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lodging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8초

벼 도복에 관여하는 형질 분석 (Analysis of Lodging Related Characteristics in Rice Plants)

  • 임준택;이홍재;조광석;송동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8-85
    • /
    • 1992
  • 도복에 관여하는 유용형질들을 조사하고 이들과 관련정도를 밝히기 위하여 형질간의 상호비교, 유전력, 표현형 상관과 유전상관, 경로계수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장도복정도의 관련정도가 높은 형질들은 간장, 하중비(Wl/P), Wl, 단립간 직경휨모멘트 (Wl/ d), 도복지수(L), Wl/A, 단립간 하중(W/l), P(임계도복하중), 임계도복하중지수(W $s^2$/ $l^4$)등이었다. 2. 좌절하중(S)은 포장도복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다.(r=-0.3986$^{*}$ ) 3. 간경, 줄기단면적, 간벽 두께, 줄기 단면의 2차 관성모멘트는 포장도복과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 간장, 엽중, 도복지수는 유전력이 높아서 육종을 위한 선발형질로서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5. 직접, 간접효과는 정의 상관으로 간벽의 두께( $P_{7y}$=0.6904), 엽중( $P_{3y}$=0.2848), 근중( $P_{1y}$=0.2658), 간경( $P_{6y}$=0.2288)의 순이었으며 부의 상관은 간장 ( $P_{5y}$=0.9640), 경중( $P_{2y}$=-0.7072)의 순으로 나타나서, 간벽 두께가 두껍고 간장과 경중이 적을수록 도복에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와 손이앙재배의 도복발생 발생 양상 (Lodging Pattern of Rice Plant in Broadcast-Seeded and Hand -Transplanted Cultivation)

  • Kim, Je-Kyu;Lee, Moon-Hee;Oh, Yun-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9-227
    • /
    • 1993
  • 본 시험은 벼 담수표면직파재배 (이하는 담수직파)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도복발생의 원인을 손이양재배와 비교, 구명하기 위하여 작물시험장 답물포장에서 1991~1992년에 수행되었다. 공시품종은 자포니카인 화정벼를 이용하였고, 벼 재배방법은 침수작파와 손이양으로 하였으며, 질소시비량은 4수준(50,100, 150,200kg/ha)으로 처리하였다. 1. 벼의 지상부생중은 출수후 20일경에 가장 무거웠으며, 그 후 계속 감소되었고, 중심고비율은 성숙기까지 점진적으로 증가되었다. 또 좌절중은 출수후 40일 까지 계속 감소되었으며, 도복지수는 출하후 30~40일 경에 가장 컸다. 2. 손이앙에서는 간장, 지상부 생중, 도복지수는 침수직파에서 보다 현저히 크고, 좌절종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실제 포장도복은 침수직파에서 더 심하였는데 이는 두 재배양식 간에 도복원인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3. 손이양은 질소 200kg/ha에서 반복형 도복이 있었으나, 침수직파는 질소 150kg/ha 이상에서 뿌리도복이 심하게 발생되었다. 4. 침수직파에서 뿌리도복이 심했던 주된 요인은 벼 뿌리의 천근화 현상 때문인데, 토층표면(0~5cm)의 뿌리분포는 침수직파(65.2%)가 손이앙(51.6%)보다 현저히 많았으나 상층 5~10cm에서는 침수직파(18.5%)가 손이앙(28.0%)보다 적었다. 또 간기부의 매몰깊이가 손이앙은 4.0cm로 깊었으나 침수직파는 1.2cm로 얕기 때문에 등숙의 진전과 더불어 지상부의 무게중심이 높아질 때 침수직파의 경우 뿌리의 식물체 지지력이 양화되어 도복이 쉽게 발생되었다. 5. 침수직파는 손이양에 비하여 단위면적당 수수는 많았으나 수당입수가 적고 도복으로 인하여 등숙비율이 낮았다. 벼 수량은 평균적으로 침수직파는 손이앙의 약 82% 정도였으며, 침수직파의 수량제한요인은 도복으로 인한 낮은 등숙비율이었다.

