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oral head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3초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에 대한 혈관부착 비골 이식술 후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 소견 (Findings of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after Vascularized Fibular Grafting for Osteonecrosis of Femoral Head)

  • 이기행;김윤수;이해규;옥지훈;김배균;김형민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30-135
    • /
    • 2004
  • Purpose : To observe the patency of anastomosis site and the findings of circulation of grafted fibula in osteonecrosis of femoral head treated with vascularized fibular graft by use of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 17 cases of 11 patients who underwent vascularized fibula graft for osteonecrosis of femoral head. We performe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DSA) for them at second week postoperatively in 12 cases, at sixth week in 1 case, at sixth month in 2 cases, at twelfth month in 1 case, and eighteenth month in 1 case which had been got DSA at second week before. We observe the patency of pedicle, and the circulation of grafted fibula such as periosteal and intraosseous vessels with time. Results : All cases except one which were thought failure of selective angiogram showed good passage of blood flow through anstomosed pedicle on DSA. We found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of circulation of grafted fibula with time. DSA at 2nd and 6th week postoperatively revealed both of periosteal and intraosseous vessels along the fibula and blood pooling at the tip of fibula. DSA at 6th month showed maintenance of periosteal and intraosseous vessels along the fibula but did not clearly reveal blood pooling at the tip of fibula. The findings of DSA at 12th and 18th month were similar each other. The periosteal vessels were not seen as the grafted fibular bone were incorporated into surrounding femoral bone but intraosseous vessels were still seen. Conclusion : It was thought that DSA could be used for evaluation of the status of pedicle including anastomsed site and vessels of grafted fibula with time. The periosteal vessels of fibula were decreased with time but intraosseous vessels were still seen until 18th month after vascularized fibula graft.

  • PDF

대퇴골두 해면골의 미세구조 특성과 기계적 특성의 분석 (Analysis of the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Human Femoral Head Trabecular Bone with and without Osteoporosis)

  • 원예연;백명현;최문권;전경진;김만경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19-523
    • /
    • 2004
  •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두 해면골과 골다공증이 없는 대퇴골두 해면골의 특성을 평가하고자 미세단층촬영기 및 유한요소모델을 이용하여 해면골을 미세구조 특성과 기계적 특성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두는 골밀도를 측정하여 T-score 값이 -2.5 이상인 시편 15개를 사용했으며, 골다공증이 없는 대퇴골두는 사망전 골다공증으로 인한 병력이 없었던 사체 4구에서 대퇴골두 5개를 획득하여 사용하였다. 대퇴골두 해면골의 미세구조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미세단층촬영기를 이용하여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두와 골다공증이 없는 대퇴골두를 촬영하여 형태학적 지수(histomorphometry index)를 구했고, 미세단층촬영기에 의해서 획득된 미세영상(pixel size=21.31㎛)을 바탕으로 유한요소모델을 재건하여 기계적 특성을 구하였다. 형태학적지수는 골다공증이 없는 대퇴골두가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두에 비해서 골소주 두께, 골 체적, 골 체적비, 이방성 정도 그리고 골소주 개수가 증가했으며, 골소주 간격과 구조모델지수는 감소했다. 기계적특성 지수는 골다공증이 없는 대퇴골두 해면골 시편에서 반력, 표면응력 그리고 영률이 높게 분석되었다. 골다공증이 있는 대퇴골두 해면골 시편에서 미세구조 특성이 퇴화되며, 기계적 특성이 감소된다는 사실을 알수 있었다.

