occupation)

  • 김소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0-63
    • /
    • 1974
  • Health at infancy and early childhood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for healthy life thereafter. Concept of nursing is inclusive not only of physical care but also psycho-social aspect in order to help achieve maximum state of wellness. Statistical studies reveal concept and structure of family and home tends to change towards nuclear type, ratio of female occupancy tends to increase. These tendencies will influence the method of infants and childre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with and without occupation, method of nurturing and analyse data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in arnder to give data for care for infants and children. During the period of June 12 though July 22, 1973, 98 mothers and their 224 children; 53 mothers with occupation with 110 children and 45 mothers without occupation with 114 children were Interviewed indirectly through check list. Result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1. Hypothesis 1 ; Tendencies of finger sucking will be greater in children of occupant mothers due to lack of maternal love. Through chi-square examination significant difference is revealed by P>0.05 level, therefore Hypothesis 1 is rejected. (X²=0.24) 3. Hypothesis 2; of occupant mothers tend to have had wanted number of children through family planning. Ratio of wanted versus unwanted children were tested and significant difference is revealed by P<0.05 1eve1. Hypothesis 2 is supported. (X²=8.398). 3. Hypothesis 3: Non-occupant mothers tend to cuddle more while feeding infants. Significant difference Is revealed through Chi-square test by P〈0.05 level. Hypothesis 3 is rejected. (X²=4.34)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Occupant mothers' higher degree of interest and consideration compared to that of non-occupant mothers in regard to nurturing of their children have been ascertained by this study. These results fight have come up due to the differences of socioeconomic and cultural status of respondents. Further studies on each variable between mothers with and without occupation with similar socio-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 are recommended.

  • PDF

가정내 응급처치를 위한 민간요법 (Folk Remedies for First Aid at Home)

  • 강현숙;조결자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17-26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ontents, frequency of use, and the rationales of folk remedies frequently used for first aid at home for stomachache, vomiting, strain, food poisoning, vaginal bleeding, or wounds of snake or dog bite, or bee sting. As the method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of 185 persons, who filled it out or who were interviewed from May to August in 199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d the rationales for the contents of the folk remedies were described base on literat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olk remedies for stomachache in frequency order were 'warming the abdomen', 'rubbing the abdomen with a hand', or 'pricking a finger to bleed', which have the rationals. 2. The folk remedies for vomiting in frequency order are 'drinking water of watery radish' and 'pricking a finger to bleed', which have the rationales. 3. The folk remedies for strain in frequency order are 'soaking the affected area into cold water or applying an ice pack' and 'after soaking jasmine in water, making a dough with flour, and then attaching it on the affected area', which have the rationales, Additionally, although the frequencies are low, 'drinking brewed Achyranthis Radix' and 'applying brewed leaves and stalks of Sambuci Cortex' have the rationales. 4. The folk remedies for food poisoning in frequency order are 'drinking black beans and licorice brewed together' and 'eating mung beans', which have the scientific grounds. 5. The folk remedies for bloody discharge in frequency order are 'drinking brewed lotus root' and 'eating boiled chicken stuffed with root of bell-flower'. However, 'drinking brewed Thujae orientalis Folium' has the rationales. 6. The folk remedy for snake bite wounds that has the scientific grounds is 'sucking blood by a person without hurt in the mouth'. However, quite a lot of people apply alum or soy paste, which has no rationales. 7. The folk remedies for the bee sting in frequency order are 'after removing the sting, applying soy paste or sauce' and 'applying saliva'. No rationales for 'applying saliva' have been found. 8. The folk remedy for the dog bite wound that has the rationales is 'applying juice of leaves or stalks of Xanthii Fructus'. However, 85% of surveyed people use remedies that have no scientific grounds, such as 'applying burnt dog hair mixed with (sesame) oil' and 'applying soy paste or sauce'. Various materials are used in folk remedies for first aid treatment as shown above. Some of the folk remedies have the rationales since their medicinal actions have been found. However, the medicinal actions of the majority have not been found, but only known that they are effective, Especially for the materials except botanical drugs, they are used without knowing the effects since their components and pharmacognosies have not been described in any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ay be used for materials to educate the surveyed people or to consult them. Accordingly, the folk remedies that have the rationales are required to continue to study to find out the effects.

  • PDF

Modified FR-4의 임상적용례 (CLINICAL APPLICATION OF MODIFIED FR-4)

  • 송재혁;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23-328
    • /
    • 2001
  • 전치부 개교합은 상 하악 전치부가 폐구 시 절단 기능에 필수적인 수직피개가 결여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손가락 빨기, 혀 내밀기, 유아성 연하, 비호흡 부전, 골격성장의 이상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어떤 종류의 부정교합과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전치부 개교합을 위한 치료 방법은 다양하지만, Rolf Fr$\"{a}$nkel에 의해 고안된 Fr$\"{a}$nkel appliance(FR-4)는 골격성 I급 혹은 II급 부정교합과 함께 나타난 개교합의 치료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양인에서는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개교합도 이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동양인에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빈도가 높고, 개교합 또한 이와 같은 골격형태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갖는 환자에 있어서 전통적인 FR-4의 사용이 개교합의 교정에 도움이 되었을지라도,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문제점을 동시에 교정하기 위하여, labial bow를 하악 전치부에, labial pads를 상악 전치부에 위치시킨 modified FR-4를 고안하게 되었다. 다음의 임상례는 전치부 개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통적인 FR-4와 modified FR-4를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첫 번째 임상례는 전통적인 FR-4를 사용한 경우로서, 전치부 개교합은 개선되었으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형태가 심해졌다. 그러나 두 번째와 세 번째 임상례에서는 modified FR-4를 사용한 결과, 전치부 개교합과 III급 부정교합이 동시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토마토에 발생하는 아메리카잎굴파리(Liriomyza trifolii)의 외부형태적 특징 (External Morphology of the American Leafminer, Liriomyza trifolii (Diptera: Agromyzidae), on Tomato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윤영남;김기덕;박수진;김남성;서미자;채순용
    • 농업과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19
    • /
    • 2000
  • SEM을 이용하여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jj) 의 암 수컷 성충의 외부형태적 특정을 살펴보았다. 더듬이에 있어 감각모의 3가지 형태는 더듬이가는마디(funicle)에서 관찰되었으며, 모상감각기(trichoid sensillum)는 말단 부위가 뽀족한 특정적인 형태를 하고 있고 감각기들 중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원추상 감각기(basiconic sensillum)는 길이가 $13{\mu}m$, 지름이 $1.4{\mu}m$에서 $1.2{\mu}m$인 원형곡선형이다. 홈형 감각기 (grooved sensillum)는 간상 (peg) 끝에서 나온 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 모든 감각기들은 후각과 연관되어져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구기는 흡즙형으로 작고 펼쳐진 윗입술(labrum) 과 합쳐져서 하나의 연결된 주둥이(rostrum)을 형성하고 있다. 가느다란 한 쌍의 작은턱수염 (maxillary palp)은 긴 관 모양으로 각각의 세로로 이어져 있다. 발마디는 5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한가운데에는 패드모양의 흡착반(pulvillus)과 가시모양의 발톱사이돌기(empodium)가 있다. 아메리카잎굴파리는 흡착반과 발톱사이돌기에서 미끄러운 표변에 부착할 수 있는 물질을 분비한다. 수컷의 생식기는 매우 복잡하며 삽입구(aedeagus)는 생식기관으로서 가장 일반적인 모양이다. 반면에 암컷의 생식기는 상대적으로 간단한데 이 구조는 외부로 돌출된 관모양이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이미 발표된 다른 여러 종의 파리와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