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ale Safety

검색결과 790건 처리시간 0.026초

유통기한 및 원재료명 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도 및 선호도 (Consumers'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for shelf life and ingredient listings in food label)

  • 이경애;김향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5-411
    • /
    • 2001
  • 선행연구에서 식품 구매시에 확인정도가 높았던 식품표시사항인 유통기한과 원재료명 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도, 선호도 및 요구도를 설문지법으로 검토하였다. 유통기한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인 ‘유통기한 이후에 판매할 수 없다’에 대한 정답자의 비율은 과자류 67.7%, 햄 80.1%로서 대부분의 응답자가 유통기한의 의미를 바르게 이해하고 있었다. 원재료명에 대한 이해도는 질문의 내용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원재료명의 함량’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높았으며, ‘원재료의 용도’, ‘원재료명의 표기순서’의 순 이었다. 표시방법에 대한 선호도를 검토한 결과, 유통기한의 표시는 표시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재료명의 표시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모든 원재료명의 표기를 원한다’고 답하였으며, 연령(p<.001), 결혼여부(p<.05), 직업(p<.05), 소득 (p<.001)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원재료명의 함량 표기는 모든 원재료의 함량 표기를 원하는 응답자가 69.6%로서 가장 많았으며, 연령(p<.001), 결혼여부(p<.001), 직업(p<.001), 소득(p<.01)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식품 처가물 표기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응답자(92.6%)가 ‘다른 원료와 구별해서 표기해야 한다’고 답하였다. 표시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검토한 결과, 유통기한 관련표시 내용으로 ‘개봉상태에서 소비 가능한 기간’의 표기를 가장 원하고 있었으며, ‘유통기간 중 가장 품질이 좋은 기간’의 순으로 요구도가 낮았다. 원재료명 중 식품 첨가물 관련 표시내용으로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위해성’의 표기였으며, 함량, 명칭, 용도의 순 이었다. 표시형태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유통기한은 일괄표시 장소에 보존방법과 같이 표기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원재료명은 진한 글씨로 다른 표시내용과 구별하여 모든 원재료의 명칭과 함량을 표기하고, 아울러 한 줄에 한가지 원재료를 표기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 PDF

항암단(抗癌丹)을 투여(投與)한 폐암(肺癌) 환자(患者) 62례(例)에 대한 임상보고(臨床報告) (The Clinical study in 62 cases for lung cancer patients on the effects by Hangamdan(抗癌丹))

  • 최병렬;손창규
    • 혜화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1-131
    • /
    • 2001
  • Clin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62 cases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treated by Hangamdan(抗癌丹) from January 1th 1998 to September 30th 200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Distribution of those attached by lung cancer, by sex, showed that Male is more then Female, by age, showed that the number of sixties is majority. 2. Distribution of diagnostic stage, in descending order; stage IV(43.6%,top), stage III(35.5%), stage II(17.7%), stage I(3.2%). 3. The effects of maintenance and improvement in the symptoms with traditional oriental therapy(83.3%) and combined treatment of western and oriental therapy(84.0%) were observed. The effects of the symptoms were as follows; cough(50.0%), anorexia(48.4%), chest discomfort(31.0%), sputum(24.2%), general body weakness(11.3%), hemoptysis(9.7%) and etc. in orders. 4. Analysis of hematology attached by lung cancer, maintenance and increasing of WBC(98.4%), RBC(74.2%), Hgb(71.0%), Platelet(96.7%) were observed. After taken Hangamdan, the safety of the liver and kidney were as follows; maintenance and decreasing of AST(91.5%), ALT(93.2%), ${\gamma}-GTP$(95.0%), BUN(82.7%), Creatinine(93.3%) were observed. 5. Analysis of IL-12 and $IFN-{\gamma}$ attached by lung cancer, increasing of IL-12(31.3%), $IFN-{\gamma}$(72.7%) were observed. 6. Analysis of QOL attached by lung cancer,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combined treatment of western and oriental therapy(94.0%), traditional oriental therapy(91.7%) were observed. 7. Analysis of survival in patients with IV stage of lung cancer, above 7 months(22.2%), 12 months(70.4%). 8. Analysis of antitumor effects, maintenance of traditional oriental therapy(50.0%) and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combined treatment of western and oriental therapy(80.0%) were observed. 9. Analysis of curative valuation,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traditional oriental therapy(50.0%), combined treatment of western and oriental therapy(60.0%) were observed.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Hangamdan has significant effects of antitumor and immune activity, also could be usefully applied for lung cancer patients by combination with western therapy or alone.

