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oral fixatio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6초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의 치료에서 전방 회전 절골술의 조기 추시 결과 (The Early Result of Anterior Rotational Osteotomy in the Treatm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 김세동;신덕섭;장우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84-292
    • /
    • 1994
  • 1992년 12월부터 1994년 6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형외과에 내원한 대퇴골두무혈성 괴사 환자 28명, 31 고관절에 대해 시행한 경전자간 회전 절골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 환자는 한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44.3세로 삼, 사십대가 대부분이었다. 2. 무혈성 괴사의 원인은 과다한 음주에 의한 것이 18례로 가장 많았고, 괴사의 정도는 Ficat와 Arlet의 분류에 의하면 II a가 16례로 가장 많았다. 3. 절골술 후 고정 방법으로는 screw가 15례, DHS가 16례였고, 고정 방법에 따른 대퇴경간각의 변화로는, screw를 사용한 경우는 술전에 비해 내반고 되는 경향을 보였고, DHS를 사용한 경우는 외반고 되는 경향을 보였다. 4. 술전 대퇴골두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한 대퇴골두 전체 관절면에 대한 건전한 관절면의 비는 1/3이하가 8례, 1/3 이상이 23례(74%)이었다. 5. 술후 고관절의 전후면 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한 비구의 체중 부하면에 대한 전위된 건전한 대퇴골두의 관절면 비는 36% 이상이 24례(78%), 21-35%가 6례, 20% 이하가 1례였다.

  • PDF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로 삽입된 관외측 금속판의 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제거의 결과 (Results of Arthroscopic-assisted Minimally Invasive Removal of a Lateral Periarticular Plate used for the Treatment of AO Type-C Distal Femoral Fractures)

  • 김영모;이준규;양재훈;김보건;이원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6-52
    • /
    • 2009
  • 목적: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로서 대퇴골 외측에 금속판을 삽입한 후, 관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제거를 시행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술식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로 관혈적 정복 및 대퇴골 외측면에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던 환자들 중 대퇴골 외과 부위의 불편감으로 인해 관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제거를 시행하였던 17예와 관절경 없이 고식적인 방법으로 금속판 제거슬 시행한 15예, 총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2.6세(20~66세), 최초 골절 상태는 AO/ASIF 분류상 C1 16예, C2 11예, C3 5예였다. 술 중 확인된 관절내 병변, 술 후 합병증 및 술 후 일상 생활로의 복귀 시간, 수술에 대한 만족도, 술 전 및 술 후 6개월 추시상의 슬관절 통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전 예에서 금속판의 최고 원위부는 슬관절 내에 위치하였고, 23예에서 이와 접촉하는 외측 관절낭의 손상이 확인되었다.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금속판 제거술 후 지속적 창상 배액으로 세척술 및 창상 재 봉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1예 있었다. 술 후 일상 생활로의 복귀는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7일이었고, 고식적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7.6일 이었다.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은 14예(82.4%)에서 '보통' 이상의 수술 만족도를 보였으며, VAS 통증 지수는 수술 전 4.9에서 수술 후 6개월에 1.9로 감소하였다. 고식적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은 13예(86.7%)에서 보통' 이상의 수술 만족도를 보였으며, VAS 통증 지수는 수술전 5.2에서 수술 후 6개월에 2.5로 감소하였다. 결론: 본 술식은 원위 대퇴골에 삽입된 금속판 제거와 함께 슬관절 내의 다양한 병변의 확인 및 치료가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를 위해 삽입된 금속판에 의한 슬관절 외측 관절낭의 손상이 매우 빈번히 확인되었고, 금속판을 제거함으로서 슬관절 통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음으로, C-형 원위 대퇴골 골절과 같이 금속판의 최고 원위부가 관절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골절의 유합이 이루어지면 금속판을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퇴골과 박리성 골연골염의 치료 (Treatment of Osteochonritis Dissecans of Femoral Condyle)

