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e aggregates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9초

굵은 골재 및 잔골재 변화가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유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Coarse Aggregate and Fine Aggregate on the Flowability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 이홍규;이순재;김상섭;박용준;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1-72
    • /
    • 2015
  • As this study is the one related to the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essentially used for high rise buildings, it has analyzed on the flowability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coarse aggregate and fine aggregate. The coarse aggregate was planned as two types including Granite Aggregate (GA) and crushed coarse Limestone Aggregate (LA) while fine aggregate was planned as four types including Sea Sand (SS), Limestone Crushed Fine Aggregates (LFA),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s (EFA) and Crushed Sand (CS) to perform experiment with a total of eight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slump flow, 500mm concentration time, U-Box and L-Flow, etc.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fresh concrete, a mix using LA+LFA is determined to show high flowability in case of applying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 PDF

Copper or ferrous slag as substitutes for fine aggregates in concrete

  • Thomas, Job;Thaickavil, Nassif N.;Abraham, Mathews P.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6권5호
    • /
    • pp.545-560
    • /
    • 2018
  • The ever-increasing cost of natural sand and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extracting manufactured sand (quarry sand) calls for exploring the potential to use alternative materials as fine aggregates in concrete. Copper slag and ferrous slag are industrial by products obtained from the smelting process of copper and iron respectively. A large quantity of copper slag and ferrous slag end up being disposed as waste in landfills and this poses a serious threat to the environment. Copper slag and ferrous slag have simila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s natural sand and also exhibit pozzolanic activity. This paper studies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industrial by-products such as copper slag and ferrous slag to replace the fine aggregate in concrete by evaluating the workability, strength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concrete.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ength properties are not affected by 40% or 100% replacement of quarry sand with iron slag or copper slag. However, 40% replacement of quarry sand with iron slag or copper slag in concrete is recommended considering the durability aspects of concrete.

순환 잔골재 및 굵은골재를 사용한 SFRC 보의 성능 평가 (Capacity Evaluation of SFRC Beams Using Recycled Fine and Coarse Aggregates)

  • 이현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22-12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순환골재를 대량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천연골재를 순환골재로 50% 치환한 보의 전단성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강섬유를 보강하였다. 강섬유 혼입율은 0%, 0.5%, 0.75% 및 1.0%이다. 실험 결과, 강섬유 혼입율 0.5%인 경우와 0.75%인 경우의 강도 및 변형능력이 비보강 대비 월등히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연구자의 전단강도식으로 실험체의 강도를 평가한 결과, Oh et al.(2008)의 전단강도식이 SFRC 보의 전단강도를 안전측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기로 산화 슬래그의 콘크리트용 잔골재 활용 (Study on Utilization of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s Fine Aggregates for Cement Concrete)

  • 김상명;박주원;이훈하;김기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3A호
    • /
    • pp.407-415
    • /
    • 2008
  • 슬래그의 팽창성 붕괴는 주로 Free-CaO의 수화 반응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이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여러 기관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더불어 콘크리트용 골재로의 활용 방안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고로 슬래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전기로 및 전로 슬래그와 같은 제강 슬래그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주재료인 전기로 산화 슬래그의 기초적인 물성 분석뿐만 아니라, 화학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실생활에 응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의 진행 방향으로 전기로 산화 슬래그의 성분 분석과 함께 기본 물성을 측정하고, 이후에 중/장기 강도 및 세부적인 내구성 분석을 실시하여, 시멘트 콘크리트 적용의 적합성 평가 후, 규격을 제안하는 절차를 밟았다. 본 연구에 대한 기대 효과는 산업 부산물의 활용에 따른 환경 보전 및 재활용이라는 측면 이외에도, 전기로 산화 슬래그의 시멘트 콘크리트용 잔골재서의 상용화에 있다고 하겠다.

잔골재 중 토분이 저강도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il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Low Strength Mortar in Fine Aggregate)

  • 신세준;이제현;박경택;박민용;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55-156
    • /
    • 2019
  • Recently, the use of selective crushed aggregates is increasing due to the supply and demand shortage of aggregates. In the case of selective crushed aggregates, aggregates are produced using soil, rocks, etc., mainly generated at construction sites as raw materials. As a result, the quality of the raw material may not be uniform and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soil. In the case of using such a bad aggregate shortens the life of the structure, there is a fear that adversely affect the overall performance, such as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concret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aggregate soil on mortar in the low-strength mortar and ultimately proposes the regulation value of clay content in the soil content of crushed aggregates such as crushed aggregates.

  • PDF

잔골재 특성이 굳지 않은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ine Aggregate Properties on Unhardened Geopolymer Concrete)

