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ulic Acid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PLANT PHENOLIC ACIDS ON CELLULOLYTIC ACTIVITY OF MIXED RUMEN POPULATIONS

  • Ushida, K.;Watase, H.;Kojim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1호
    • /
    • pp.27-31
    • /
    • 1990
  • Influences of plant phenolic acids and their possible metabolites(non-phenolic aromatic acids involved) in the rumen on the cellulolytic activity of mixed rumen populations were examined by a simple in vitro culture technique. Initial concentrations of aromatic acids were 1, 5, 10 and 20 mM/l. All the tested aromatic acids reduced microbial cellulose digestion especially at the higher initial concentration. P-Coumaric acid, ferulic acid and cinnamic acid, those having unhydrogenated propenoic side chain were more inhibitory than were 3-phenylpropinic acid and phloretic acid, those having hydrogenated propanoic side chain. Lag-time for cellulose digestion was prolonged by former three acids by 16 h. Apparent reduction in p-coumaric acid concentration was observed at 24 h when cellulose digestion began. Volatile fatty acid productions from cellulose fermentation were shifted by former three aromatic acids to produce more acetate and less propionate. This suggests that the selection of celluloytic organisms was induced by these aromatic acids.

Elicitation of Camptothecin Production in Cell Cultures of Camptotheca acuminata

  • Song, Seung-Hoon;Byun, Sang-Y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2호
    • /
    • pp.91-95
    • /
    • 1998
  • Camptothecin productoin was increased with elicitors, methyl jasmonate, jasmonic acid, yeast extract elicitor, and ferulic acid in suspension cultures of Camptotheca acuminata. Jasmonic acid was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elicitor. Camptothecin production increased 11 times by using the optimum dosing concentration of jasmonic acid which was 50 ${\mu}$M. The kinetics of camptothecin accumulation in response to the treatment with jasmocin acid showed that the comptothecin accumulation reached the maximum value at 4 days after jasmonic acid dosing and then a rapid decrease in camptothecin accumulation was observed.

  • PDF

흑미 미강의 기능성 성분 추출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from Black Rice Bran)

  • 조인희;최용희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88-39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추출시간을 단축시키고자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UAE)를 이용한 전처리 추출공정을 수행 후 기능성 성분 추출 시 시료에 대한 용매비와 추출 온도, 추출 시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용매비는 10-30 mL/g, 추출온도 60-100$^{\circ}C$, 추출시간 2-6시간으로 하여 각 조건에서 추출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최적 추출 조건을 구하기 위해 반응표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강의 기능성 성분의 추출 시 추출온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추출시간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추출온도 다음으로 종속변수에 비교적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총페놀함량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43, 추출온도 82.13$^{\circ}C$, 추출시간 3.76시간일 때 최대값 176.57 mg GAE/100g을 나타내었고,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8.32 mL/g, 77.51$^{\circ}C$, 2.04시간일 때 291.09 mg/ 100 g으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14.37 mL/g, 78.46$^{\circ}C$, 2.87시간일 때 94.34%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Ferulic acid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71 mL/g, 추출 온도 80.58$^{\circ}C$, 추출시간 3.62시간일 때 최대값 265.18 mg/100 g으로 예측되었고, $\gamma$-oryzanol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6.39 mL/g, 추출온도 76.45$^{\circ}C$, 추출시간 3.41시간 에서 최대값 226.46 mg/100 g을 나타났다. $\alpha$-toopherol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5 mL/g, 추출온도 79.18$^{\circ}C$, 추출 시간 5.73시간일 때 최대값 9.71 mg/100 g을 나타내었다. 흑미 미강의 기능성 성분의 최적 추출 조건을 예측하기 위하여 각 종속변수에 대한 각각의 contour map을 superimposing을 한 결과 시료에 대한 용매비 20.35mL/g, 추출 온도 79.4$^{\circ}C$, 추출 시간 2.88시간으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각각 종속변수들의 예측값과 실제값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구리이온(II)이 존재할 때 Salvianolic acid B에 의한 DNA 절단 (DNA Breakage by Salvianolic acid B in the Presence of Cu (II))

