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g4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8초

PI(3,5)P2 5-phosphatase Fig4와 Kinesin superfamily 5A (KIF5A)의 결합 (PtdIns(3,5)P2 5-phosphatase Fig4 Interacts with Kinesin Superfamily 5A (KIF5A))

  • 장원희;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19
    • /
    • 2014
  • Kinesin-1은 2개의 장쇄(KHCs, 또는 KIF5s)와 2개의 단쇄(KLCs)가 결합한 복합체로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효모 two-hybrid system을 이용하여 중추신경계의 신경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KIF5A와 결합하는 단백질을 탐색한 결과 phosphatidylinositol-3,5-bisphosphate ($PI(3,5)P_2$)의 5번 위치 인산을 제거하는 탈인산화효소 Fig4(Sac3)를 분리하였다. KIF5A는 Fig4의 C-말단과 결합함을 효모 two-hybrid assay로 확인하였다. Fig4는 KIF5A의 C-말단과 결합하지만, 두 개의 다른 장쇄인 KIF5B와 KIF5C 그리고 KLC1와는 결합하지 않았다. 단백질 간 결합을 glutathione S-transferase pull-down assay와 공동면역침강으로 추가 검증하였다. 생쥐의 뇌 파쇄액을 KIF5A 항체로 면역 침강한 결과 Fig4가 같이 침강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kinesin-1이 Fig4와 결합한 단백질 복합체 혹은 운반체를 세포 내에서 운반함을 시사한다.

모유수유와 분유수유에 따른 영아 장내 미생물 군집의 특징 (Comparison of gut microbial diversity of breast-fed and formula-fed infants)

  • 김경순;신정;심지수;연수지;이평안;정문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68-273
    • /
    • 2019
  • 장 내에 존재하는 microbiome은 생활환경, 나이와 섭취하는 음식물에 따라 변하게 된다. 본논문에서는 모유를 섭취한 영아와 분유를 섭취한 영아들에 대한 장내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미생물의 군집변화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80개의 영아 분변을 통해 미생물 군집변화를 확인하였다. 모유그룹(BIG)과 분유그룹(FIG-A, FIG-B, FIG-C)간의 장내세균의 군집을 비교한 결과 BIG에서는 Actinobacteria 문이 전체 군집의 $74.22{\pm}3.48%$로 우점을 차지하였다. 분유그룹의 Actinobacteria 문을 비교하였을 때 FIG-A는 $73.46{\pm}4.12%$였지만 FIG-B와 FIG-C는 $66.52{\pm}5.80%$$68.88{\pm}4.33%$로 BIG와 FIG-A에 비해 낮은 비율을 보였다. 속(genus) 수준에서 살펴보면 Bifidobacterium이 전체 미생물군집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BIG가 $73.09{\pm}2.31%$로 가장 높았고 FIG-A, FIG-B 및 FIG-C는 각각 $72.25{\pm}4.93%$, $63.81{\pm}6.05%$$67.42{\pm}5.36%$를 차지하였다. Bifidobacterium 종의 경우 모든 그룹에서 Bifidobacterium longum이 우점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BIG와 FIG-A가 전체 군집의 $68.77{\pm}6.07%$$66.85{\pm}5.80%$를 차지하였다. 이에 반해 FIG-B와 FIG-C는 각각 $58.94{\pm}6.20%$$61.86{\pm}5.31%$로 BIG와 FIG-A보다 낮은 비율로 분포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FIG-A가 섭취한 분유는 Bifidobacterium의 선택적 증식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갈락토올리고당, 갈락토실락토스, 시너지올리고당, 비피도올리고 및 장내균총개선소재를 혼합한 5-Bifidus factor 복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5-Bifidus factor라는 유산균에 대한 증식능이 우수한 프리바이오틱스를 혼합하였기 때문에 모유를 섭취한 영아의 장내에 존재하는 Bifidobacterium 속의 군집과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Efficacy of Tissue Culture in Virus Elimination from Caprifig and Female Fig Varieties (Ficus carica L.)

