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encing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2초

가설울타리 골조의 횡력에 대한 구조적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Temporary Fence Frame under a Lateral Load)

  • 김영찬;이재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755-761
    • /
    • 2015
  • 가설울타리는 건설현장에서 환경규제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시설물로서 가설울타리 골조의 구조적 일체성은 시공사의 책임에 의해 주어진다. 가설울타리 골조는 기둥과 띠장만으로 구성하면 면외방향 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보조 말뚝과 가새로 보강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새의 위치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3가지 형태의 보강 골조를 제안하고, 제안 모델에 대한 구조해석을 통해 최대 모멘트와 횡변위를 기준으로 구조적 거동을 비교하였다. 이때 도심이나 혼잡한 곳에 설치될 수도 있는 건설현장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구조해석시 군중에 의한 상황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가설울타리 골조 형태에서 가새 설치위치의 중간부분에 보조 가새를 설치한 보강 형태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펜싱 팡트 동작 숙련도에 따른 세 그룹간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Kinematic Analysis between Three Groups according to Proficiency in Fencer's Fente Movement)

  • Jo, Hyun Dai;Park, Ho Yeol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1-61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omparison the differences of kinematic variables for Fente skill in Fencing. Method: For this, 15 people were selected as 5 beginners with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5 intermediate-class people with more than 2 years and less than 4 years, and 5 experts-class people with more than 4 years. Through the comparison of Marche Fente motion according to proficiency, for the necessary time, travel distance, the kinematical factor of joint angle, oneway ANOVA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ables by phase. Results: The time required for each phase was shown to be shorter for all phases experts than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s. At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foot, the right foot left out the last phase and the experts appeared long. The left foot showed short beginners in all phases. The angle of forward lean showed that the angle of forward lean was tilted forward by the experts of all phas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joint angles of the lower limb, both of the ankle, knee and hip joints. Conclusion: In overall, Beginners should quickly widen the distance of their feet when they make a Fente movement. The beginner shall tilt the upper body forward in order to increase the angle of forward lean. The beginner shall, in the last phase, have a smaller angle on the hip joint.

마이클 잭슨의 무대의상이 현대패션에 반영된 사례 (A Case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Michael Jackson Reflected in Contemporary Fashion)

  • 이주현;배수정
    • 복식
    • /
    • 제66권4호
    • /
    • pp.77-9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ge costumes of Michael Jackson, and how it was reflected in contemporary fashion. The study reviewed fashion related articles, book, journals, and online fashion sites in order to look at the stage costumes used by Michael Jackson from 1979 to 2001 from 'Off the wall' to 'Invincible'. The study examined the 2001 S/S~2016 S/S seasons of the world's 4 major $pr{\hat{e}}t$-${\acute{a}}$-porte collections to identify cases that used at least two fashion factors of Michael Jackson's style.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Michael Jackson wore black tuxedoes with bow ties, ankle-length pants, white socks, black loafers, arm bands and other various accessories. Second, many of Jackson's fashion traits, such as military style golden embroidery detail and emblems, Brandenburgs, and also appeared in many collections. Third, Jackson's glitter style included spangle and cubic accessories, which were used along with hologram and metallic materials. Accessories, such as cubic gloves and socks, and fedoras were worn with the costume. Lastly, his diverse style, which included fencing shirts, letterman jacket and magic suits, can be found in different forms in modern fashion. Michael Jackson was one of the trendsetters in popular fashion in the 1970s~1990s, and continuously inspires fashion designers in the 21st century. In this aspect, the Michael Jackson style is deemed highly significant in the fashion history.

조선산업 합판 폐기물의 구조용재로의 재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for Shipbuilding Plywood Waste to Use as the Structural Members)

