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Fruit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1초

비지터블 추출물 및 유산균 발효물의 진생사포닌 대사산물과 장건강 활성성분 효과 (Effects of Ginseng Saponin Metabolites and Intestinal Health Active Ingredients of Vegetables Extracts and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43-9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과, 배, 무 등 8종 과채류를 절단하고 열수추출물과 과채류 증숙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실험기질로 사용하였다. 실험기질에 홍삼추출물 1%(W/V)와 유산균발효 추출물에 유산균 8종 혼합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한 결과, ginsenosides의 패턴과 함량은 과채류 추출물군과 증숙 처리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군에서는 발효과정과 처리에 따라 TLC 패턴이 변하여 Rg3(S) 및 Rg5으로 전환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4종의 과채류추출물 모두에서 유산균 수(cfu)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산균 CFU의 수는 과채류 추출물의 4가지 발효군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익균의 생장 억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가지 유해균의 증식억제 효과는 4가지 과채추출물에서 대장균과 슈도모나스의 증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과채류 증숙 열수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과채류 추출물의 생장억제효과로 확인되었다.

감과 대추의 연화중 가용성 단백질의 변화 (Changes in Soluble Proteins during Softening of Persimmon and Jujube Fruits)

  • 서지형;신승렬;정용진;김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5-179
    • /
    • 1997
  • 과실의 성숙 연화동안에 단백질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고자 완숙 연화된 감과 대추에서 용해성에 따라 추출한 수용성 단백질, 염가용성 단백질 및 세포벽 단백질의 함량 변화와 각 단백질의 gel filtration chromatogram의 pattern 변화를 조사하였다. 두 과실의 수용성 단백질은 완숙감과 대추에서 각각 98.2, 117.1mg/100g-fr.wt.이었으며, 연화된 감과 대추에서는 각각 112.6, 183.4mg/100g-fr.wt.로 과실의 연화에 따라 증가하였다. 염가용성 단백질도 감의 경우 완숙감에서 51.7mg, 연시에서 133.2mg/100g-fr.wt.로 증가하였고, 대추의 경우에도 완숙·연화 대추 각각 101.8, 139.5mg/100g-fr.wt.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이 에 반해 세포벽 단백질 함량은 두 과실 모두 감소하였다. Gel filtration에서 연시의 수용성 단백질 chromatogram은 완숙감에 나타난 1개의 peak 이외에 다소 분자량이 작은 2개의 peak가 함께 존재 했으며 , 대추의 수용성 단백질은 완숙 대추와 연화 대추 모두 3개의 peak로 존재했다 염가용성 단백질 및 세포벽 단백질의 get filtration에서는 완숙 연화 과실에서 거의 유사한 경향의 chromatogram을 나타내었다. 또한 연좌된 감과 대추의 세포벽 단백질에서 단백질 함량이 감소하는 fraction은 수용성 및 염가웅성 단백질 분획에서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fraction과 거의 일치하였다.

  • PDF

약선개발을 위한 대추과육과 잎 추출물의 일반성분 및 항산화활성 평가 (Evaluation of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orm Zizyphus jujuba Fruits and Leaves Extracts for Development Medicinal Food)

  • 조화은;정명수;최윤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59-865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proximate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extracts from Zizyphus jujuba fruits (ZF), leaves (ZL), mixture of them (ZM) and fermented mixture (FZM) for development medicated food. The contents of total carbohydrate and free sugar in ZF were 82.37 and 64.18 g/100 g, highest contents among all the extracts. The contents of free sugar in ZL was 19.39 g/100 g, but FZM was 10.01 g/100 g lower than ZL.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in 1 mg/$m{\ell}$ concentration were 90.96 ${\mu}g$/mg for ZL, 22.39 ${\mu}g$/mg for ZF, 83.67 ${\mu}g$/mg for ZM, 70.92 ${\mu}g$/mg for FZM.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 mg/$m{\ell}$ concentration was 51.07% for BHT, 46.32% for ZL, 39.54% for ZM, 34.68% for FZM. ZF did not express activity. SOD like activity at 1 mg/$m{\ell}$ concentration was 67.16% for BHT, 75.33% for ZL, 17.42% for ZF, 68.22% for ZM, 59.81% for FZM.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s of Z. jujuba (ZF) prominently lower than that of the leaves (ZL), but a mixture of leaves and fruits enhanc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is not enhanc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Z. jujuba