  • PDF

침수처리가 수도의 생육 및 임실장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mergence on Growth and Fertility Damages in Rice)

  • 최상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0-106
    • /
    • 1983
  • 이 연구에서는 벼 생육기 침수에서 피해가 가장 뚜렷이 나타나는 주요생육형질의 품종간 차이와 벼의 생식생장기 침수에서 피해를 크게 좌우하는 임실장해의 정도가 가장 예민하게 나타나는 시점을 찾기 위하여 벼의 포기단위, 이삭단위, 그리고 영화단위로 청수와 탁수로 처리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침수일수의 증가에 따라 엽초의 이상신장량이 많아졌고, 침수후의 초장신장량 및 분벽수는 감소되었으며 출수지연일수가 길어졌다. 2. 일/인형 품종은 일본형 품종에 비하여 엽초의 이상신장량이 적고 침수후 초장 신장의 억제 및 분벽력의 감소가 적었다. 3. 침수에 의한 임실장해가 가장 심한 시기는 청수와 탁수 모두 출수기이었으며 특히 출수전의 수잉기말에서 출수후 개화하기 전이었다.

  • PDF

Changes in the Grain Quality of Rice with Respect to the Duration of Lodging Time

  • Hwang, Tai-Jeong;Lee, Won-Jong;Shin, Jin-Chul;Lee, Chul-Won;Kim, Suk-Sh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59-1463
    • /
    • 2009
  • The specific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grain quality of lodged rice with respect to the duration of lodging time and compare the changes with those of unlodged one. The rice 'Janganbyeo' was cultivated and half of paddy field was totally lodged at 30 days after heading. Both lodged paddy and unlodged paddy were harvested at intervals and used for the grain quality determination. The lodged rice did not show any remarkable changes in grain quality until the $4^{th}$ day of lodging for rough rice and until the $2^{nd}$ or the $4^{th}$ day of lodging for brown rice and white rice. The overall grain quality of lodged rice could be kept for 2 to 4 days of lodging.

벼 담수직파재배시 Iprobenfos-metconazole(IPM) 처리에 따른 생육과 도복경감효과 (Growth, Lodging Reduction as Affected by Iprobenfos-metconazole(IPM) in Direct-seeded Rice on Flooded Paddy Field)

  • 이계환;최봉수;박종현;우선희;이철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93-398
    • /
    • 2013
  • 본 연구는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식물생장억제제인 IPM(Iprobenfos-metconazole)을 벼의 출수기 전에 처리함으로 써 벼의 생육과 도복경감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출수기에 간장은 식물생장억제제를 처리한 구에서 무처리구보다 간장이 단축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출수전 30일에 처리하였을 때 가장 단축효과가 컸고, 하위 4절간의 단축율이 가장 높았다. 2. 출수후 20일에 지엽의 엽색도를 조사한 결과 IPM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았고, 엽중 질소 농도는 IPM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낮았으나 규산 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았고, 규산/질소 비율이 증가하였다. 3. 하위 절간(3~4)의 좌절중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IPM 처리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도복지수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포장도복도 크게 경감되었다. 4.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한 결과 IPM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도복이 되지 않아서 등숙률과 천립중이 높아짐으로서 수량 증수 효과가 있었다.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of Rice with Respect to the Viviparity and the Duration of Lodging Time

  • Hwang, Tai-Jeong;Lee, Won-Jong;Shin, Jin-Chul;Lee, Chul-Won;Kim, Suk-Sh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402-406
    • /
    • 2009
  • The Japonica cultivar 'Janganbyeo' was cultivated and about half of paddy field was totally lodged at 30 days after heading. Both lodged paddy and unlodged paddy were harvested at intervals. The lodged paddy and brown rice did not show any signs of viviparity until the $4^{th}$ day of lodging. The activities of $\alpha$-amylase, diastase, and lipase of lodged paddy and brown rice began to increase on the $2^{nd}$ day of lodging and then increased slowly afterwards. The activities of protease and phytase of lodged paddy and brown rice reached the maximum values on the $2^{nd}$ day and then decreased until the final day of lodging. In contrast, unlodged paddy and brown rice showed relatively small increase in viviparity and in activities of $\alpha$-amylase, diastase, protease, lipase, and phytase. Especially, activities of diastase and lipase were observed even in unlodged paddy and brown rice.

무인기 기반 다중분광 영상을 이용한 벼 쓰러짐 영역의 특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Rice Lodging Area Using a UAV-based Multispectral Imagery)