  • Bayoudh, Chokri;Elair, Manel;Labidi, Rahma;Majdoub, Afifa;Mahfoudhi, Naima;Mars, Messaoud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3호
    • /
    • pp.288-295
    • /
    • 2017
  • Fig mosaic disease (FMD) is a viral disease that spreads in all Tunisian fig (Ficus carica L.) orchards. RT-PCR technique was applied to leaf samples of 29 fig accessions of 15 fig varieties from the fig germplasm collection of High Agronomic Institute (I.S.A) of ChattMariem, to detect viruses associated to FMD. Analysis results show that 65.5% of the accessions (19/29) and 80.0% (12/15) of the fig varieties are infected by FMD-associated viruses. From all fig accessions, 41.4% of them are with single infection (one virus) and 24.1% are with multi-infections (2 virus and more). Viruses infecting fig leaf samples are Fig mosaic virus (FMV) (20.7%), Fig milde-mottle-associated virus (FMMaV) (17.25%), Fig fleck associated virus (FFkaV) (3.45%), and Fig cryptic virus (FCV) (55.17%). A reliable protocol for FCV and FMMaV elimination from 4 local fig varieties Zidi (ZDI), Soltani (SNI), Bither Abiadh (BA), and Assafri (ASF) via in vitro culture of 3 meristem sizes was established and optimized. With this protocol, global sanitation rates of 79.46%, 65.55%, 68.75%, and 70.83% respectively for ZDI, SNI, BA, and ASF are achieved. For all sanitized varieties, the effectiveness of meristem culture for the elimination of FCV and FMMaV viruses was related to meristem size. Meristem size 0.5 mm provides the highest sanitation rates ranging from 70% to 90%.

Pure Bending Moment 하(下)에 있는 Notched Strip에서의 Notch Angle의 비대칭적(非對稱的) 변화(變化)에 의(依)한 응력집중계수(應力集中係數)의 변화(變化) (A Photoelastic Study on Change of Stress Concentration Factor Due to Unsymmetrical Change of Notch Angle)

  • 문장출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5-58
    • /
    • 1967
  • It is investigated that in what shape the stress concentration factor of a notched strip under pure bending changes due to unsymmetrically varying notch angle. Four models made of CR-39, having parameters of r/d-0.225, h/r=4; r/d=0.225, h/r=2; r/d=0.4, h/r=4 and r/d=0.4, h/r=2 respectively as shown in Fig.1, Fig.2 and Table are tested with the use of polariscope. For each model, notch angle is unsymmetrically varied from $0^{\circ}$ to $180^{\circ}$ at intervals of $15^{\circ}$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Fig. 7 and Fig. 8 and the following are deduced. As notch angle increases 1) from $0^{\circ}$ to $50^{\circ}$, the decrement of concentration factor is slight. 2) from $50^{\circ}$ to 90, the decrement of concentration factor is a little steeper. 3) from $30^{\circ}$ to $140^{\circ}$, the decrement of concentration factor is slight. 4) from $140^{\circ}$ to $180^{\circ}$, the decrement is very steep with an abrupt with an abrupt change in the neighborhood of $140^{\circ}$.

  • PDF

사람의 간에서 Ethanol에 의해 유발되는 hemoprotein들의 확인 및 부분정제 (Identification and Partial Purification of Ethanol-Induced Hemoproteins in Human Liver)

  • 박성우;서배석;진광호
    • 분석과학
    • /
    • 제8권2호
    • /
    • pp.117-124
    • /
    • 1995
  • 지속적인 음주로 인하여 간경변증으로 사망한 human 간에서 ethanol에 의해서 유도되는 것으로 추측되는 hemoprotein들을 확인 및 부분정제하였다. 이 hemoprotein을 정제하기 위하여 Mohamed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단백질을 정제하였고, SDS-PAGE 및 spectrum 양상을 관찰하였다. Triton N-101을 처리한 crude extract를 준비하여 CO gas를 bubbling시킨 후 Octyl-Sepharose CL-4B column chromatography에서 0.06% Lubrol PX로 용출한 다음 0.25% Lubrol PX로 용출하였다(Fig. 2). 0.06% Lubrol PX로 용출한 active fraction을 Hydroxyapatite와 DEAE-Sephadex A-25 column으로 정제하였다(Fig. 3, 4). 정제한 단백질을 12.5% SDS-PAGE를 실시한 결과 분자량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흰쥐 간에서 정제한 단백질의 분자량은 55 KDa와 52 KDa였고, 돌연사한 사람의 간에서 정제한 단백질의 분자량은 62 48KDa이며, 간경변증으로 사망한 사람의 간에서 정제한 단백질의 분자량은 54KDa였고(Fig. 5). Cytochrome P450 함량은 20.8nmol/mg protein이며 회수율은 약 4.1%이고, 이들의 최대흡수 파장은 446nm이었다(Fig. 6).