An Intraosseous Schwannoma Combined with a Subchondral Fracture of the Femoral Head: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Kim, Hyun Young;Ryu, Kyung Nam;Park, Yong Koo;Han, Jung Soo;Park, Ji Seo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1권3호
    • /
    • pp.177-182
    • /
    • 2017
  • Schwannomas are benign nerve sheath tumors that are typically located in soft tissue. Occasionally, schwannomas involve osseous structures. These intraosseous schwannomas are generally benign neoplasms that account for less than 0.2% of primary bone tumors. Schwannomas are very rarely observed in long bones. We present a case of a schwannoma affecting the proximal femur with a coincident subchondral fracture of the femoral head. A 38-year-old-male presented with left hip pain without deteriorating locomotor function. Plain film radiographs displayed a lobulating contoured lesion within the intertrochanteric portion of the femur.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s showed a tumor occupying the intertrochanteric region. Diffuse bone marrow edema, especially in the subchondral and head portions of the femur that was possibly due to the subchondral insufficiency fracture was also noted. The lesion was surgically excised and bone grafting was performed. Histologically, there was diffuse infiltrative growth of the elongated, wavy, and tapered cells with collagen fibers, which are findings that are characteristic of intraosseous schwannoma. Although very rare, intraosseous schwannoma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radiographically benign-appearing, non-aggressive lesions arising in the femur. The concomitant subchondral fracture of the femoral head confounded the correct diagnosis of intraosseous schwannoma in this case.

초기의 단순 X선 촬영술 대 자기공명영상: 소아성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에서 예후 예측성 비교 (Initial Plain Radiographs versus MR Imaging: Comparison of Prognostic Efficacy in Legg-Calve-Perthes Disease)

  • 이선진;지원희;조송미;정창훈;옥인영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2호
    • /
    • pp.153-160
    • /
    • 2008
  • 목적: 소아성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의 추적 단순 X선 촬영술에서 대퇴 골단의 구형 모양을 유지하는 것을 기준으로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는 환자를 찾는데에 자기공명영상이 진단당시 단순 X선 촬영술 보다 우월한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함이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소아성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을 가진 41명의 환자에서 48예의 대퇴 골두의 진단 당시 단순 X선 촬영술과 자기공명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퇴 골두 침범은 초기 단순 X선 촬영술과 자기공명영상을 Catterall 분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최대 대퇴 골두 변형으로 결정되는 예후는 추적 단순 X선 촬영술에서 Stulberg 분류에 의해 평가되었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에서 Catterall 분류가 1보다 큰 경우에는 추적 단순 X선 촬영술에서 대퇴 골두 기형의 나쁜 예후(Stulberg class>2)를 보이는 환자를 발견하는 데에 100% 민감도 (14/14) 을 보였다. 단순 X선 촬영술에서는 57% (8/14)의 낮은 민감도를 보였다. 자기공명영상의 특이도는 21% (7/34)였고, 단순 X선 촬영술의 특이도인 32%(11/34)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자기공명영상에서 Catterall 분류1은 소아성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의 좋은 예후를 시사한다. 대퇴 골두의 더욱 광범위한 침범을 가진 환자들도 좋은 결과를 보일 수 있으나, 그들은 대퇴 골두의 구형 모양을 소실하고 수반되는 골관절염을 성인에서 보일 위험성이 있다. 자기공명영상은 좋은 예후를 가진 환자 집단을 파악하는데 단순 X선 촬영술보다 우월하다.