  • 이동철;권순;손욱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9-54
    • /
    • 2002
  • 목적 : 슬관절박리성골연골염환자에서나이, 병변의형태, 치료방법에따른임상결과를분석하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 1991년3월부터2000년2월까지슬관절박리성골연골염으로치료받은환자중1년이상추시관찰가능한17명20예를대상으로 하였으며양측성이3명이었고, 스포츠손상(9예) 및 직접외상(3예) 병력을 가진 12예(60$\%$)에서 외상의 병력이 있었다. 증상은 동통, 탄발음, 잠김, 허약감 등의 순서였으며 동통이 전예에서 있었다. 임상평가는Hughston 평가와IKDC주관적만족도를사용하였다. 결과 : 17명의환자에서남자는1 2명, 여자5명, 평균연령은19.8세(11세$\~$50세)였다. 병변위치는대퇴골내과관절면이14예, 외과관절면이6예였고관절경을시행한 15예에서관절경소견상골연골편의조기분리6예, 부분분리4예, 완전분리5예로 나타났다. 치료는다발성천공술시행5예, Herbert 나사못고정5예, Herbert 나사못고정및골이식술을3예에서시행하였고, 보존적치료는진행초기인7예에서시행하였다. 임상평가는Hughston 평가에서우수6예(30$\%$), 양호9예(45$\%$)로75$\%$에서 양호한성적을보였으며IKDC 주관적평가상정상1예(5%$\%$, 비교적정상6예(30$\%$), 비정상10예(50$\%$)로나타났다. 결론 : 슬관절박리성골연골염에서외상이발병의중요요인이었으며, 나이가어린학동기군에서청소년기나성인에비해우수한 치료결과를보여가능한조기 진단이필요할것으로생각된다. 주관적기능 평가가Hughston 기능평가보다 낮았으며 이는청소년기때활동제한, 스포츠활동참여의제한으로인한것으로사료된다.

  • PDF

The Timing of Femur Fracture Fixa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 Choi, Hyung Chul;Jung, Kwang Hwan;Kyoung, Kyu Hyouck;Choi, Seong Ho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2권4호
    • /
    • pp.220-225
    • /
    • 2019
  • Purpose: Mechanical ventilation (MV) is an essential life-saving modality for severely injured patients. However, the long-term use of MV is a major risk factor for late mortality. The surgical correction of long bone fractures plays a critical role not only in improving functional outcomes, but also in reducing physiological derangements, including MV dur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prolonged MV (PMV) in severely injured patients with femur fractur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all severely injured patients (injury severity score >15) with femur fractures who were taken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in 12 hours of the causative accidents between January 2016 and December 2018. PMV was defined as MV lasting for ≥7 days.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PMV. Results: In total, 35 patients were enrolled and 21 (33.3%) were included in the PMV group. The PMV group required more red blood cell (RBC) transfusions within 7 days RBC (7dRBC) (12.8 vs. 6.8 units; p=0.03) and the time to femur fracture fixation (TFFF) was longer (7.9 vs. 2.7 days; p=0.018).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for TFFF was 0.740 (95% confidence interval [CI]: 0.572-0.908; p=0.018) and the AUC for 7dRBC was 0.718 (95% CI: 0.546-0.889; p=0.031).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TFFF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PMV. Early fixation of femur fractures might prevent PMV and its associated complications.

대퇴 경부 골절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Femur Neck Fractures)

  • 구환모;안면환;인주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69-80
    • /
    • 1990
  • 본 영남의대 정형외과학 교실에서는 1984년 1월 부터 1988년 5월 까지 입원 치료한 대퇴 경부 골절 환자 중 최근까지 2년 이상 추적 조사가 가능 하였던 23명의 24례를 대상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23명중 여자가 19명, 65세 이상의 노년층의 환자가 11명으로 노년층의 여자에서 호발하였다. 2. 18례에서 경도의 외력에 의한 것이었고 65세 이상의 12례 중 전례에서 경도의 외력에 의해 골절되었고 8례에서 심각한 골조송증을 보였다. 3. 24례 중 14례에서 전위된 골두하 골절이었고 6례에서 전위된 횡경부 골절이었으며 4례에서 전위되지 않은 횡경부 골절이었다. 4. 치료는 14례에서 도수 정복후 내고정을 10례에서 일차적 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고 내고정한 14례중 4례에서 대퇴 골두 괴사로 이차적 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5. 내고정을 시행한 14례 중 7례에서 합병증을 관찰할 수 있었고 무혈성 괴사가 6례, 불유합 2례, Pin 이동 3례, 내고정물 부전이 1례였다. 6.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14례에서 수술 직후의 대퇴경의 수술적 접합률이 대퇴경의 해리와 관계가 있었다.(r=-0.68. p<0.01) 대퇴 경부 골절의 치료시에 합병증의 발생은 대개 골절의 양상 및 치료시기, 정복의 정도에 의해 결정되며 치료의 지연, 정복의 불가능, 과내반 교정, 병적 골절일 경우에는 일차적 고관절 치환술이 환자의 조기 거동과 사망률의 감소를 위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Bleeding control of an injury to the infrarenal inferior vena cava and right external iliac vein by ipsilateral internal iliac artery and superficial femoral vein ligation after blunt abdominal trauma in Korea: a case report

