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oral fixatio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2초

생분해성 간섭나사를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지연성 염증반응 - 증례 보고 - (The Delayed Inflammatory Reaction after Anterior Cruciate Lligament Reconstruction with a Bioabsorbable Interference Screw Fixation - A Case Report -)

  • 임홍철;노경선;양재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90
    • /
    • 2006
  • 자가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사용되는 생분해성 간섭나사로 인한 합병증은 많지 않다. 저자들은 슬개건을 사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생분해성 간섭 나사로 이식건을 고정 후 경골과 대퇴골 터널에 발생한 지연성 염증반응 1예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의 수술적 기법 적용 후 괴사 망상골 내에서의 응력 변화 해석 (An Analysis of Stress Transfer Behaviors within the Necrotic Cancellous Bone following Surgical Procedures or the Management of the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 정성;이성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5-248
    • /
    • 1997
  • Operative interventions for the managem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ONFH) include core drilling, with or without vascularized fibular bone grafting. Nevertheless, their clinical results have not been consistently satisfactory. Recently, a new surgical procedure that incorporates cementation with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fter core drilling has been tried clinically. In this study, a biomechanical analysis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FEM) was undertaken to evaluate surgical methods and their underlying surgical parameter. Our finite element models included five types. They were (1) normal model (Type I), (2) necrotic model (Type II), (3) core decompressed model (Type III). (4) fibular bone grafted model (Type IV), and (5) cemented with PMMA model (Type V). The geometric dimensions of the femur were based on digitized CT-scan data of a normal person. Various physiological loading conditions and surgical penetration depths by the core were used as mechanical variables to study their biomechanical contributions in stress transfer within the femoral head region. In addition. the peak von Mises stress(PVMS) within the necrotic cancellous bone of the femoral head was obtained. The fibular bone grafted method and cementation method provided optimal stress transfer behaviors. Here. substantial increase in the low stress level was observed when the penetration depth was extended to 0mm and 5mm from the subchondral region. Moreover, significant decrease in PVMS due to surgery was observed in the fibular bone grafted method and the cementation method when the penetration depths were extended up to 0 and 5mm from the subchondral region. The drop in PVMS was greater during toe-off than during heel-strike (57% vs. 28% in Type IV and 49% vs. 22% in Type V). Both the vascularized fibular bone grafting method (Type IV) and the new PMMA technique (Type V) appear to be very effective in providing good stress transfer and reducing the peak Von-Mises stress within the necrotic region. Overall results show that fibular bone grafting and cementation methods are quite similar. In light of above results, the new cementation method appears to be a promising surgical alternative or the treatment of ONFH. The use of PMMA for the core can be less prone to surgical complication as opposed to preparation of fibular bone graft and can achieve more immediate fixation between the core and the surrounding region.

  • PDF

Treatment of Quadriceps Contracture with Femoral Shortening Ostectomy, Rectus Femoris Muscle Transposition and Dynamic Stifle Flexion Apparatus in a Dog

  • Roh, Yoon-Ho;Choi, Min-Ho;Lee, Je-Hun;Mok Jeong, Seong;Lee, HaeBeom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63-167
    • /
    • 2020
  • A 13-month-old, 3.3 kg castrated male Shih-tzu presented with right hindlimb lameness. The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atrophy of the right thigh muscles, hyperextension of the stifle joint and external torsion of the tibia. On the radiographic examination, patella alta and genu recurvatum were observed. A biapical deformity of the tibia and external torsion of the distal tibia were detected by computed tomography (CT). A three-dimensional (3D) printed bone model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operative plan prior to surgery. Rectus femoris muscle transposition, femoral shortening ostectomy and open wedge osteotomy of the distal tibia were performed using hybrid external skele/t0al fixation (hybrid-ESF). A dynamic stifle flexion apparatus was used to prevent recurrence of a quadriceps contracture (QC). Intense physiotherapy was administered postoperatively. The dog began to use the affected limb one week after surgery. Functional improvement in the affected limb was observed, and full weight-bearing was possible at 3 months after surgery. Union of the osteotomy lines was observed at 3 months, and the stifle joint was fully movable at 7 months after surgery. Regarding the treatments for QC, these methods may be excellent candidates, as they do not lead to severe damage to the limb or amputation.