  • PDF

다발성 천공술 및 혈관 부착 골이식술을 시행한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의 예후: 수술 후 바늘구멍 골신티그라피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Postoperative Pinhole Bone Scintigraphy in the Assessment of Prognosis after Multiple Drilling or Vascularized Bone Graft in Patients with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 정용안;김성훈;천경아;박영하;손형선;정수교;송문갑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5-412
    • /
    • 1999
  • 목적: 대퇴골두의 무혈관성괴사에서 치료 후 치유되는 과정의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무혈관성괴사의 치료에 대한 병리학적 변화를 단순방사선 촬영만으로 평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무혈관성괴사에서 바늘구멍 골신티그라피 소견과 병변의 치유과정과의 관계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직학적으로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로 진단된 환자 16명의 21예의 대퇴골두 병소(남자: 11명 14예, 여자. 5명 7예, 평균나이: 39.4 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발성 천공술은 14예, 혈관부착 골이식술은 7예에서 시행하였다. 바늘구멍 골신티그라피를 얻었고, 골신티그라피는 치료 전 1-3개월 사이에, 수술 후 첫 번째 검사는 $1{\sim}3$개월 사이에, 그 이후 추적검사는 $1{\sim}4$회(평균 2.7)로 $2{\sim}4$년간에 걸쳐 시행하였고, 이 소견을 환자의 임상경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추적 검사상 보이는 소견을 괴사부위의 냉소와 그 주위의 방사능집적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는데, 이들 소견은 서로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주된 소견을 중심으로 3가지유형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유형은 냉소주위에 곡선모양의 방사능집적이 있는 유형으로 11예였고, 이후의 추적검사상 10예는 열소는 넓어지며 냉소는 줄어들었다. 1예는 소견의 변화가 없었으며 인공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두 번째 유형은 냉소주위로 산재된 모양의 방사능집적이 보이는 유형으로 6예였고, 이후의 추적검사상 열소와 냉소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경과가 좋지 않아서 모두 인공치환술이 시행되었다. 나머지 4예는 위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었던 경우로 2예는 경과가 좋았고 다른 2예는 경과가 좋지 않아 인공치환술이 시행되었다 골신티그라피 소견에 따라서 인공치환술을 요하는 환자의 예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 환자에서 치료 후 $1{\sim}3$개월 사이에 시행한 바늘구멍 골신티그라피에서 보인 소견이 치료 후 병변의 치유과정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R 영상에서의 PACS Image Viewer를 이용한 대퇴골 전염각 측정 (MR Imaging Measurement of the Femoral Anteversional Angle as a PACS Image Viewer)

  • 권대철;양성환;박범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6권1호
    • /
    • pp.83-89
    • /
    • 2003
  • 대퇴골 전염각의 정확한 측정은 정형외과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원위 대퇴골의 양과부를 횡단하는 면에 대하여 대퇴골 경부의 장축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축면상의 각도이다. 대퇴골부와 슬개골부를 전산화단층촬영한 영상을 측정하고 있는 기존의 CT 영상의 대퇴골 측정법을 대신하여 다양한 Pulse sequence를 이용한 자기공명영상으로 PACS Image viewer에서 성인 남자 $28{\sim}36$세를 대상으로 대퇴골 전염각을 측정하였다. 오른쪽 대퇴골 전염각의 T2강조영상은 $18.5{\sim}45.4^{\circ}$, T1강조영상 $18.9{\sim}25.6^{\circ}$, 경사에코 $18.7{\sim}26.0^{\circ}$, 지방억제기법 $21.3{\sim}24.9^{\circ}$, 왼쪽 대퇴골 전염각의 T2강조영상은 $19.2{\sim}24.3^{\circ}$, T1강조영상 $18.8{\sim}24.5^{\circ}$, 경사에코 $20.1{\sim}25.6^{\circ}$, 지방억제기법 $20.0{\sim}25.3^{\circ}$로 측정되었고, 오른쪽과 왼쪽 대퇴골 전염각의 이원배치 분산분석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수 작업 방법의 대퇴골 전염각 측정에 비해 Image Viewer 프로그램에서는 마우스를 이용한 측정으로 편리하였고, MR 영상은 CT 영상에 비해 다양한 Pulse sequence를 선택적으로 적절한 촬영기법을 사용하여 대퇴골 전염각 측정에 유용하였다.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의 접촉응력 해석에 관한 연구 (Contact Stress Analysis of Artificial Hip Joint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김청균;윤종덕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3권1호
    • /
    • pp.82-87
    • /
    • 1997
  • The modern orthopaedics frequently uses the total hip replacement in the artificial hip joint. The wear in this joint requires a re-replacement of hip joints because it is under the severe load and friction condi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mainly focussed on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The research of new materials, however, needs much time and effort since it should be experimented for its bio-compatibility, friction, and wear characteristics. To reduce the work, in this stud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is applied to find new combinations of bio-materials in the total hip replacement which has the excellent contact characteristics. A non-linear FEM program MARC with 5-node axisymmetric element was used for analyzing the contact stresses between the hip joints. The computed results show that in case of acetabulum UHMWP has good characteristics, in femoral head, $Al_2O_3$, and in stem, Ti6Al4V.

