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tal membranes, premature ruptur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3초

Pregnancy and Neonatal Outcomes of Group B Streptococcus Infection in Preterm Births

  • Lee, Yae Heun;Lee, Yoo Jung;Jung, Sun Young;Kim, Suk Young;Son, Dong Woo;Seo, Il Hye
    • Perinatology
    • /
    • 제29권4호
    • /
    • pp.147-152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maternal group B Streptococcus (Streptococcus agalactiae, GBS) infection was associated with preterm births and premature neonatal outcomes. Methods: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were examined among singleto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birth (from $24^{+0}weeks$ to $36^{+6}weeks$) who were tested for GBS (n=203) during the pregnancy.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the medical records of women who delivered at our hospital from January 2015 to February 2017. We compared obstetrical factors (causes of preterm birth) and neonatal (gestational age at delivery, birth weight, Apgar score 1 min/5 min, hospitalization period,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neonatal C-reactive protein within three days, and other complicatio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eonatal deaths]) outcomes between GBS-infected and non-infected pregnant women. Results: There were 203 singleton pregnant women included in the study, 25 of whom were confirmed to have a GBS infection during the pregnancy. There was no difference in neonatal outcomes by GBS status.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as an obstetric factor, was associated with GBS infection (P=0.022). GBS infection raised the risk of pPROM by 3.6 times (odds ratio 3.648, 95% confidence interval 1.476-9.016, P=0.005). Conclusion: GBS infection in preterm birth was associated with pPROM but did not result in adverse neonatal outcomes. Continuous attention and evaluation of GBS infection, a major cause of neonatal sepsis and pneumonia, are needed.

태수술에 대한 이해와 구순구개열 환자에서의 적용 (Understanding of Fetal Surgery and Application to the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 김성민;박정민;명훈;최진영;이종호;정필훈;김명진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9-58
    • /
    • 2008
  • The development of fetal surgery has led to promising options for many congenital malformations, such as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CDH), obstructive uropathy, twin-to-twin transfusion syndrome (TTTS), and sacrococcygeal teratoma. However, preterm labor (PTL) and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continue to be uniquitous risks for both mother and fetus. To reduce maternal morbidity and the risk of prematurity, minimal access techniques were developed and are increasingly employed recently. Lift-threatening diseases as well as severely disabling but not life-threatening conditions are potentially amenable to treatment. Recently, improvement of video-endoscopic technology has boosted the development of operative techniques for feto-endoscopic surgery, which has been demonstrated to be less invasive than the open approach. Fetal surgery for repair of cleft lip and palate, a congenital anomaly which is not life threatening, is inappropriate until such time that the benefits are shown to outweigh the risks of both the procedure itself and preterm delivery. Further animal studies will be needed before intrauterine surgery for human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recent technique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fetal intervention of congenital facial defect patients, we reviewed recent related articles about the current knowledge and new perspectives of experimental fetal fetal surgery in the cleft lip and palate defects.

  • PDF

병원분만 임산부의 분만전 불안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Anxiety of the Hospitalized Pregnant Women for Conducting tabor)

  • 박영숙;허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35
    • /
    • 198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or the assessment of anxiety level and for identification for factors relating to the anxiety of the normal Pregnant women who are impendign or entering lab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is used as the measure of anxie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between state-anxiety and trait-anxiety is 0.459 and the linear regression is y(State-anxiety) : 0.251$\chi$(Trait -anxiety)+29.27. 2. The maternal state-anxiety is not related to the variables of the age, the educational level, the occupation, the prenatal care, parity, show, labor pain and delivery type except for the premature or early rupture of the fetal membranes. 3. The maternal trait-anxiety is not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variables.

  • PDF

Association between gestational age at delivery and lymphocyte-monocyte ratio in the routine second trimester complete blood cell count

  • Cha, Hyun-Hwa;Kim, Jong Mi;Kim, Hyun Mi;Kim, Mi Ju;Chong, Gun Oh;Seong, Won J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1호
    • /
    • pp.34-38
    • /
    • 2021
  • Background: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routine second trimester complete blood cell (CBC) count parameters, including neutrophil-lymphocyte ratio (NLR), lymphocyte-monocyte ratio (LMR), and platelet-lymphocyte ratio (PLR), could predict obstetric outcomes. Methods: We included singleton pregnancies for which the 50-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CBC were routinely performed between 24 and 28 weeks of gestation in our outpatient clinic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7.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pregnancy outcomes as follows: group 1, spontaneous preterm births, including preterm labor and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group 2, indicated preterm birth due to maternal, fetal, or placental causes (hypertensive disorder, fetal growth restriction, or placental abruption); and group 3, term deliveries, regardless of the indication of delivery. We compared the CBC parameters using a bivariate correlation test. Results: The study included 356 pregnancies. Twenty-eight subjects were in group 1, 20 in group 2, and 308 in group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neutrophil, monocyte, lymphocyte, and platelet count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LR, LMR, and PLR between the three groups, LM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estational age at delivery (r =-0.126, p =0.016). Conclusion: We found that a higher LMR in the second trimester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CBC parameters in the second trimester of pregnancy could be used to predict adverse obstetric outcomes.

