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ermentation quality

검색결과 1,846건 처리시간 0.03초

다양한 발효제를 이용한 증류식소주의 성분 변화 (The Change of Components of Distilled Soju Using Different Fermentation Agents)

  • 문세희;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66-473
    • /
    • 2018
  • 본 연구는 국과 누룩 등의 발효제와 이들의 혼합사용에 의한 증류식소주 제조 시 일반성분 및 휘발성성분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증류식소주를 제조하고 안정적인 양조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백미를 원료로 사용하고 발효제로써 백국, 황국, 재래누룩과 개량누룩을 단독으로 사용한 술덧과, 백국에 황국, 재래누룩, 개량누룩을 일정비율별로 추가하여 혼합한 술덧을 제조하였고, 발효시킨 최종 술덧을 감압증류로 증류액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발효제를 단독 사용 시, 알코올 함량은 백국, 개량누룩, 황국, 재래누룩 순으로 높았으며, 백국 사용 시 초기 산도가 타 발효제에 비해서 높고 알코올 함량도 제일 많이 생성되어 안정적인 양조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고급알코올은 황국술덧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ethylacetate는 재래누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제를 혼합하여 사용 시, 1단담금에 혼입한 술덧과 2단담금에 혼입한 술덧의 알코올 함량 차이는 나지 않았으며, 발효제별 차이도 크지 않아 알코올 발효에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급알코올의 함량은 황국 투입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되었으며 재래누룩과 개량누룩의 투입비율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여, 발효제 혼합 사용시 향미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발효특성이 우수한 백국을 기본으로 하고 황국과 재래누룩을 적절히 사용한다면 맛과 향이 차별화된 다양한 증류식소주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양조의 안정성과 주질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판단된다.

고추씨 첨가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Added wit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

  • 구경형;최은정;박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87-1594
    • /
    • 2009
  • 이 연구는 고추씨가 첨가된 된장의 이화학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된장 제조 직후 52.03-53.79%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염도는 13.28-14.05%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pH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추씨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적성산도는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고추씨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적정 산도를 보였다. 된장의 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L값과 b값은 약간 감소하고 a값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전반적으로 고추씨 첨가량이 많을수록 적색도(+)를 나타내는 a와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과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또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된장 제조 초기에 497-623 mg%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여 발효 120일에 대조구는 1,000 mg%이상, 고추씨 첨가구는 756-896 mg%로 증가하였다. 총 균수의 경우 제조 직후부터 발효 120일까지 고추씨 첨가에 관계없이 제조 직후에는 $10^7{\sim}10^8$ CFU/g의 총 균수에서 발효 진행되면서도 $10^7$ CFU/g을 유지한 반면 효모와 곰팡이 수는 $10^5$ CFU/g에서 $10^3{\sim}10^4$ CFU/g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된장의 관능검사 결과 고추씨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된장의 고유 향미가 증가되었다.

포도 신품종 '옥랑'을 이용한 와인 발효 및 품질 특성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ew Grape Cultivar 'Okrang' Wine in Fermentation Process)

  • 박혜진;최원일;박정미;정창원;김시동;윤향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22-6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세리단과 캠벨얼리 포도 품종을 교배 조합하여 만든 신품종인 옥랑 포도 품종의 와인으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포도 전처리 방법 및 와인 제조 조건에 따라 옥랑 와인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포도 전처리 방법으로 저온 침용과 열처리 방법을 사용하였고, 발효 4일차 압착과 발효 종료 후 압착한 와인을 제조하였으며 캠벨얼리 와인과 비교하였다. 발효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당도는 감소하여 알코올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저온 침용 처리한 와인의 초기 발효속도가 다소 느리게 진행되었으나 발효가 종료된 시점에서는 전처리 방법이 알코올 함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H는 저온 침용한 옥랑 와인에서 3.17의 가장 낮은 pH가 분석되었으나 발효종료 후에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어 발효 진행에 따른 pH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발효 전 총산 함량은 캠벨얼리가 0.61%로 0.54%의 옥랑보다 높았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총산 함량이 증가하여 발효 8일의 저온 침용한 옥랑 와인에서 0.99%의 가장 높은 총산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후 감소하였다. 기능성 성분인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 전처리 방법으로 가열 처리한 발효 2일째 옥랑 와인에서 143.24 mg%의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분석되었으며, 옥랑 와인의 전자공여능의 경우 발효 종료 후 압착 처리한 와인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발효 10일째인 와인에서 88.86%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로 포도 전처리 방법 및 와인 제조 조건에 따른 옥랑 와인의 비교 분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발효 특성을 과학적으로 제시하였고, 캠벨얼리보다 과피색이 연한 옥랑의 특성을 살려 로제 와인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곰팡이 균종을 달리하여 제조한 혼합 곡류 누룩의 품질특성 (Assessment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grain Nuruk Made with Different Fungal Strains)