감과 대추의 연화중 Polygalacturonase의 변화 (Changes in Polygalacturonase during Softening of Persimmon and Jujube Fruits)

  • 서지형;신승렬;정용진;김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0-185
    • /
    • 1997
  • 과실의 연화중에 단백질과 polygalacturonase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고자 감과 대추에서 용해성 에 따라 추출한수용성 단백질, 염가용성 단백질 및 세포벽 단백질중의 polygalacturonase 활성 변화와 polygalacturonase pattern 변화를 조사하였다. 감과 대추의 연화 동안에 polygalacturonase 활성은 수용성 단백질과 염가용성 단백질분획에서는 증가하였고, 세포벽 단백질분획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완숙감의 수용성 단백질과 염가용성 단백질을 gel filtration한 경우 polygalacturonase는 두 단백질 모두 fraction No. $30{\sim}40$, $40{\sim}50$ 사이 2개의 활성 peak를 나타내었고, 연시의 경우에도fraction No. $35{\sim}50$ 사이 1개의 peak로 근 변화가 없었다. 또한 대추의 수용성 단백질과 염가용성 단백질을 gel filtration한 경우 완숙대추, 연화대추 모두 유사한 1개의 활성 Peak를 나타내었다. 한편 감과 대추의 세포벽 단백질을 gel filtration한 경우 연화에 따른 활성 peak는 수용성 단백질과 염가용성 단백질의 활성 peak와 거의 동일한 fraction에서 존재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서 감과 대추의 연화동안에 나타나는 polygalacturonase의 활성 증가는 과실의 성숙·연화에 따른 새로운 효소 단백질의 합성 및 두 과실의 세포벽에 결합된 비활성 형의 Polygalacturonase가 세포벽 단백질의 유리에 따라 활성 형으로 전환됨 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북지방 시설과채류의 생리장해 발생조사 (Survey of Physiological Disorders in Greenhouse Fruit Vegetables in Kyungbuk Province)

  • 황재문;엄정식;이영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37-741
    • /
    • 1999
  • 본 조사는 생리장해 연구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1998년에 경북 시설 과채류 주산지에서 재배실태와 생리장해에 대하여 농가 현장방문을 통하여 실시되었다. 재배시설의 형태는 단동 또는 연동의 철 파이프 PE하우스가 대부분이며, 딸기, 참외, 수박은 단동 PE하우스, 그리고 토마토와 오이는 연동하우스를 이용하였다. 전체 조사농가 중 단작의 비율은 56.8%, 그리고 윤작은 40.9%로 나타났다. 시설내의 관수는 점적만 하는 농가는 전체 농가의 38.6%이다. 연작연수는 전제적으로 5년 미만의 농가가 38.1%였으며, 10년 이상 된 농가도 20.5%에 달하였다. 재배품종은 작물별로 다양하나, 특히 오이와 수박에서 다양하였다. 딸기의 기형과는 3월에 발생이 많았고 수확종기에 소과가 나타났다. 영양결핍에 의한 황화증상은 5월 이후에 많았고, 월동기에 왜화와 생육초기에 런너발생 등이 관찰되었다. 토마토는 9~11월에 열과, 10월과 2~4월에 기형과, 7~9월에 배꼽썩음과 등이 심하였으며, 순멎이, 이상경, 영양결핍증 등도 관찰되었다. 오이는 곡과, 곤봉과, 어깨빠진과 등 기형과는 11~12월에 심하게 나타났으며, 5~7월에 낙하산엽 증상 등이 조사되었다. 참외의 기형과와 발효과는 3~5월에 심하였고 수박의 열과도 4~5월에 많았으며 변형과는 8월에 나타났다. 식물체에는 영양결핍인 황화증상이 다수의 농가에서 발견되었다. 생리장해에 대한 인식은 병해충에 대한 인식보다 강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장해의 동정이나 방제법에 소홀한 점들이 많았다. 생리장해 발생원인으로는 토양환경 불량과 온도관리의 미흡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대책으로는 하우스 환경관리를 잘 해야 한다고 대부분의 농가가 응답하였다.