  • Hoonsung Park;Maru Kim;Dae-Sang Lee;Tae Hwa Hong;Doo-Hun Kim;Hangjoo Cho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6권4호
    • /
    • pp.441-446
    • /
    • 2023
  • Inferior vena cava (IVC) injuries, while accounting for fewer than 0.5% of blunt abdominal trauma cases, are among the most difficult to manage. Despite advancements in prehospital care, transportation, operative techniques,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the mortality rate for IVC injuries has remained at 20% to 66% for several decades. Furthermore, 30% to 50% of patients with IVC injuries succumb during the prehospital phase. A 65-year-old male patient, who had been struck in the back by a 500-kg excavator shovel at a construction site, was transported to a regional trauma center. Injuries to the right side of the infrarenal IVC and the right external iliac vein (EIV) were suspected, along with fractures to the right iliac bone and sacrum. The injury to the right side of the infrarenal IVC wall was repaired, and the right internal iliac artery was ligated. However, persistent bleeding around the right EIV was observed, and we were unable to achieve proximal and distal control of the right EIV. Attempts at prolonged manual compression were unsuccessful. To decrease venous return, we ligated the right superficial femoral vein. This reduced the amount of bleeding, enabling us to secure the surgical field. We ultimately controlled the bleeding, and approximately 5 L of blood products were infused intraoperatively. A second-look operation was performed 2 days later, by which time most of the bleeding sites had ceased. Orthopedic surgeons then took over the operation, performing closed reduction and external fixation. Five days later, the patient underwent definitive fixation and was transferred for rehabilitation on postoperative day 22.

무시멘트형 인공고관절 대치술후 초기의 경계면 미세운동의 3차원 FEM 연구 (A Study on the Interface Micromotions of Cementless Artificial Hip Replacement by Three-Dimensional FEM)

  • 김성곤;채수원;최형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1-74
    • /
    • 1994
  • In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THA), an initial stability of the femoral component is mandatory to achieve bony ingrowth and secondary long term fixation. Bone ingrowth depends strongly on relative micromotion and stress distributions at the interface. Primary stability of the femoral component can be obtained by minimizing the magnitude of relative micromotions at bone-prosthesis interface, Hence an accurate evaluation of interface behavior and stress/strain fields in the bone implant system may be relevant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linical situations and improving THA design. However, complete evaluation of load transfer in the bone remains difficult to assess experimentally, Hence, recently finite element method (FEM) was introduced in orthopaedic research field to fill the gap due to its unique capacity to evaluate stress in structure of complex shape, loading and material behavior. The authors developed the 3-dimensional numerical finite element model which is composed of totally 1179 elements off and 8 node blick. We also analyzed the micromotions at the bone-stem interface and mechanical behavior of existing bone prosthesis for a loading condition simulating the single leg stanc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values of relative motion for this well fit Multilock stem were $150{\mu}m$ in maximum, $82{\mu}m$ in minimum, and the largest relative motion developed in medial region of proximal femur with anterior-posterior direction. The proximal region of the bone was much larger in motion than the distal region and the stress pattern shows high stress concentration on the cortex near the tip of the stem. These findings indicates that the loading in the proximal femoral bone in the early postoperative situation can produce micromotions on the interface and clinically cementless TEA patient should not be allowed weight bearing strictly early in the postoperative period.