쌍태 임신에서 일측 태아의 자궁내 사망이 산모와 생존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Fetal Death on Mother and Live Co-twin in Twin Pregnancy)

  • 김소연;정해율;백희조;최익선;조창이;최영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512-1518
    • /
    • 2002
  • 목 적 : 쌍태 임신에서 일측 태아가 자궁내 사망한 경우 생존아의 사망률이 높고 범발성 혈관내 응고병증, 패혈증 및 뇌손상 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측 태아의 자궁내 사망 후 생존아들의 주산기 합병증 및 이와 연관된 위험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쌍태 임신 중 일측 태아가 자궁내 사망한 후 생존 출생한 15례의 의무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생존아에서는 말초 혈액과 혈액 응고계 검사, 두부 초음파 및 뇌 자기공영상 검사를, 그리고 산모에서는 말초 혈액과 혈액 응고계 검사 및 임신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해 의무 기록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생존아에서 주산기 합병증에 대한 위험 인자로 융모막 상태, 출생 체중, 재태 주령 및 일측 태아의 자궁내 사망 후 분만까지의 기간에 대해 관찰하였다. 결 과 : 1) 일측 태아의 자궁내 사망 후 생존 출생아 15례의 재태 주령은 $33.7{\pm}3.2$주, 출생 체중은 $1,992{\pm}592g$, 분만까지의 기간은 $32.4{\pm}29.5$일이었고, 조산아 11례(73.3%), 만삭아 4례(26.7%)로 조산의 원인은 조기 진통과 조기 양막 파수가 주였다. 2) 산모에서 시행한 혈액 검사상 범발성 혈관내 응고병증은 1례도 없었고, 산모의 말초 혈액 검사(백혈구수, 혈소판수, PT, aPTT, fibrongen, FDP) 소견과 생존아의 범발성 혈관내 응고병증 및 뇌연화증 발생과는 연관이 없었다. 3) 생존아 총 15례 중 6례(40.0%)는 정상이었고, 범발성 혈관내 응고병증 3례(20.0%), 뇌연화증 3례(20.0%), 자궁내 발육 지연 1례,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recepient) 1례, 선천성 심장기형(심방 중격 결손 및 폐동맥 협착)이 동반된 경우 1례 있었다. 4) 생존 출생아에서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 및 뇌연화증의 발생은 융모막 상태, 출생 체중, 재태 주령 및 일측 태아의 자궁내 사망 후 생존아 분만까지의 기간과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자궁내에서 일측 태아가 사망한 경우 산모에서 혈액학적 이상은 발견할 수 없었고 생존아에서 주산기 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의의 있는 위험 인자를 발견할 수 없었지만 약 20.0%에서 뇌연화증 및 범발성 혈관내 응고병증이 발생하였기에 쌍태 임신 중 임신 제2, 3기에 일측 태아가 자궁내 사망한 경우 생존 출생아에 대한 면밀한 혈액학적 및 신경학적 검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Dry lung syndrome 2예 (Two Cases of Dry Lung Syndrome)

  • 송인규;김수영;이주영;이은희;손진아;최은진;김은선;이현주;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58-162
    • /
    • 2011
  • 조기 양막 파수에 의한 양수 과소증 산모에게서 출생한 미숙아들에게 발생하는 호흡 곤란의 원인으로 폐 저형성증이나 폐고혈압증, RDS, 폐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과 유사한 초기 경과를 보이는 DLS는 이들에 비해 빠른 회복을 보이고 적은 후유증을 남기는 특징을 가져 다른 질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양수 과소증 산모에게서 출생한 미숙아로 출생 초기심한 호흡 곤란을 보였지만 X-ray 소견이 RDS에 합당하지 않거나 폐 표면 활성제에 반응하지 않았으나 높은 흡기 압력과 NO가스로 치료 후 급속도로 호전되어 DLS로 진단된 2예를 보고하였다. 호흡 곤란을 보이는 미숙아의 치료 시 다른 질환들이 감별되는 경우 DLS를 염두하여 높은 흡기 압력으로 인공 호흡기치료를 하고 심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 후 NO 가스의 사용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선천성근성사경 및 구개열의 병발 (Concurrence of Obstetric Brachial Plexus Injury,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nd Cleft Palate)

  • 이한별;박명철;김치선;한재덕;이승재;김세온;임신영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71-75
    • /
    • 2011
  • 임신성 당뇨 및 조기양막파수를 보인 산모의, 다른 산전 병력 없이 과체중아로 태어난 생후 17일된 남아에서,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선천성근성사경 및 구개열의 병발이 진단 되었다. 동시에 세 질환의 병발이 단순 병발일 수 있으나, 세 질환을 동시에 유발할 수 있는 병인에 의한 것일 수 있으므로, 증례의 분석을 통하여 어머니의 임신성 당뇨에 의하여 이 세 질환의 발생이 가능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모체의고혈당증은 주로 신경능선 조직에서 발생하는 태아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신경능선 조직에서 분화하는 조직들 중 하나인 구개골의 형성에 영향을 주어 구개열의 발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임신성 당뇨에서 과체중아의 출생 빈도가 증가하므로, 이와 관련된 분만 손상 중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및 선천성근성사경의 발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가 있는 산모의 태아에서 구개열등의 선천성 기형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산전 검사 시 유의해야하며, 과체중아에서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과 선천성근성사경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와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분만성 상완 신경총 손상, 선천성근성사경 및 구개열의 병발이 산모의 임신성 당뇨와 연관된 합병증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향후 더 많은 증례를 통한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