  • 백성열;김주연;최지호;최정실;최한석;정석태;여수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3-108
    • /
    • 2012
  • 밀, 쌀 및 녹두를 분쇄 후 밀기울을 첨가하여 일정 비율(15:1:1:3)로 혼합한 곡물에 양조용 곰팡이의 균종을 달리하여 제조한 누룩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발효 시기별 일반성분 및 효소활성과 유기산 분석을 하였다. 누룩의 pH는 발효 시기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산도와 아미노산도는 두균을 혼합하여 제조한 누룩(AO-AK)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두 균을 혼합한 누룩이 단일 균을 접종한 누룩보다 ${\alpha}$-amylase 및 acidic protease의 효소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누룩의 유기산은 acetic, citric, formic, fumaric, lactic, malic 및 oxalic acid 등이 확인되었다. 전체 유기산 총량은 혼용누룩(2,116.3 mg%), A. kawachii SC60 단용누룩(1,608.5 mg%), A. oryzae RIB1353 단용누룩(1,146.7 mg%) 순으로 혼용누룩의 유기산 생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두 균주를 혼용하여 제조한 누룩이 단일균주를 사용한 누룩보다 유기산 함량, 효소활성 등 품질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옥수수 사일리지에서 미생물 첨가제와 저장기간이 발효 품질과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ommunity According to Microbial Additives and Storage Periods on Corn Silage)

  • 정승민;박형수;우제훈;김지혜;김동현;최보람;오미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3-117
    • /
    • 2024
  • 본 연구는 옥수수 사일리지에서 첨가제 처리와 저장기간을 달리 하였을 때 사일리지의 품질 변화 및 미생물 군집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품질 향상 방안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미생물 미접종 시험구(CON)와 미생물 접종 시험구(ADD) 내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옥수수 사일리지의 영양소 함량의 변화는 없었다(p>0.05). 그러나 각 시험구 내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건물(DM)의 감소(CON, 35.9~33.2%; ADD, 34.5~32.7%; p<0.05)와 젖산 함량의 증가(CON, 6.03~6.71%; ADD, 6.02~9.00%; p<0.05) 및 Lactobacillales의 상대적 비율의 증가(CON, 34.3~79.5%; ADD, 84.8~93.3%)는 발효 120일까지 지속적인 발효가 진행되었음을 나타낸다. 옥수수 사일리지의 발효 전에는 Enterobacterales (33.0%), Flavobacteriales (14.4%), Sphingobacteriales (12.7%), Burkholderiales (9.28%), Pseudomonadales (6.18%)등이 우점하였으나, 발효 후 Lactobacillales (69.4%), Bacillales (11.5%), Eubacteriales (7.59%)의 우점으로 인해 미생물의 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옥수수 사일리지는 모든 저장기간에서 첨가제 유무에 관계 없이 양호한 발효 품질을 유지하였으나, 장기간 저장에도 발효가 지속되는 점과 호기적 안정성을 고려한다면 미생물 첨가제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꿩육수와 콩즙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품질특성 (Effect of Pheasant and Soybean Extracts on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Baechu Kimchi)

  • 박어진;박금순;안상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87-597
    • /
    • 2004
  • Application of pheasant and soybean extracts to improve the quality of baechu kimchi was attempted. Pheasant and soybean extracts at various combinatory concentrations were added into baechu kimchi and fermented for 24 days at $10^{\circ}C$. Assay was performed on salinity, acidity, bacterial growth, sensory evalua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The pH decreased, and acidity increased by fermentation time. The optimum pH 4.2 was reached within $12{\sim}15\;days$, and optimum acidity was reached within $6{\sim}9\;days$.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increased by fermentation time. Score of intensity characteristics in color. crispness carbonated taste, and overall quality were higher for the pheasant and soybean extracts added baechu kimchi(B) than for the control product(S). The result of L and a value of baechu kimchi were Higher in treatment than in control as fermentation time increased. The hardness of baechu kimchi with pheasant and soybean extracts(B)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S).

Silage Fermentative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Anthocyanin Stability in Anthocyanin-rich Corn (Zea mays L.)

  • Hosoda, Kenji;Eruden, Bayaru;Matsuyama, Hiroki;Shioya, Shiger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4호
    • /
    • pp.528-533
    • /
    • 2009
  • The fermentative quality and quantitative change in anthocyanin of anthocyanin-rich corn (Zea mays L.) during storage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were studied. The anthocyanin-rich corn silages in bag silo, drum silo and round bale had good fermentative qualities, such as low pH (5% DM) and butyric acid-free, and its quality was maintained for more than 370 d. The amount of anthocyanin in the anthocyanin-rich corn decreased after ensiling by about 45% (from 3.34 to 1.88 mg/g DM), but stayed constant after day 60. The in vitro incubation of the anthocyanin-rich corn with ruminal fluid revealed little degradation of anthocyan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hocyanin had no negative effect on silage fermentation, and the anthocyanin-rich corn silage is utilizable for practical use as a feedstuff. Our results also demonstrate alteration of the anthocyanin content during storage, and show that anthocyanin-rich corn is a suitable antioxidant source for ruminants because of the high stability of the anthocyanin in ruminal fluid.