  • PDF

대체농업자재에 의한 과수의 품질 및 주요병해방제 효과 (Effect on Fruit Quality and Tree's Main Disease Control by Agro-chemical alternatives)

  • 남기웅;김승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7-77
    • /
    • 2002
  • 과수농가에서 시용하고 있는 대체농업자재들을 대상으로 과실수량 및 품질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고, 또한 이들 자재들이 사과에서 발생하는 주요병해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료와 농약을 시용하지 않고 대체농업자재만을 사용하여 재배한 과수원에서는 과실 수확량이 관행농법의 56%수준으로 낮은 경향이었으며, 과일의 크기도 적어 상품성 있는 과실 생산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면에서 처리간 과실중의 당함량은 비슷하였으나 비타민C 함량은 환경농법구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농약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목초액, 유산균, 천혜녹즙, 현미식초, 키토산을 사과원에서 처리한 결과 키토산 처리구에서 사과병해에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그 외 처리는 관행농법구보다 병해발생이 많았다. 키토산, 현미식초, 천혜녹즙과 아미노산처리구에서 생산된 과실중에 당함량이 다소 많았으며 키토산, 현미식초, 활성탄과 목탄처리구에서는 비타민C 함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과수원에서 농약을 전혀 시용하지 않고 대체농업자재에 의존한 과수원 경영은 매우 곤란한 것으로 생각되며, 대체농업자재는 비료와 농약 사용량을 줄이면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되고 특히 영년생인 과수의 경우는 장기간 동안 대체농업자재를 처리한 후에 토양의 비옥도 변화, 토양미생물상 변동, 천적 생물의 변동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효과를 검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creening Wild Yeast Strains for Alcohol Fermentation from Various Fruits

  • Lee, Yeon-Ju;Choi, Yu-Ri;Lee, So-Young;Park, Jong-Tae;Shim, Jae-Hoon;Park, Kwan-Hwa;Kim, Jung-Wan
    • Myc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33-39
    • /
    • 2011
  • Wild yeasts on the surface of various fruits including grapes were surveyed to obtain yeast strains suitable for fermenting a novel wine with higher alcohol content and supplemented with rice starch. We considered selected characteristics, such as tolerance to alcohol and osmotic pressure, capability of utilizing maltose, and starch hydrolysis. Among 637 putative yeast isolates, 115 strains exhibiting better growth in yeast-peptone-dextrose broth containing 30% dextrose, 7% alcohol, or 2% maltose were selected, as well as five ${\alpha}$-amylase producers.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26S rDNA gene classified the strains into 13 species belonging to five genera; Pichia anomala was the most prevalent (41.7%), followed by Wickerhamomyces anomalus (19.2%), P. guilliermondii (15%), Candida spp. (5.8%), Kodamaea ohmeri (2.5%), and Metschnikowia spp. (2.5%). All of the ${\alpha}$-amylase producers were Aureobasidium pullulans. Only one isolate (NK28)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NK28 had all of the desired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xcept ${\alpha}$-amylase production, and fermented alcohol better than commercial wine yeasts.