  • 문현동;류재현;나상일;장선웅;신서호;조재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1호
    • /
    • pp.917-926
    • /
    • 2021
  • 벼 쓰러짐은 벼농사의 대표적인 기상재해 피해로써 강한 바람과 강우로 발생한다. 원격탐사 기법은 넓은 지역의 벼 쓰러짐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기에 적절한 방법이다. 실제로 벼 쓰러짐은 벼 키가 최대인 생육 시기에 주로 발생하여 군락의 큰 구조적 변화를 불러오기 때문에 분광 반사도 차이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나주에 위치한 전남농업기술원의 2020년 태풍에 의한 논벼 피해를 444 nm부터 842 nm까지 10개 밴드로 구성된 카메라 영상으로 분석하였다. 드론 영상마다 벼 쓰러짐 피해를 받은 영역과 벼 쓰러짐 피해가 없는 영역으로 구분하여 벼 쓰러짐 영역의 분광 반사도 특성 차이와 식생 탐지에 주로 사용되는 식생지수인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RE (Normalized Difference Red Edge), CCI (Chlorophyll Carotenoid Index)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반사도 값의 변화는 밴드6(668 nm)에서 가장 적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밴드 파장이 감소와 증가할수록 일반 논벼 보다 쓰러짐 영역 반사도가 커졌다. 또한, 쓰러진 벼를 묶어 세운 복구 지역은 대부분의 밴드에 걸쳐 반사도가 크게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NDVI와 NDRE는 벼 쓰러짐 영역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나, 그 반응 대상 및 정도는 서로 달랐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드론과 위성을 이용한 벼 쓰러짐 피해 조사 알고리즘에 기여될 것으로 기대한다.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on Lodging-related Traits in Direct Seeded Rice on Flooded Paddy Surface

  • Ju, Young-Cheoul;Park, Jung-Soo;Han, Sang-Wook;Park, Kyeong-Yeol;Rho, Young-De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48-252
    • /
    • 199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and midsummer drainage on lodging-related characters in direct seeding rice culture on flooded paddy surfaces. Treatme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continuous flooding, two time midsummer drainages (TTD), and inabenfide or trinexapac-ethyl application after TTD. Culm length was reduced most by 11.4cm in trinexapac-ethyl treatment after TTD, followed by 4.1cm in inabenfide treatment after TTD compared to TTD treatment. A significant reduction in culm length occurred at the 3rd internode in inabenfide treatment applied at 40 days before heading (DBH), while trinexapac-ethyl application at 8 DBH reduced the 3rd>2nd>1st internode. The culm diameter of the 4th internode was increased by the application of trinexapac-ethyl following TTD compared to TTD treatment. Thickness of culm wal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rinexapac-ethyl but not by inabenfide applications. Lodging index was the highest in continuous flooding and the lowest in trinexapac-ethyl treatment after TTD. Subsequently, field lodging did not occur in plots treated by trinexapac-ethyl. Rice plants subjected to midsummer drainage or growth retardants showed higher ripened grain ratio and 1000-grain weight, resulting in higher rice yiel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inexapac-ethyl, which can be applied at the relatively later growth stage after proper judgement of lodging occurrence, could be a useful tool for reducing lodging in direct seeding rice culture on flooded paddy fields.

  • PDF

딥러닝을 이용한 벼 도복 면적 추정 (Estimation of the Lodging Area in Rice Using Deep Learning)

  • 반호영;백재경;상완규;김준환;서명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05-111
    • /
    • 2021
  • 해마다, 강한 바람을 동반한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벼도복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삭이 여무는 등숙기에 도복으로 인한 수발아와 관련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신속한 피해 대응을 위해 신속한 벼 도복 피해 면적 산정은 필수적이다. 벼 도복과 관련된 이미지들은 도복이 발생된 김제, 부안, 군산일대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수집한 이미지들을 128 × 128 픽셀로 분할하였다. 벼 도복을 예측하기 위해 이미지 기반 딥 러닝 모델인 CNN을 이용하였다. 분할한 이미지들은 도복 이미지(lodging)와 정상 이미지(non-lodging) 2가지로 라벨로 분류하였고, 자료들은 학습을 위한 training-set과 검증을 위한 vali-se을 8:2의 비율로 구분하였다. CNN의 층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3개의 optimizer (Adam, Rmsprop, and SGD)로 모델을 학습하였다. 벼 도복 면적 평가는 training-set과 vali-set에 포함되지 않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미지들을 methshape 프로그램으로 전체 농지로 결합하여 총 3개의 농지를 평가하였다. 도복 면적 추정은 필지 전체의 이미지를 모델의 학습 입력 크기(128 × 128)로 분할하여 학습된 CNN 모델로 각각 예측한 후, 전체 분할 이미지 개수 대비 도복 이미지 개수의 비율을 전체 농지의 면적에 곱하여 산정하였다. training-set과 vali-set에 대한 학습 결과, 3개의 optimizer 모두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정확도가 높아졌으며, 0.919 이상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평가를 위한 3개의 농지에 대한 결과는 모든 optimizer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Adam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RMSE: 52.80 m2, NRMSE: 2.73%). 따라서 딥 러닝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벼 도복 면적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