  • PDF

흡수성 반월상 연골나사를 사용한 얇은 골연골 골절의 치료 - 증례 보고 - (Biodegradable Meniscus Screw Fixation of Thin Flap Osteochondral Fracture - Two Case Report -)

  • 전재균;선두훈;송인수;김영우;정재용;이봉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1-134
    • /
    • 2010
  • 관절내 골연골 골절은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 지지 않은 경우 골관절염을 초래하여 통증과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골 연골 골절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관혈적 정복 및 금속고정 수술등으로 치료를 할 수 있으나, 골편의 두께가 2mm 이하로 얇은 경우 튼튼한 고정력을 얻기 어려워 제거 하는 경우가 많았다. 저자들은 대퇴 내과에 발생한 박리성 골연골염 환자와 슬개골 골절로 골편의 두께가 2mm이하인 환자에서 흡수성 반월상 연골나사를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Rigidfix 와 Infrafix 로 고정한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경골터널의 확장

  • 최남홍;정유훈
    • 대한관절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관절경학회 제21차 추계 학술대회
    • /
    • pp.153-15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ibial tunnel widening prospectively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with hamstring tendon grafts using Rigidfix (DePuy Mitek, Raynham, MA) femoral fixation and Intrafix (DePuy Mitek) tibial fixation. 56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with a minimum of 2 years' postoperative evaluation were reviewed. On the anterior-posterior (AP) and lateral radiographs, the diameter of the tibial tunnel was measured at proximal, middle, and distal positions and the shape of the tibial tunnels were classified. Tunnel widening was defined as widening of greater than 2 mm. Group I was defined as cases with no tunnel widening and group II defined as cases with tunnel widening. Postoperative laxity evaluations were performed using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and Instrumented laxity testing using the KT-1000 arthrometer. On the AP radiograph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tibial tunnel increased 8.8% at 6 months and 8.5%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compared to the immediate postoperative day. On the lateral radiograph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tibial tunnel increased 7.2% at 6 months and 8.1% at 12 months year postoperatively compared to the immediate postoperative day. The tunnel shape evaluation revealed predominantly linear type in 53 patients (95%). Group I was 42 patients (75%) and group II was 14 (25%). The average KT-1000 measurement was 1.0~1.8 mm in group I and 2.1~2.8 mm in group II (p>0.05) The Lachman and pivot-shift showed tes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hamstring ACL reconstruction using Rigidfix and Intrafix fixation showed less widening of the tibial tunnels than observed in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 PDF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 새로운 대퇴부 현수고정법인 Cross Pin과 일정한 긴장력 유지를 위한 Graft Tensioner 사용의 단기 추시 결과 - (ACL reconstruction with autologous hamstring tendon - Short term clinical result using new femoral suspensory fixation device 'Cross Pin' and graft tensioner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nsion-)

  • 서승석;김창완;김진석;최상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4
    • /
    • 2011
  • 목적: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에서 Cross pin 및 Graft Tensioner를 이용한 수술의 단기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 조기 경험에서 발견된 수술 술기상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최소 18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건의 대퇴골측 고정을 위해 Cross pin을, 경골측의 고정을 위해 Intrafix와 Post-tie를 사용하였다. 이식건은 Graft Tensioner을 이용하여 80N의 힘으로 고정하였다.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와 합병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IKDC 주관적 점수 및 Lysholm 점수는 술 후 89.1점 및 91.4점로 호전되었으며 축이동 검사 및 One-leg hop 검사도 술후 양호한 소견을 보였다. KT-1000 관절계 검사 및 Telos 부하 방사선 검사상 최종 추시시 건측에 비해 평균 $2.8{\pm}1.6$ mm, $2.6{\pm}1.3$ mm로 호전을 보였으며 대퇴골 터널은 평균 $2.3{\pm}1.1$ mm로 확장되었다. 수술 술기상 문제점으로 대퇴골 터널과 횡고정 터널의 불일치, 대퇴골 터널과 Graft Harness의 길이 불일치 그리고 연부 조직 자극이 관찰되었다. 결론: Cross pin 및 Graft Tensioner를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은 단기 추시 상 좋은 안정성을 보여주는 수술 방법 중의 하나로 사료된다. 그러나 술기상 문제로 대퇴 터널-cross pin 불일치를 줄이기 위해 대퇴 터널을 짧게 만들거나 cross pin 터널을 피질골에 가능한 수직으로 만들어야 하며 대퇴 터널 형성시 위치 막대를 3 mm가량 더 진행시켜야 대퇴 터널-graft harness 불일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