잔여 조직을 보존한 단일 다발 후방십자인대 보강재건술 (Single Bundle PCL Reconstruction with Remnant Preservation)

  • 이동철;김원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5-131
    • /
    • 2011
  • 후방십자인대 파열의 최선의 치료법은 논쟁의 대상이며,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고려해야할 사항들로는 경골 고정방법(transtibial vs inlay), 대퇴터널의 위치(central, eccentric or isometric), 재건다발의 수(single-bundle vs double-bundle)등이 있다. 후방십자인대는 중슬부 동맥의 분지와 가깝게 위치하고, 두꺼운 활액막에 싸여있어 손상시 전방십자인대보다 자연 치유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이식물 통과를 용이하게 하고 터널 위치 선정을 위한 인대 부착부를 잘 보기 위해 남아 있는 후방십자인대 잔여 조직을 모두 제거한다. 그러나 잔여 조직을 보존하면 슬관절 후방 안정성에 기여하며, 이식물 치유를 빠르게 하고, 잔여 인대에 남아 있는 기계 수용체의 고유 수용 감각 기능을 살리게 된다. 수술 술기의 어려움과 터널 합병증이 발생될 수 있는 이중 다발 재건술에 비해, 대퇴부 인대 부착부를 보전하기 쉽고 합병증이 적은 단일 다발 재건술을 이용한 잔여 조직을 보존한 보강법이 유용한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FEM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인공관절 대퇴 Stem 경계면의 미세운동 분석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of Interface Micromotion in a Non-Cement Total Hip stem)

  • 김성곤;최형연;채수원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70
    • /
    • 1996
  • In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THA), an initial stability of the femoral component is mandatory to achieve bony inyowth and secondary long term fixation. Primary stability of the femoral component can be obtained by minimizing the magnitude of relative micromotions at bone stem interface. An accurate evaluation of interf'ace micromotion and stress/strain fields in the bone-implant system may be relevant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linical situations and improving THA design. Recently finite element method(FEM) was introduced in'orthopaedic research field due to its unique capacity to evaluate stress in structure of complex shape, loading and material behavior. The authors developed the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proximal femur with $Multilock^{TM}$ stem of 1179 blick elements to analyse the micromotions and mechanical behaviors at the bone-stem inteface in early post-operative period for the load simulating single leg stance.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values of relative motion for this well fit stem were $150{\mu}m$ in maximum $82{\mu}m$ in minimum and the largest relative motion was developed in medial region of Proximal femur and in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he motion in the proximal bone was much greater than in the distal bone and the stress pattern showed high stress concentration on the cortex near the tip of the stem.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oading on the hip joint in the early postoperative situation before achieving bony ingrowth could produce large micromotion of $150{\mu}m$ and clinicaly non-cemented THA patient should not be allowed weight bearing strictly early in the postoperative period.

  • PDF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의 이중 금속판 고정술 (Dual Plate Fixation for Periprosthetic Femur Fractur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김동휘;차동혁;고강열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6-33
    • /
    • 2021
  •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 삽입물 주위 골절에 이중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 후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 23예 중 Lewis와 Rorabeck의 분류상 II형으로 삽입물 이완은 없으나 과상부 분쇄골절이거나 골절선이 외상과까지 연장됐거나 주대(stem)가 있어 편측 고정만으로 골절부의 안정성을 얻을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내, 외측 이중 금속판을 이용하여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72세(65-82세)였고 여자가 11예, 남자가 2예였다. 수상 기전은 낙상이 9예, 교통사고가 4예였다. 류마티스관절염 1예를 제외하고 12예에서 골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았고 3예에서 재치환술 등의 이유로 주대가 있었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골절 발생까지의 평균 기간은 28개월(1-108개월)이었고, 술 전 환자의 평균 골밀도는 T score -3.2 (-1.7에서 -4.4)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23개월(12-65개월)이었다. 수술법은 골절부의 내측에 먼저 광근 하방으로 접근하여 해부학적 정복을 시행하고 금속판으로 내고정을 시행한 후 추가로 외측에 최소 절개법을 통해 잠김 압박 금속판을 사용하여 내고정하였다. 골유합 기간 및 합병증, 최종 추시 시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Knee Score (HSS)를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골유합 기간은 17.4주(7-40주)였으며 2예에서 지연 유합이 발생하였으나 추가적 수술 없이 36주와 40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1예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여 재고정술 및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 후 3개월에 완전한 골유합을 얻었다. 최종 추시 시 전후방각형성은 평균 2.86도(0-4.9도), 내외반 각형성은 평균 1.67도(-1.2-4.9도)로 전체 예에서 부정 유합은 없었다. 최종 추시 시 슬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90도였고, HSS 점수는 평균 85점(70-95점)이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 시 편측 고정만으로 골절부의 안정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 이중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안정적인 고정으로 빠른 재활이 가능하고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Fracture analysis of wild mammals in South Korea