  • 이평재;문철;최윤선;손현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5-210
    • /
    • 2018
  • 단삼의 성분인 salvianolic acid B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다. 특히 항산화 효과는 간세포, 신경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유형에서 보호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ferulic acid와 같이 항산화제로 여겨지는 몇몇 페놀성 물질은 특정 전이 금속이 있으면 산화작용을 하며 이것이 항암 효능을 설명하기도 한다. 본 실험에서 salvianolic acid B가 $Cu^{2+}$ 환경에서 산화작용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salvianolic acid B와 $Cu^{2+}$를 동시 처리하면 supercoilded 형태의 DNA가 open circular 혹은 linear 형태로 바뀌었으나 salvianolic acid B 혹은 $Cu^{2+}$를 단독 처리 했을 때는 그렇지 않았다. $Cu^+$에만 특정적인 킬레이터 neocuproine을 이용하여 salvianolic acid B가 $Cu^{2+}$$Cu^+$로 환원시킴을 알았으며 $H_2O_2$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 catalase를 처리하면 DNA 분해가 일어나지 않았다. 활성산소종 중 하나인 $H_2O_2$는 생체분자 특히 DNA를 공격하여 정상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한다. 정리하면 salvianolic acid B에 의한 $Cu^{2+}$의 환원은 $H_2O_2$를 생성하며 $H_2O_2$는 DNA 분해를 일으킨다. 이런 결과는 salvianolic aicd B의 항암효과가 salvianolic acid의 $H_2O_2$ 생성 때문일 수 있다는 작은 단서를 줄 수 있으며 이는 좀 더 실험이 이뤄져야 한다.

추출방법에 따른 대나무(왕대) 추출물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Starf)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 주인옥;정기태;류정;최정식;최영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42-548
    • /
    • 2005
  • 대나루(왕대)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액의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대나무 추출액의 pH는 5.0-5.5였고, 가용성고형분과 총페놀 함량은 알코올 추출액이 각각 $13.7^{\circ}Brix$와 0.42%로 가장 높았으며, 증발잔사는 직접가열 추출액이 3.8%로 가장 높았다. 무기성분은 K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추출방법에 따라서는 간접가열이 가장 높은 무기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중금속은 Al, Cr, Cu, Mn, Ni, Pb, Zn, 등이 검출되었으며, 유해중금속 중 As, Cd, Hg는 검출되지 않았고 Cr, Pb는 극미량 검출되었다. 폴리페놀은 catechin,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3-hydroxy benzoic acid, ferulic acid등 5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3-hydroxy benzoic acid와 catechin이 주종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galactose, glucose, fruct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으며 glucose와 sucr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유기산은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등이 검출되었으나 직접가열 추출액은 tartaric acid가, 물 추출액과 알코올 추출액은 citric acid, tartaric acid 및 succin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은 간접가열 추출액과 알코올 추출액이 상업용 항산화제인 BHA와 ${\delta}-tocopherol$ 보다 우수하였다. 아질산염소거능은 pH 1.2와 3.0에서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pH 6.0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액이 가장 높았으며, SOD 유사활성과 ACE 저해활성은 간접가열 추출액이 가장 높았다. 식품 부패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Bacillus subtilis, E. coli O157,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뇌삼 부위별 기능성 성분분석과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 Analysis of Korean Mountain Ginseng's Different Sections)

  • 김준한;김종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315-1321
    • /
    • 2006
  • 장뇌삼 부위별로 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분석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장뇌삼 부위별 추출물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arginine, proline, $\gamma-amino-n-butyric$ acid, alanine 및 aspartic acid가 매우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proline은 씨앗의 80% 메탄을 추출물에 22.98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또한 $\gamma-amino-n-butyric$ acid와 alanine은 잎의 80% 메탄을 추출물에 각각 26.04 mg/g과 13.07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aspartic acid는 잎의 80% 메탄을 추출물에 23.42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었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가 매우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페놀 함량든 씨앗의 80% 에탄올 추출물에 737 mg% 이었고, 씨앗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560 mg%의 함량을 함유하였다. 주요 페놀산으로는 ferulic acid, salicylic acid, caffeic acid 및 $\rho-coumaric$ acid 등으로 확인되었다. Ferulic acid는 잎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875{\mu}g/g$으로 가장 많았고, salicylic acid는 잎의 80% 메탄을 추출물에 $78{\mu}g/g$의로 가장 많았고, caffeic acid는 잎의 80% 에탄을 추출물에 $50{\mu}g/g$으로 가장 많았으며, $\rho-coumaric$ acid는 줄기의 80% 메탄을 추출물에 $181{\mu}g/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사포닌 조성으로 Rg1 함량은 잎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44.15{\mu}g/g$이었고, Re 함량은 잎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48.78{\mu}g/g$으로 가장 많았으며, Rd 함량은 잎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25.57{\mu}g/g$으로 가장 많았고, Rc 함량은 잎의 80% 메탄을 추출물에 $4.87{\mu}g/g$으로 가장 많았다. 항산화활성은 잎의 물 추출물이 83.82%이었으며,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89.74%이었으며, 잎의 80% 메탄을 추출물이 88.37%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HPLC-PDA를 이용한 오약순기산 중 6종 성분의 동시분석 (Simultaneous Analysis of Six Constituents in Oyaksungi-san using HPLC-PDA)