  • PDF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이용 실태 (Consumers의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Food Labels)

  • 김향숙;백수진;이경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948-953
    • /
    • 1999
  • 소비자 중심적인 식품표시를 개발하기 위해 현행 식품 표시제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확인정도, 신뢰도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검토했다. 식품표시를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조사대상자의 67.6%로서 법적 규정에 대한 인지도는 교육정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어, 학력이 높을수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높았다(p<0.001). 식품표시를 하는 이유로는 조사대상자의 47.5%가 '소비자에게 식품정보를 알리기 위해서'라고 응답했으며, 36.4%가 '식품의 위생척 취급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여, 대부분의 응답자가 식품표시를 정보원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전업주부는 다른 직업 종사자에 비해 '식품의 위생적 취급을 위해서'라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p<0.01), 주부는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다. 식품을 구입할 때 표시를 확인하는 정도는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는 응답 자가 48.9%, '반드시 확인한다'는 응당자가 38.9%로서 대부분이 식품표시를 확인하고 있었다.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이유로는 대부분(61.5%)이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응답했으며, 식품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표시사항으로 유통기한(26.9%)과 제조연월일(25.4%)이라 응답하여 식품 구매시 식품의 안전성 확인에 큰 비중을 두고 있었다. 식품표시에 대한 신뢰정도는 '매우 신뢰한다' 1.6%, '대체로 신뢰한다' 83.7%로서 대부분의 응답자는 표시내용을 신뢰하고는 있으나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신뢰하지 않는 이유로는 표시내용과 다른 경우를 직.간접 경험했기 때문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69.2%이었으며 제조업자에 대한 불신도 25%에 달하였다.

  • PDF

폭원 9m 미만 도로 내 교통사고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n Factors of Traffic Accident on Roads having Width of Less than 9 Meters)

  • 임유진;문학룡;강원평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96-106
    • /
    • 2014
  •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한 차량중심의 도로교통정책으로 보행자 환경은 상대적으로 열악해졌고, OECD 회원국 평균 보행자 사고율은 17.8%인데 비하여 우리나라는 36.4%의 높은 보행자 사고율을 기록하였다(2009년 기준).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보행을 보장하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자 안전성 증진을 위하여 집 앞 도로, 즉 집 분산도로를 포함할 수 있도록 폭원 9m 미만 도로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폭원 9m 미만 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여부, 독립변수는 교통사고 자료에서 얻을 수 있는 변수를 추출하였다. 폭원 9m 미만 도로 내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운전자가 직진 중 일 때, 운전자가 여성일 때, 보행자가 차도로 통행 중일 때, 자전거 운전 중 일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폭원 9m 미만 도로에 직진차량 속도저감 기술, 교통약자 보호, C-ITS를 이용한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뇌성마비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Cerebral Palsy under General Anesthesia)

  • 정준민;서광석;이영은;한희정;한진희;김혜정;신터전;김현정;염광원;장주혜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2-28
    • /
    • 2008
  • Background: Cerebral palsy (CP) is non-progressive disorder of motion and posture. In CP patient, there are difficulties in dental treatment because of uncontrolled movement of limb and head, and conjoined disabilities such as cognitive impairment, sensory loss, seizures,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disturbances. It is reported that CP patients have high incidence in caries and a higher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But, despite the need for oro-dental care, these patients often are unlikely to receive adequate treatment without sedation or general anesthesia because of uncontrolled movements of the trunk or head. Methods: We reviewed the 58 cases of 56 patients with CP who underwent outpatient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at the clinic for the disabl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Results: The mean age was 19 (2-54) years. The number of male patient was 40 and that of female was 18. They all had severe spastic cerebral palsy and 22 had sever mental retardation, 15 epilepsy, 8 organic brain disorder, 1 blindness, 2 deafness and cleft palate. For anesthesia induction, 14 cases was needed physical restriction who had sever mental retardation and cooperation difficulty, but 44 cases showed good or moderate cooperation. Drugs used for anesthesia induction were thiopental (37 cases), sevoflurane (14 cases), ketamine (3 cases ) and propofol (4 cases). All patients except one were done nasotracheal intubation for airway management and 4 cases were needed difficult airway management and 1 patient already had tracheostomy tube. Mean total anesthetic time was $174{\pm}56$ min and staying time at PACU was $88{\pm}39$ min. There was no death or long term hospitalization because of severe complications. Conclusion: If general anesthesia is needed, pertinent diagnostic tests and workup about anomaly, and appropriate anesthetic planning are essential for safety.