  • 김광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29-36
    • /
    • 2009
  • 목재 자원의 부족과 가격 상승에 대항할 수 있는 좋은 대안 중 하나가 목재 부산물이나 폐기물의 재활용이다. 조선 산업에서 얻어지는 목재 폐기물의 경우 기존에는 파쇄 되어 보드류 생산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파쇄를 통한 합판 폐기물의 재활용은 재료의 경제적 가치나 자원의 문제 등을 고려할 때 아쉬움이 많이 남는 처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선 산업에서 파생되는 목재 폐기물들의 재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조선 산업의 목재 관련 폐기물은 합판 폐기물과 소재 폐기물로 나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KS 규격에 따라 합판 폐기물과 합판 적층재의 휨성능을 평가하였다. 2. 합판 폐기물과 합판 적층재의 파괴 모드는 두 종류 모두 simple tension 파괴를 나타내었다. 3. 합판 폐기물과 합판 적층재의 재활용 용도로는 크게 외부 시설용, 내부 시설용 그리고 목조건축 자재로의 용도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적정 용도로는 인테리어 재료, 목재 파렛트, 마루판, 사이딩재, 판넬, 야외용 탁자, 데크용 재료 등인 것으로 생각된다.

신한승택견의 학습체계 (Learning Systems of Shin, Han-Seung's Taekkyeon)

  • 박영길;안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35-24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한승이 택견을 국가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하여 어떻게 체계화하고 구성하였는지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과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근대 택견의 전수자로 유일한 송덕기 택견의 기술 구성은 일정한 체계가 없는 낱기술 중심의 놀이 형태로 전래 되었으나, 신한승에 의하여 체계적인 구성을 가진 무예로 발전하게 되고, 급기야 무형문화재로 인정받게 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둘째, 신한승은 낱기술로 전래되어 오던 택견을 체계화 하면서 유도, 검도, 합기도, 태권도, 가라테의 수련체계와 기술을 일부 차용하여 근대화 시켰다. 이 과정에서 송덕기 택견이 원형대로 전수되지 않고 변형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신한승은 정통 택견에는 없던 급수 구분제도와 실기심사, 태권도의 품새에 해당하는 본대뵈기 12마당 등을 만들고, 스포츠화를 추구하여 현대적인 학습체계와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택견의 원래 형태와 기술변천 및 구성에 대한 시대적 환경적 윤관을 재조명 할 수 있었으며, 전통화 과정에서 혼재되고 있는 각종 택견 단체들의 논쟁을 이해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국가대표 선수들의 훈련 기간 동안 발생한 스포츠 손상 분석 (Analysis of sports injuries among Korean national players during official training)

  • 김은국;김태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3호
    • /
    • pp.555-56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운동선수들이 국가대표 선수로써 공식적으로 수행한 훈련 기간 동안 발생한 스포츠 손상에 대해 종목별로 분석하였다. 국가대표 선수들을 진료하고 관리하는 의사, 물리치료사 및 종목별 트레이너들은 훈련도중 발생한 모든 스포츠 손상을 보고서 양식에 기록하였고, 이 중 기존에 이환되어 있는 만성 스포츠 손상을 제외한 급성 및 재발성 스포츠 손상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1년간 총 3,421건의 스포츠 손상이 발생하였고, 이 중 1,560건은 급성 스포츠 손상, 1,861건은 재발성 급성 손상이었다.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에서 급성 스포츠 손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 종목은 각각 복싱과 하키였다. 남자 선수와 여자 선수에서 재발성 급성 스포츠 손상이 가장 많이 발생한 종목은 각각 레슬링과 펜싱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가대표 선수들의 공식적인 훈련기간 동안 발생한 종목별 스포츠 손상과 관련된 특징 및 발생률 (incidence rates)에 대한 다양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의 훈련 중 발생하는 스포츠 손상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Long-Term Monitoring of the Barrier Effect of the Wild Boar Fence

  • Lim, Sang Jin;Kwon, Ji Hyun;Namgung, Hun;Park, Joong Yeol;Kim, Eui Kyeong;Park, Yung Ch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128-132
    • /
    • 2022
  • Wild boars (Sus scrofa) not only cause crop damage and human casualties, but also facilitate the spread of many infectious diseases in domestic animals and humans.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a fencing system in blocking the movement of wild boars, long-term monitoring was performed in a fenced area in Bukhansan National Park using camera traps. Upon monitoring for a period of 46 months, there was a 72.6% reduction in the number of wild boar appearances in the fence-enclosed area, compared to that in the unenclosed area. For 20 months after the fence installation, the blocking effect of the fence was effective enough to reduce the appearance of wild boars by 92.6% in the fence-enclosed area, compared to that in the unenclosed area. The blocking effect of the fence remained effective for 20 months after its installation, after which its effectiveness decreased. Maintaining a fence for a long time is likely to lead to habitat fragmentation. It can also block the movement of other wild animals, including the endangered species - the long-tailed goral. This study suggests a 20-month retention period for the fences installed to inhibit the movement of wild boars in wide forests such as Gangwon-do in South Korea. To identify how long the blocking effect of the fences las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cusing on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fence, and the conditions of the ground surface.