  • PDF

양념과 부재료가 키위, 무화과를 이용한 육류조리용 소스의 연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asonings and Flavor Spices on Tenderizing Activity of Fig and Kiwifruit Sauce for Meat Cooking)

  • 김미현;김미정;노정해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30-53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단백 분해 작용이 있는 키위와 무화과를 과실 자체로 조리에 이용할 때 연육작용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나라 조리방법에 의거하여 양념과 부재료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과실의 단백 분해 효소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키위의 경우 36,513 uM/g fruit이었고, 무화과의 경우 24,131 uM/g fruit으로 나타났다. 고기 조리시에 과실을 각각 3%, 5%, 10%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키위 3~5%와 무화과 5%가 가장 효율적인 첨가량으로 평가되었다. 키위와 무화과를 혼합 사용할 때의 연육에 관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키위만을 5% 첨가한 경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키위와 무화과를 3:0, 2:1, 1:1로 섞은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육제 처리시간별 연육효과를 관찰한 결과 냉장온도에서 6시간 방치하여 조리할 때 연도와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에 의한 영향을 보면 $25^{\circ}C$ (상온)에서 전처리하는 경우가 $4^{\circ}C$ 처리보다 더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기본양념인 간장, 설탕, 올리고당, 참기름이 첨가된 고기용 과일 sauce의 pH는 무화과의 경우 4.64였고 키위의 경우 4.23이었다. 간장과 올리고당, 맛술의 첨가는 과실 sauce의 역가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갈은 과실 sauce에 양념, 마늘, 생강, 양파, 파 등을 첨가한 sauce의 pH는 무화과의 경우 4.71, 키위의 경우 4.43이였다. 다진 마늘, 다진 파, 갈은 양파, 생강, 배즙은 모두 단백분해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제조된 과실 연육 sauce에 의한 소고기는 연도, 기호도, 바람직하지 않은 과실 맛, 바람직하지 않은 신맛, 모두에서 과실을 넣지 않은 일반 소스에 의한 소고기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4'-Biphenol 유도체의 합성 및 충치균 Streptococcus mutans OMZ 176에 대한 항균작용 (Synthesis of 4,4'-Biphenol Derivatives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a Cariogenic Bacterium, Streptococcus mutans OMZ 176)

  • 배기환;서원준;임승희
    • 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6-39
    • /
    • 1992
  • In a continuous study for the developing of the anticariogenic agents, 3,3'-diacyl-4,4'-biphenol derivatives (Fig. 2, 2 and 3) and 3,3'-bis-(1-hydroxyalkyl)-4,4'-biphenol (Fig. 3, 4 and 5) derivatives are synthesized successively from 4,4'-diphenol (Fig. 2, 1). The synthesized compounds are tested for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 cariogenic bacterium, Streptococcus mutans OMZ 176. The acyl derivatives, 2 and 3, do not show antibacterial activity, but the hydroxyalkyl derivatives, 4 and 5, reduced from the acyl group of 2 and 3, show the activity.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2 and 3 may be inhibited due to intramolecular hydrogen bonding between the acyl group and the hydroxyl one (Fig. 4).