  • PDF

자궁난소질환에 대한 봉독(Bee Venom)을 활용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A Review of the Utility of Bee Venom on Gynecological Disorders)

  • 이진욱;강나훈;유은실;박남춘;양혜린;김남훈;박경선;이진무;이창훈;장준복;황덕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00-113
    • /
    • 2017
  • Objectives: Bee Venom has been used to relieve pain and to treat various diseases, such as arthritis, cancer and skin disease. Although Bee Venom has used extensively in gynecological fields, we don't have enough evidence with i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icacy and safety of Bee Venom on women by investigating papers, then we are going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Methods: We searched for papers which had Bee Venom from Pubmed, OASIS,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Journal of Korean Medicine up to August 2017, t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ies. Results: Eleven papers have been finally selected. One paper was a case report about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Four papers were in vivo studies about 1 endometriosis and 1 polycystic ovarian syndrome and 2 human cervical cancer. Among eight papers that were in vitro studies, four papers were reported about ovarian cancer and four papers reported about human cervical cancer. Among ten papers that were experimental studies, two papers have been studied both in vivo and in vitro. Most of studies have shown that Bee Venom is useful for gynecological disorders. Conclusion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Bee Venom could be a good treatment for female disorder. However, more clinical reports and well-designed studies will be needed.

코리안 쇼트헤어 고양이에서 발생한 크립토코쿠스 감염증 의심 1증례 (A Case of Nasal Cryptococcosis in a Domestic Shorthair Cat)

  • 이진수;김현욱;최을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5-118
    • /
    • 2013
  • 8세 중성화 암컷 고양이가 만성 비강 삼출과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오른쪽 비강의 출혈농성 삼출이 관찰되었고, 흡기성 호흡곤란과 코골기 증상, 종대된 오른쪽 하악 림프절이 확인되었다. 전혈검사와 혈청화학 검사에서 미약하게 증가한 헤마토크리트 값과 고글로불린혈증이 나타났으며, 혈청학적 및 PCR 기법을 이용한FeLV, FIV, Chlamydophila felis, Feline Calicivirus, Herpesvirus, Bordetella, Mycoplasma felis, H1N1 influenza 검사에서는 모두 음성이었다. 방사선 검사에서는 오른쪽 비강의 연조직 밀도 상승이 관찰되었고, CT촬영에서는 비중격의 위축과 골 용해가 확인되었다. 추가 검사로 실시한 하악 림프절 세포학 검사에서는 다양한 두께의 염색이 안 되는 협막을 갖는 곰팡이가 관찰되었으며, narrow based budding을 보이는 곰팡이도 관찰되어 크립토코쿠스 감염증으로 잠정진단하였다. 혈청학적 검사에서 크립토코쿠스 항원가는 1 : 32,768로 매우 높게 나왔다. 검사결과에 기초해서 곰팡이 감염 치료를 위해 fluconazole, clindamycin, tocopherol투여를 실시했으며 약물 투여 후 3일 이내에 환자의 증상은 극적으로 개선되었다. 장기적인 관찰과 추가 항원역가 검사를 실시하고자 하였으나 환자는 증상 개선 후 퇴원하여 재 내원하지 않았다.