Economic and non-economic loss and damage to climate change: evidence from a developing country shrimp farms to cyclone Bulbul

  • Islam, Md. Monirul;Nipa, Tanjila Akter;Islam, Md. Sofiqul;Hasan, Mahmudul;Khan, Makidul Isla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214-230
    • /
    • 2022
  • Loss and damage have become a vital contemporary issue in climate change studies and ac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studies are scant on this in the fisheries sector around the world. In Bangladesh, there is no study on the loss and damage in fisheries dependent communities. This study assesses economic and non-economic loss and damage to coastal shrimp farms due to cyclone Bulbul in Gabura Union of Shyamnagar Upazila, Satkhira district, using a mixed method approach. Results show that all shrimp farms' dependent communities are affected by cyclone Bulbul to some extent. About 14%, 57%, and 29% of the farms were totally, heavily and moderately damaged due to farm inundation and dyke damage. The estimated mean loss and damage per shrimp farm was worth USD 4,633. Around 31% and 72% of the farms' fencing nets and traps were lost, which was worth USD 333 per farm. There were also loss and damage to other resources such as houses, solar panels, livestock and agricultural crops where the estimated mean loss and damage per household was worth USD 3,170. This study reported that the rich shrimp farmers encountered proportionately more economic loss and damage than their poor counterpar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poor suffered less. The current study found a range of non-economic loss and damage in different aspects of the shrimp farmers' household members such as unbearable mental pain, deterioration of health, physical injuries, disabilities, etc. and access to services (e.g., inadequate food, lack of safe drinking water, lack of medical facilities, disruption of education systems), social infrastructure (e.g., damage of roads and markets) and disturbance of cultural func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urgent short- and long-term actions may be taken to save the aquaculture farms and dependent livelihoods from economic and non-economic loss and damage to cyclones in future.

Studies on Feed Intake and Nutrient Utilization of Sheep under Two Housing Systems in a Semi-arid Region of India

  • Bhatta, Raghavendra;Swain, N.;Verma, D.L.;Singh, N.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6호
    • /
    • pp.814-819
    • /
    • 2004
  •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two housing systems on feed intake and nutrient utilization of sheep in a semi-arid region of India. Two types of housing managements were adopted. The first was a shed- 20'${\times}$10' structure with all the four sides of 6' chain link fencing with central height of 10'. The roof was covered with asbestos sheets, with mud floorings. The second was an open corral- 20'${\times}$10' open space with all the four sides covered with 6' chain link fencing. Thirty-four (32 ewes and 2 rams) sheep were grazed together on a 35 ha plot of native range. All the sheep were grazed as a flock from 08:00 to 17:00 h during the yearlong study. The flock was divided into two groups (16 ewes+1 ram) in the evening and housed according to two housing systems (Shed and Open Corral). Three digestion trials were conducted during three defined seasons of monsoon, winter and summer seasons to determine the effect of housing on nutrient intake and utilizatio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in three seasons for the estimation of hemoglobin and glucose. Dry and wet bulb temperatures were recorded at 06:00 A.M. and 09:00 P.M. using suitable thermometers both inside the shed and in the open corral and temperature humidity index (THI) was calculated. There was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the THI between shed and open corral in all the seasons, indicating that the shed was always warmer compared to open corral. The daily dry matter intake (DMI, g/d) was 965, 615 and 982 in sheep housed under shed and 971, 625 and 1,001 in those housed in open corral during monsoon, winter and summer season, respectively. These differences were however non-significant (p>0.05). The digestibility of DM was 45.92, 45.13 and 50.30 in sheep housed under shed and 43.64, 45.02 and 55.02 in sheep housed in open corral during monsoon, winter and summer seasons,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 sheep maintained under shed and in open corral. Blood Hb concentration was 13.97, 14.13 and 13.15 in sheep housed under shed and 15.27, 13.63 and 14.82 in those kept in open corral, whereas blood glucose concentration was 59.67, 59.70 and 52.33 in sheep under shed and 61.00, 61.00 and 57.83 in open corral, during monsoon, winter and summer, respectively.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effect of housing on the body weight changes, wool yield and survivability in ewes. Although hous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nutrient intake, their utilization and blood parameters,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energy expenditure of sheep maintained under the two housing systems (Bhatta et al., 2004). It can be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the housing systems didn'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nutrient intake and utilization of native breed like Malpura, which were well adapted to the hot semi-arid conditions of India. However, while deciding provisions for housing of different breeds of sheep (both crossbred and native) parameters like physiological responses, energy expenditure, health conditions and overall economics of the system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중용(中庸)의 미학으로 살핀 도동서원(道東書院)의 경관짜임 (The Landscape Organization of the Dodong-SeoWon in the Aesthetics of Moderation)