  • Jang, Hyunkyu;Park, Jong-Moon;Ahmed, Sohail;Seok, Seong-Hoon;Kim, Ho-Su;Yeon, Seong-Cha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175-180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d analyze fractures types in wild mammals in Korea. Wild mammals treated at 3 wildlife centers in Korea were included. Of the 63 cases included in this study, water deer was the most common species encountered with fractures. We determined 85 different fracture sites, with maximum lumber vertebral fractures followed by femoral, tibial and pelvic fractures. External skeletal fixator (ESF)-intramedullary (IM) pin (IM+ESF tie-in fixation) was the most common method applied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mammals. Lumbar vertebrae and femur were the most common bones invol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veterinarians regarding the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fractures in wild mammals and serve as a basic database for the types and outcomes of fractures in wild mammals.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사체 아킬레스 이식건의 초기연신거동 (Initial Lengthening Behavior of Cadaveric Achilles Tendon Graft Afte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김철웅;배지훈;이호상;왕준호;박종웅;오동준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1461-1466
    • /
    • 2008
  • In the case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PCL), the most frequent mechanism is the dashboard injury, which is directly pressurized to the anterior of the proximal tibia in the state of the knee hyperflexion. The PCL associated ligament damage happens when the posterior injury, the varus, the valgus, the hyperextension and the severe vagus torque are out of the critical value of PCL. After the successful operation case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using the allograft were informed from 1986, a number of results kept over the maximum 10 years were reported. Unfortunately, PCL reconstruction are crowded the surgery techniques such as the graft, the tibia fixing method, the fixation device, the location of the femoral tunnel, the number of the graft bundles and PCL reconstruction to access to the stability of the normal joint is being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is the basic research of these above facts. The current transtibial tunnel surgery using the cadaveric Achilles tendon grafts is chosen for the various PCL reconstruction. The initial extension of the Achilles tendon by the fixing device and its location under the cyclic loading, were observed.

  • PDF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 (Revis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Surgery Using Hamstring Autograft)

  • 인용;박원종;권오수;서영완;임동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3-188
    • /
    • 2003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 시행시 자가 슬괵건을 이식건으로 사용하고 대퇴 및 경골 터널은 이중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시행하여 그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5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을 시행 받고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6예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28.3세였다. 1차 재건술 후 재 재건술까지 기간은 평균 28.9개월이었으며 재 재건술 전까지 평균 수술 횟수는 1.7회였다. 슬괵건은 네 겹으로 준비하여 이용하였으며 기존 대퇴 터널이 재 재건술에 영향을 주는 경우 대퇴 터널을 40 mm 깊이로 만들고 횡고정 핀 고정후 흡수성 간섭 나사로 이중 고정하였다. 경골 터널은 Intrafix로 고정하였고 기존 터널의 영향이 있는 경우 screw-washe로 이중 고정하였다. 술후 평가는 Lysholm 점수, IKDC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평가 기준, KT-2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최종 추시상 Lysholm 점수는 술전 77.2점에서 술후 87.7점으로 호전되었고 IKDC 평가 기준상 술전 B 1예, C 4예, D 1예에서 술후 A 1예, B 4예, C 1예로 5예$(83\%)$에서 B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KT-2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상 술전 평균 4.5 mm에서 술후 1.8 mm로 호전되었다. 결론 :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시 슬괵건은 좋은 이식물로 사료되며, 수술시 기존 터널의 영향이 있는 경우 이중 고정 방법은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이준 다발 재건술 - 수술 술기 - (Anterior Cruciate Ligament Double Bundle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Tendon Autografts - Technical Notes)

  • 안진환;이상학;안형권;강홍제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2-231
    • /
    • 2005
  • 목적: 저자들은 5가닥의 자가 슬괵건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내측 다발에 부가적인 후외측 다발을 통한 전방 십자인대 이중 다발 재건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경골 터널은 기존의 단일 터널 방법을 사용하였고, 대퇴 터널은 전내측과 후외측 다발을 위한 이중 터널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내측 대퇴 터널은 최소한의 대퇴 과간 절흔 성형술 후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게 11시 혹은 1시 방향에 대퇴과 절흔의 후방 경계(over-the-top)에서 후방 피질골이 1 mm 두께로 남아 있게 만든다. 또한 후 외측 대퇴 터널은 outside-in 방법을 사용하여 관절 내 터널 위치는 슬관절 90도 굴곡 상태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후각의 경골 부착부 내연(inner margin)에서 외측 대퇴과 내측벽의 상방 $5{\sim}7mm$ 부위에 4.5 mm reamer 이용하여 만들어 준다. 이중 다발을 위한 이식건으로 전내측 다발은 기존의 4가닥 슬괵건을 사용하고 후외측 다발은 반건양건 단일 가닥으로 만든다. 대퇴 터널 고정 방법으로 전내측 다발은 rigid fix system으로 고정하며 후외측 다발은 관절 밖에 miniplate를 이용하여 endobutton 방식으로 결찰로 고정한다. 이 후 경골 터널 고정은 슬관절을 $10{\sim}20$도 굴곡 상태에서 이중 다발을 함께 인장 강도를 주고 간섭 나사못으로 고정하고 post tie로 보강한다. 결론: 저자들은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던 기존의 전내측 다발에 회전 안정성을 위한 부가적인 후외측 다발을 통해 5가닥(경우에 따라 6가닥)의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이중 다발 재건술을 시행함으로써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