  • 조영훈;안응모;이수정;전철민;김동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101-111
    • /
    • 2016
  • 석탄재로부터 제조된 지오폴리머에 골재를 첨가하여 시멘트와 동일하게 모르타르와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잔골재의 특성이 지오폴리머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체계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많지 않기 때문에 잔골재의 광물조성, 형상, 표면, 입도, 밀도 및 흡수율 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석영, 운모, 장석, 휘석 등의 광물 조성을 이루고 -0.60mm에서 +0.30mm까지의 입자크기가 전체의 96%이며 표면이 거칠고 각진 형상을 보이는 주문진 표준사와 대부분 석영으로 -1.40mm에서 +0.60mm까지의 입자크기가 전체의 51%를 보이고 동시에 다양한 입자크기를 보이면서 표면이 매끈하고 둥근 형상을 나타내는 ISO 표준사 다른 두 종류의 잔골재를 사용하였다. 배합비는 Si/Al=1.0-4.1의 범위에서 지오폴리머 페이스트를 실험한 결과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보인 Si/Al=1.5는 모르타르, 가장 높은 반죽 질기를 보인 Si/Al=3.5는 콘크리트에 각각 적용하였다. 지오폴리머 모르타르는 잔골재를 20-50%의 범위에서 주문진 표준사와 ISO 표준사가 첨가된 모르타르는 각각 69.5-112.0mm, 70.5-126.0mm의 플로우 크기 증가를 보였고, ISO 잔골재 가 첨가된 모르타르의 플로우 증가율이 더 높았다.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ISO 표준사와 굵은 골재가 전체의 77wt.%를 첨가하였을 때 평균 압축강도가 32MPa로 나타났고 반죽 질기는 몰딩하기에 양호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입도분포, 둥근 형상, 매끈한 표면, 낮은 흡수율을 보인 ISO 표준사가 지오폴리머의 반죽 질기에 유리한 특성을 보였기 때문에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에도 ISO 표준사와 유사한 잔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Influence of coarse aggregate properties on specific fracture energy of steel fiber reinforced self compacting concrete

  • Raja Rajeshwari, B.;Sivakumar, M.V.N.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9권2호
    • /
    • pp.173-181
    • /
    • 2020
  • Fracture properties of concrete depend on the mix proportions of the ingredients, specimen shape and size, type of testing method used for the evaluation of fracture properties. Aggregates play a key role for changes in the fracture behaviour of concrete as they constitute about 60-75 % of the total volume of the concrete.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effect of size and quantity of coarse aggregate on the fracture behaviour of steel fibre reinforced self compacting concrete (SFRSCC). Lower coarse aggregate and higher fine aggregate content in SCC results in the stronger interfacial transition zone and a weaker stiffness of concrete compared to vibrated concrete. As the fracture properties depend on the aggregates quantity and size particularly in SCC, three nominal sizes (20 mm, 16 mm and 12.5 mm) and three coarse to fine aggregate proportions (50-50, 45-55, 40-60) were chosen as parameters. Wedge Split Test (WST), a stable test method was adopted to arrive the requisite properties. Specimens without and with guide notch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indicative of increase in fracture energy with increase in coarse aggregate size and quantity. The splitting force was maximum for specimens with 12.5 mm size which is associated with a brittle failure in the pre-ultimate stage followed by a ductile failure due to the presence of steel fibres in the post-peak stage.

2단계 배합을 사용한 순환잔골재 혼입 고성능 시멘트 모르타르의 내화성능 연구 (Investigation on Fire Resistance of High-Performance Cement Motar with Recycled Fine Aggregate Mixed by Two-Stage Mixing Approach)

  • 박성환;최준호;이치영;구민성;정철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3-29
    • /
    • 2022
  • 본 연구는 천연골재 부족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조용 골재로서 순환골재의 재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Tam et al.에 의해 개발된 2단계 배합은 별도의 설비 등의 추가 없이 순환골재 혼입 시멘트 복합체의 역학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확인한 개선된 형태의 2단계 배합방법을 활용하여 순환잔골재 혼입 모르타르 시험체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배합방법의 차이가 순환잔골재 혼입 고강도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내화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순환잔골재 사용시 일반배합 보다 2단계 배합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순환잔골재 혼입 모르타르의 강도발현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600 ℃ 및 900 ℃의 고온에 노출시켜 역학적 성능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2단계 배합을 활용하는 경우 모르타르의 잔존강도가 일반배합을 활용한 모르타르의 잔존강도보다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2단계 배합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서, 순환잔골재로 고성능 시멘트 복합체의 제조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천연 잔골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활용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Strength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Containing Natural Fine Aggregate and Bottom Ash Aggregate)

  • 정승태;박지훈;양인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92-201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천연 잔골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 잔골재와 바텀애시를 사용하여 각 골재의 재료 특성을 파악 한 후, 다공성 콘크리트의 골재로 사용하였다. 물-바인더 비는 0.25으로 고정하고, 가압다짐 수준을 0.5, 1.5 및 2.5 MPa 값으로 지정하여 다공성 콘크리트 시편을 제작하였다. 단위질량, 초음파속도,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를 실험을 진행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압다짐 수준이 증가하고, 바텀애시 대비 잔골재 치환율이 증가하면 단위질량, 초음파속도,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다공성 콘크리트의 단위질량과 압축강도 및 휨인장강도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다. 단위질량과 강도 특성은 서로 비례하며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의 실험별 회귀 분석을 선행연구와 해외 논문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상관계수(R2) 값을 분석하였다.

콘크리트용 잔골재 혼합을 위한 Driscoll 방법의 적용 (Application of Discoll Method to Blend Fine Aggregate for Concrete)

  • 이성행;함형길;김태완;오용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78-185
    • /
    • 2011
  • 본 연구는 강모래와 부순 모래를 일반적인 혼합방법과 아스팔트 골재 혼합에 사용되는 Driscoll 방법으로 각각 혼합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고, Driscoll 방법의 콘크리트용 골재에 대한 적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일반혼합과 Driscoll 방법으로 혼합한 골재의 조립율 및 입도곡선,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 중 슬럼프와 공기량 및 굳은 콘크리트의 특성 중 28일 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혼합방법의 따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스팔트 골재의 혼합에 사용되는 Driscoll 방법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골재를 혼합하였을 때 일반적인 혼합방법과 비교하여 슬럼프, 공기량, 28일 압축강도가 오차수준 정도의 미미한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아스팔트 골재 혼합에 사용되는 Driscoll 방법은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혼합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