발효용기로서 새 옹기와 재사용 옹기가 고추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w and Reused Onggis on the Quality of Gochujang as Fermentation Container)

  • 정순경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5-60
    • /
    • 2009
  • 20 L 들이 부피의 발효용기에서 고추장을 발효하면서 여러 가지 성분들을 분석하였고 4개월 발효후의 고추장의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발효용기로는 새 옹기와 한번 사용한 옹기,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였고 발효 숙성은 외기조건에서 이루어졌다. 옹기가 가지는 통기성으로 인하여 발효 중 관여하는 미생물의 생육환경을 적절하게 조성하여 여러 가지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옹기는 새 것보다는 한번 사용한 옹기에서 제품의 발효에 좋은 영향을 미쳐서, 높은 아미노태 질소, 유리아미노산함량, 적은 환원당 함량, 향, 맛 전체적인 수용도의 관능적 품질을 보여주었다.

  • PDF

가자미 식해(食醯)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ik-hae Fermentation Made by Flat-fish)

  • 이철호;조태숙;임무현;강주회;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3-58
    • /
    • 1983
  •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함경도식 가자미 식혜를 제조하여 실온(20$\pm$3$^{\circ}C$)에서 1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그 숙성기간 동안의 여러가지 화학적, 물리적변화를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숙성기간동안 일반성분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수분은 66.0%, 조단백 15.6%, 조지방 1.15%, 조회분 7.62% 수준이었다. pH는 열성 7일경부터 4.5~4.6으로 숙성 종말까지 거의 일정하였으며, 산도는 숙성의 진행과 함께 증가하나 냉장고(5$^{\circ}C$)에 저장했을 때 다시 1.9%까지 감소하였다. Amino-N은 숙성 14일에 673.63mg%로 최고에 달하였으며 이 때가 식혜 맛이 가장 좋았다. VBN은 숙성 종말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또한 TMA는 숙성 초기에는 약 7mg%였으나 숙성 14일 이후 16mg%까지 증가하였다. 유기산중에는 lactic acid가 가장 우세하여 숙성 28일에는 2.7%에 달하였고 그 외에 pyruv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등이 들어 있었다. 지방분해균은 숙성 8일 이후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단백분해균은 숙성 14일에 $10^4$~$10^{5}$g으로 최대가 되었으며 Acid forming bacteria는 18일에 $10^{7}$ /g까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였다. 효소활성은 숙성 11일경이 가장 높았는데 이때의 lipase acitivity는 11.76u/$m\ell$였고, protease-activity는 53.5$\mu\textrm{g}$ tyrosine/$m\ell$였다. 식혜는 숙성중 점차 연화되어 숙성 3일에는 압출력이 160kg이었으나, 28일에는 42kg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혜의 최적 발효조건은 2$0^{\circ}C$에서 14일정도 발효되었을 때라고 생각된다.다.

  • PDF

발효정도가 다른 동치미 국물을 첨가한 냉면 육수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engmyon Broth added with nongchimi of different fermentation)

  • 김형렬;김용식;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98-606
    • /
    • 2004
  • The application of Dongchimi liquid to Naengmyon broth to improve its eating quality was scientifically explored by review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properties. Primarily, the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for Dongchimi from which the liquid portion was extracted were pursued and the optimum mixing ratio sought on the basis of the product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liquid portions, periodically extracted from Dongchimi at intervals of two or five days,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were added to Naengmyon broth. The treatments were prepared at three levels namely, basic broth only ('A') and with ratios of Dongchimi liquid to basic broth of 3:7 (v/v, 'B') and 5:5 (vfv, 'C'). As a typical phenomenon of kimchi fermentation, a gradual decrease in the pH with increasing total acidity was observed as the fermentation of the Dongchimi progressed. At $10^{\circ}C$, the optimum ripening was obtained from day 8, and continued until day 15, when the pH was maintained at about 3.8 to 4.0. The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 contents increased until the 13th-day of fermentation, but then decreased thereafter. The turbidity and solid content of the Dongchimi liquid increased with progression of the fermenta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 values, the lightness (L) de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redness (a), yellowness (b) and total color difference $({\Delta}E)$ during fermentation. Most of these observed phenomena for the Naengmyon broth substituted with $30\%$ (Treatment 'A') and $50\%$ (Treatment 'B') Dongchimi liquid, with different storage periods, confirmed the previous fermentation patterns of Dongchimi. A decrease in the pH with increasing total acidity, as well as gradual increases in the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s (glucose and fructose) up to the 13th-day of fermentation were accompanied by subsequent declining patterns. The turbidity and solid content of the mixed broth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Dongchimi liquid fermentation period. With respect to the color of the mixed broth, the lightness was decreased, while the redness, yellowness and total color difference increased with increasing Dongchimi liquid fermentation period. It was also proven that the addition of slightly over-ripened Dongchimi liquid to the Naengmyon broth was more pref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