조선전기 고문헌에 수록된 식품저장법에 대한 문헌고찰 (Review of Literature on Food Preservation of the Early Joseon Dynasty)

  • 김명준;차경희;정혜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8-54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ood preservation methods adopted by the Joseon Dynasty, which existed before the 17th century. A total of 232 food preservation methods were discovered in 25 books, and could be classified by their targeted food types: vegetables (84), sea foods (60), meats (41), fruits (37), and others (10). Depending on the preservation method applied, they are classified as food drying, soaking, mud cellar preservation, and other preservation. Food drying is further classified into 8 sub-types: drying, sun-drying, shadow-drying, wind-drying, dry heat, combined drying, smoking, and others. Soaking could be sub-divided into using salt, ash, dry sand, bran, fermented paste, wet distillers grains, oil, and others. Mud cellar preservation is sub-classified into installing shelf inside the mud cellar, making the mud cellar for food preservation, and making hole or underground tunnel for food preservation. Other food preservation methods include minimizing moisture loss by applying beeswax on a section of the vegetable stem, and cutting the vegetables or fruits with their branches and leaves for food preservation.

어머니의 영양지식 및 식습관과 국민학교 아동의 식품기호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of Mothers and Food Preference and other Factors of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정효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7-223
    • /
    • 1995
  •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food habit of the mothers and food preference and other factors of the 272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Masa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Children's most favorite food was fruits, but they dislike spicy vegetables and some fermented foods. Preferences of the male children to food groups such as protein, calcium and carbohyd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female children. 2. The rate of the children who take between-meal snacks 2 o 3 times a day was high and those children who skip breakfast take snacks more often. They prefer to eat fruits, dairy products and cakes as their snacks. The body weight of the children who take snacks more frequently was rather lower. 3. As the mother's nutrition knowledge scores rise, so do those of food habit scores.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s go up according to the education degree of the mothers, but the food habit scores seem to have little to do with their education degree.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the working mother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non-working mothers. 4. There was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ood preference on the food group and those on the other food groups of the children. As the food habit scores of the mothers rise, the children prefer to take calcium and carbohydrate group. Those who take more fat showed higher body weight.

  • PDF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에서 의학영양치료와 병행한 생리활성 펩티드 함유 유산균 발효유 섭취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Active Peptides(IPP, VPP) in Accordance with Medical Nutrition Therapy in Pre- and Hypertension Subjects)

  • 김지영;김윤영;김혜랑;윤숭섭;김완식;예현수;정진영;이인회;조여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18-926
    • /
    • 2008
  •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수축기/이완기 혈압이 120/80 mmHg이상인 고혈압 전단계 및 본태성 고혈압 환자 43명 (대조군 21명, 시험군 23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의학 영양 치료와 병행하여 생리활성 펩타이드가 함유된 유산균 발효유 섭취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대조군이 $47.8{\pm}12.9$세, 시험군은 $49.9{\pm}11.9$세였으며, 연구 시작 시 혈압은 각 군에서 수축기/이완기 혈압이 $135.4{\pm}8.8/85.0{\pm}6.9$, $135.7{\pm}7.4/88.0{\pm}5.5\;mmHg$로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2. 식이 섭취 조사 결과, 연구 12주 후 대조군, 시험군 모두 열량, 단백질, 지질, 콜레스테롤, 나트륨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칼슘과 칼륨의 섭취는 시험군에서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다른 영양소의 섭취는 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연구 기간 동안 수축기 혈압은 대조군과 시험군 모두 연구 4주 후부터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연구 12주까지 두 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완기 혈압은 시험군에서만 연구 4주 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에게 12주간의 의학 영양 치료와 함께 유산균 발효유의 섭취는 총열량, 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의 섭취를 감소시켰고 칼슘 및 칼륨의 섭취를 증가시켰으며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생리활성 펩타이드가 함유된 유산균 발효유를 의학영양치료와 병행하여 섭취할 경우, 수축기 혈압감소뿐만 아니라 이완기 혈압 감소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