다발성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근위 대퇴골두 침범 여부에 따른 변형 정도 (Study of Deformity by the Involvement of the Femoral Head of the Proximal Femur in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 나보람;정성택;조용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519-527
    • /
    • 2019
  • 목적: 다발성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대퇴골두의 침범 부위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변형 정도를 분석하고 치료 경과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7년 3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한 23명의 환자를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퇴골두 침범 부위에 따라 대퇴골두의 골단판 반흔 및 성장판을 침범하지 않은 Type I, 골단판 반흔 및 성장판을 침범한 Type II로 구분하였다. 단순방사선 촬영을 통해 대퇴경간각 및 비구-전자간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측면사진을 통해 전방만곡을 측정하였다. 하지의 teleoroentgenogram을 통해 하지부동 및 하지 역학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골스캔을 통해 하지병변의 위치와 변형을 확인하였다. 변형 교정 및 골절 치료를 위한 내고정술 전후의 대퇴경간각, 비구-전자간 거리를 비교하여 수술 후 교정의 소실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3명(46하지) 중 23명(28하지)에서 근위 대퇴부에 병변이 있었다. Type I은 15/23명(16/28하지), Type II는 9/23명(12/28하지)이었다. 근위 대퇴골의 술 전 대퇴경간각은 Type I에서 116.8도, Type II에서 95.3도를 보였고, 비구-전자간 거리는 Type I에서 12.08 mm, Type II에서 -5.54 mm를 보여 Type II에서 의미 있게 변형이 심하였다. 수술 직후 변형 교정에 뚜렷한 호전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Type II의 경우 변형 교정이 소실됨을 보였다(대퇴경간각 Type I: 133.8-130.8도, Type II: 128.6-116.9도, 비구-전자간 거리 Type I: 17.66-15.72 mm, Type II: 7.44-4.16 mm). 전방 만곡은 Type I에서 평균 12.74도, Type II에서 평균 20.19도를 보였다. 실제 하지부동을 보인 총 9명에서 평균 12 mm 의 차이를 보였으며, 하지 역학축은 술 전을 기준으로 외측 편위 4하지, 내측 편위 7하지를 보였다. 결론: 다발성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대퇴골두를 침범한 경우 대퇴경간각 및 비구-전자간 거리, 대퇴골의 전방 만곡에서 훨씬 심한 변형을 보이고 수술 후 변형 교정의 소실 양상을 보여 병변의 대퇴골두 침범 여부가 환자의 예후에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내외반 변형뿐만 아니라 전방 만곡 등의 측면상의 변형 및 하지 역학축, 하지부동 등 전반적인 하지의 정렬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Deer Antler, Old Antler, and Antler Glue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 Park, Hae In;Lee, Kwang Ho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5권1호
    • /
    • pp.21-27
    • /
    • 2018
  • Background: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deer antler, old antler, and antler glue o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 an ovariectomized Sprague-Dawley rat model. Methods: The study involved 7 experimental groups; SHAM (sham-operated rats), OVX (ovariectomized rats), E2 (ovariectomized rats with estradiol $10{\mu}g/kg$ daily, orally), DA (ovariectomized rats with deer antler extract 5.83 mg/kg), OA (ovariectomized rats with old antler extract 3.8 mg/kg), low-AG (ovariectomized rats with low dose of antler glue powder 12.5 mg/kg), high-AG (ovariectomized rats with high dose of antler glue powder 37.5 mg/kg). After 6 weeks of treatment, body weight, blood calcium, phosphorus, estradiol, liver [alkaline phosphatase (ALP), aspartate transaminase (AST), alanine transaminase (ALT)] and kidney [blood urea nitrogen (BUN)/creatinine ratio] function, and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measured. Results: The body weights of DA, OA, low-AG, and high-AG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OVX group. Blood estradio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A, low-AG, and high-AG groups compared to the OVX group. Blood calcium, phosphorus, ALP, AST, and ALT levels and BUN/creatinine ratio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in the DA, OA, low-AG, and high-AG groups. BMDs of the femur, and femoral head and neck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ow-AG group. In the OA group, the BMD of the femoral head and neck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Treatment with deer antler, or antler glue for 6 weeks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estradiol and femoral BMD in ovariectomized rats, suggesting that this may be of therapeutic benefit for osteopor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