  • 노재현;신병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55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서원 중 성리학적 사유와 규범에 가장 충일(充溢)하다고 알려진 도동서원을 대상으로 인간 중심의 성리학적 우주관의 핵심인 중용의 조형 미학적 특성이 서원의 경관짜임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 가를 풀이하고자 하였다. 건축적 완성도와는 다른 관점에서, 도동서원의 경관상을 지배하고 있는 형식미와 내용미를 터잡기 길내기 건물놓기 시선모으기 담두르기 이름붙이기 꾸미기 등 총 7개의 경관짜임 항목을 기준으로 도동서원 조형에 담긴 중용의 미를 탐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형적 짜임의 일부로서 도동서원의 좌향은 자연으로서의 방위를 인간 본위의 방위로서 중화(中和)시킴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일체감을 통한 중용지도(中庸之道)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경관짜임 의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도동서원의 외적 질서와 규범을 규정짓는 핵심적 요소로는 위계성과 좌우대칭을 바탕으로 한 계층성의 원리로 이는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중용(中庸)의 정신이 관통함으로써 형성된 건물놓기와 길내기의 결합을 통한 경관짜임의 결과이다. 또한 담장두루기로 영역성을 확보하고 수직과 수평적 일체감을 이룸으로써 중용에 이르고자 한 경관짜임 또한 표출되고 있다. 그리고 서원의 중심 강당 마루에서 지각되는 수월루와 환주문의 지붕 중첩, 중정당 기둥에 의한 프레임에 의한 시각틀 형성 등을 통해 시각적 균형성과 개폐성을 유도하는 수법은 성리학적 조영 특유의 관념성을 드러내는 시선모으기의 경관짜임이다. 한편, 내용적 경관짜임의 일부로서 전신(前身)인 쌍계서원의 당호를 따른 관념적 이름붙이기, 성리학적 도(道)의 이동을 상징하는 서원명,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중정(中正), 오륜에 근거한 거인재와 거의재 등의 건물 당호(堂號) 또한 중용의 미학을 준용한 결과이다. 그리고 중정당의 기단에 표현된 일음일양(一陰一陽) 변화를 나타내는 서화(瑞花)와 오르고 내리는 세호(細虎), 그리고 네 마리의 용으로 이루어진 사물 등은 지나침과 모자람이 없는 음양의 조화를 상징하는 중용의 예술적 표현이다. 이렇듯 도동서원은 좌우대칭과 계층화를 우선으로 한 상징 및 중용의 성리학적 질서와 규범의 정신으로 꽉 짜인 조직(組織)의 산물임이 확인된다. 그러나 도동서원이 엄정한 성리학적 세계관을 구현한 조형의 결과임은 분명하지만, 성리학적적 규범과 예법에만 충실했다면 그 평가는 그리 높지 않을 것이다. 도동서원 모든 영역에 고르게 배치된 해학적이고 독특한 석물과 돌조각 장식은 엄정해질 대로 엄정해진 서원 이미지와 외적 질서를 상쇄(相殺)시켜 '탈 엄정(脫 嚴整)'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써, 이는 또 다른 차원의 경관짜임이자 중용적 표현이라는 것은 매우 역설적이기까지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