  • PDF

무화과(Fig) 분리 성분의 항균성 규명 및 무화과 비누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ucid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Separated Fig Component and the Preparation of Fig Soap)

  • 류성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69-684
    • /
    • 2015
  • 본 연구는 웰빙(well-being)으로 각광받고 있는 천연물 관련 연구에 무화과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다음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무화과를 세척 건조하여 알코올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후, Column chromatography, G-Mass, IR, $^1H$-nmr 방법에 의하여 무화과 추출물의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하였으며, 무화과 추출물을 두피 제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항균, 항진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무화과 추출물의 이화학적 분석은 열매와 잎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두 부분 모두 비듬과 피부병 치료 효능을 가진 항균 및 항진균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화과 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은 액체배지 희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 무화과의 산업화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무화과 추출물 함유 수제 투명 및 고형 비누를 제조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무화과 콘서트 처리에 의한 품종별 쇠고기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The Effect of Fig Conserve Additive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ef Obtained from Various Breeds)

  • 박복희;김영옥;기해진;조영자;최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11-519
    • /
    • 1999
  • To prevent the denaturation of ficin(EC 3.4.22.3) that is a proteolytic enzyme in fig(Ficus carica L.), fig conserve was heated to 55oC. The fig conserve was added as a tenderizer to native Korean cattle beef(KCB), dairy cattle beef(DCB), castrated dairy cattle beef(CDCB), and imported beef(IB).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hydroxyproline content, shear force, cooking loss, morphological changes and sensory evaluation were then investigated to observe the effect of tenderizing beef with fig conserve. Free amino acids and cooking loss of treated beef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whereas hydroxyproline and shear force were lower. Glutamine in treated beef decreased relatively but asparagine increased. Hydroxyproline was found, in increasing order of abundance, in DCB, CDCB, IB and KCB. By portion, loin was higher than tenderloin in free amino acids, hydroxyproline and shear force but was lower in cooking loss. Observation with a light microgram revealed a surprising loss of muscle fiber in treated beef. In sensory evaluation of uncooked beef, the control was redder than the treated beef(p<0.01~p<0.05). Treatment with fig conserve increased the juiciness of both cooked CDCB and IB(p<0.001) and decreased their hardness(p<0.01~p<0.001).

  • PDF

저당성 무화과 잼의 제조 (Processing of Low Sugar Jams from Fig Pulp Treated with Pectinesterase)

  • 허원녕;김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5-131
    • /
    • 1998
  • 무화과에 대한 PE와 그와 관련한 펙틴질의 변화를 조사하고, 저당성 무화과 잼을 제조하여 비교하였다. 무화과의 PE는 과일의 수확 시기에 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하고 저장기간 동안 실활되지 않았으며, 냉동저장 중에도 PE의 미약한 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무화과 PE의 작용에 의하여 냉동 저장 중에도 과일 내의 AIS의 양과 펙틴질의 DE를 감소시켰다. 그리고 low methoxyl pectin으로 저당성 무화과 잼을 만들기 위하여 무화과 PE 및 무화과 PE에 오렌지 PE를 첨가한 것이 AIS및 AIS의 DE를 감소시켰다. 그리고 무화과 잼의 anthocyanin 색깔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pH 5.23의 천연 무화과 펄프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pH 4.0 이하로 조절한 것이 적색 및 채도가 높게 나타났다. 19가지의 다른 방법으로 무화과의 저당성 잼을 제조한 결과, 제조한 모든 무화과 잼은 시중 무화과 잼의 $65^{\circ}Brix$보다 낮은 $31{\sim}49^{\circ}Brix$의 가용성 고형분량을 갖는 저당성 잼이였다. 그러나 그들 중에 5종류만이 관능검사에서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 그것들은 무화과 펄프에 펙틴을 1% 첨가하거나 혹은 첨가하지 않고 PE (200 units/400 g pulp)를 첨가하여 펙틴질을 low methoxyl pectin으로 한 다음 잼의 색깔을 좋게 하기 위하여 무화과 펄프에 대하여 구연산 0.25%를 첨가하여 pH를 낮추고, 가교제로 Ca 0.7%, 젤리화와 적당한 감미를 주기 위한 설탕 20%를 가하여 microwave 혹은 hot plate에 의하여 가열하거나 또는 냉장(펙틴 무첨가는 제외)에 의하여 젤리화한 것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