  • 서창섭;김정훈;신현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7-46
    • /
    • 2012
  • Objectives : Oyaksungi-san(Wuyaoshunqisan)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stroke and rheumatoid arthritis in Korea. In this study, a simple and accurat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method was establishe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ix main components, liquiritin, ferulic acid, naringin, hesperidin, neohesperidin, and glycyrrhizin in Oyaksungi-san, a traditional Korean herbal prescription. Methods : The analytical column for separation of six constituents was used a Gemini $C_{18}$ column maintained at $40^{\circ}C$. The mobile phase consisted of two solvent systems, 1.0% (v/v) acetic acid in $H_2O$ (A) and 1.0% (v/v) acetic acid in acetonitrile (B) by gradient flow. The flow rate was 1.0 mL/min and the detector was a photodiode array (PDA) set at 254 nm for glycyrrhizin, 280 nm for liquiritin,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and 320 nm for ferulic acid. Results : Calibration curves were acquired with $r^2$ values ${\geq}0.9998$. The results of recovery test were 91.58%-105.90% with a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s, %) value less than 2.0%. The values of RSD for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0.03%-1.72% and 0.03%-1.63%,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he six compounds in Oyaksungi-san were 0.33-9.30 mg/g. Conclusions : The newly established HPLC method will be helpful to improve quality control of Oyaksungi-san.

Investigation of Phenolic, Flavonoid, and Vitamin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Kim, Ji-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263-270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enolic, flavonoid, and vitamin constituents in the main root, root hair, and leaf of ginseng. The total individu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leaf, followed by the main root and root hair. Ferulic acid and m-coumaric acid were found to be the major phenolics in the main root and root hair, while p-coumaric acid and m-coumaric acid were the major phenolics in the leaf. Catechin was the major flavonoid component in the main root and root hair, while catechin and kaempferol were the major flavonoid components in the leaf. Pantothenic acid was detected in the highest quantity in the non-leaf parts of ginseng, followed by thiamine and cobalamin. Linolenic acid and menadione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all parts of ginseng.

토마토식물의 독성물질 확인과 생장억제작용 (Identification and Growth Inhibition of Phytotoxic Substances from Tomato Plant)

  • 김영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2권1호
    • /
    • pp.41-49
    • /
    • 1989
  • Phenolic compounds such as gallic acid, ferul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salicylic acid, tannic acid, and hydroquinone were identified from the aqueous extracts and volatile substances of tomato plant by paper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experimental species, lettuce and egg plant, were severely inhibited in 5$\times$10-3M of phenolic reagents identical to those identified from tomato plant. Germination and growth rate of test species in 5$\times$10-4M and 5$\times$10-5M were higher than that of 5$\times$10-3M. Therefore, 5$\times$10-3M of phenolic compounds would be assumed to be threshold concentration for allelopathic effects.

  • PDF

돼지풀의 페놀화합물 동정 및 이들 화합물이 잡초의 유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 (Common Ragweed-Derived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Effect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Weed Species)

  • 최봉수;송득영;성좌경;김충국;송범헌;우선희;이철원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6-404
    • /
    • 2010
  • 외래잡초인 돼지풀은 국내 확산이 우려되는 문제잡초로서 allelopathy와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돼지풀이 함유하고 있는 phenolic compounds의 시기별 변화와 이들 화합물에 의한 3종 잡초의 발아 및 초기생육을 평가하였다. 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물질로 잘 알려진 cinnamic acid 유도체인 5종의 페놀화합물은 HPLC를 이용하여 정량분석하였고, 4종 (caffeic acid, O-coumaric acid, ${\rho}$-coumaric acid 및 ferulic acid)의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돼지풀에서 검출된 페놀화합물 중 caffeic acid의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O-와 ${\rho}$-coumaric acid는 개화직전 농도가 개화후기보다 3배 정도 높았다. 돼지풀이 함유하고 있는 페놀화합물의 총함량은 개화직전이 $1,377{\mu}g$으로 개화후기의 $1,583{\mu}g$보다 낮았으나 돼지풀이 생장률에 비해 증가량은 현저히 낮았다.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농도별로 조제한 페놀화합물 중 O-와 ${\rho}$-coumaric acid는 바랭이의 발아를 지연시켰으며, caffeic acid는 피의 발아율을 대조구보다 10% 억제시켰다. 또한 발아가 50%에 도달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T_{50}$$10^{-4}M$ 페놀화합물 처리구의 금방동사니와 바랭이에서 촉진되었으며, $10^{-3}M$ 페놀화합물 처리구의 금방동사니와 피에서 현저히 지연되었다. 다양한 페놀화합물 중에서 O-coumaric acid는 3종의 모든 잡초에서 하배축과 유근의 신장을 현저히 억제시켰으며, 금방동사니의 뿌리 세포 분열을 억제시켰고, 특히 피의 발근을 100% 억제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