농촌지역 여성들의 무릎 골관절염 유병률 및 관련요인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Knee Osteoarthritis in Rural Woman)

  • 강복수;김석범;이경수;윤성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4호
    • /
    • pp.331-336
    • /
    • 2001
  • Objectives : To assess the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through proper diagnosis in a rural community and to elucidate the relevant factors of this health problem in order to develop educational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female knee osteoarthritis as well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spective research. Methods : Over a period of three months starting from August, 2000, 432 women over the age of 40 and living in a rural area were selected by a multistage cluster sampling meth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and the related factors. The study utilized interviews and radiological examination. The criteria of knee osteoarthritis used was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classification criteria for osteoarthritis of the knee(1995). Results : The adjusted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among the subjects was 55.0%,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odds ratio(OR) of knee osteoarthritis among subjects 50-59 years of age and subjects older than 60 years of age as compared to subjects 40-49 years of age were 2.43(95% CI: 1.30-4.70) and 4.40(95% CI: 2.47-7.83), respectively. The OR of knee osteoarthritis among factory workers or farmers as compared to others was 1.79(95% CI: 1.03-3.12). The OR of knee osteoarthritis among subjects who had a family history and subjects who had knee injury or surgical history against those subjects had neither were 2.56(95% CI: 1.42-4.03) and 4.70(95% CI:1.45-15.19), respectively. The OR of knee osteoarthritis among smokers against non smokers was 0.47(95% CI: 0.22-0.97). Conclusions : Related factors of knee osteoarthritis included age, occupation, family history, smoking, knee injury and history of surgery In order to prevent knee osteoarthritis in high risked rural woman, education concerning self-care methods and safety guideline must be provided at the work place by the public and private health sectors. Additionally, these women should be continually encouraged to exercise, including jogging and swimming regularly.

  • PDF

경운기 사고에 의해 발생한 복부 및 회음부 장기 손상 (Abdomino-perineal Organ Injuries Caused by Cultivators)

  • 여광희;박찬용;김호현;박순창;염석란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8권2호
    • /
    • pp.60-66
    • /
    • 2015
  • Purpose: Cultivator accidents are frequent and often lead to abdomino-perineal organ injury and, if severe, to death. This study present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utcom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patients who sustained an abdomino-perineal organ injury in cultivator accid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cords of 53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a tertiary hospital with abdomino-perineal organ injuries caused in cultivator accidents from April 2005 to March 2010. Results: All 53 patients had visited other medical institutions before visiting our hospital. Their mean age was $64.0{\pm}11.1$ (range, 20-80) years and 32 (60.4%) patients were 65 or older. The male-to-female ratio was 46:7. The chief complaint was abdominal pain (38 cases, 71.7%). The 53 patients included 41 cultivator operators (77.4%), 11 passengers (20.8%), and 1 passerby (1.9%). The causes of the injuries included a direct impact of the handlebar in 20 cases (37.7%), a rollover in 21 cases (39.6%), a fall in 10 cases (18.9%), and a wheel in two cases (3.8%). Several of the 53 patients had injuries to multiple abdomino-perineal organs, and the injured organs included the liver (23 cases, 26.4%), spleen (16 cases, 18.4%), pancreas (7 cases, 8.0%), small bowel (7 cases, 8.0%), mesentery (6 cases, 6.9%), adrenal gland (5 cases, 5.8%), and other organs. According to the abbreviated injury scale (AIS) dictionary, a thoracic injury was the most frequent co-injury (33 of 53 cases, 62.3%). Abdomino-perineal surgery was performed in 31 cases (58.8%) and angio-embolization was performed for six liver and two kidney injuries. Thirteen patients died (24.5%); all were males. The Injury Severity Scale (ISS) was lower in the survivors ($17.8{\pm}8.5$ vs. $27.0{\pm}16.0$; p=0.010). Conclusion: With the aging of agricultural workers, safet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Furthermore, the patient transfer system in agricultural areas must be improved.

  • PDF

노인 자기방임의 성별 차이 (Gender Difference in Elder Self-neglect in South Korea)

  • 권은주;윤일;김순은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627-643
    • /
    • 2018
  • 본 연구는 전국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방임의 성별 수준 차이와 위험요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녀 노인의 자기방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SSK 고령사회 연구단에서 2018년 조사한 "노인의 건강한 노화 및 웰다잉에 관한 연구 조사 결과보고서"의 남성노인 793명과 여성노인 1,089명을 비교하였다. 해당 자료를 대상으로 t-test와 ${\chi}^2$-test, 남녀노인 집단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 간의 자기방임 수준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자기방임 영향요인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남성 노인에게서만 나타난 자기방임 위험요인은 연령과 계층인식이며, 여성노인의 경우 월 소득, 종교여부, 독거여부, 삶의 만족도, 사회적 관계망(자녀, 자녀 외)으로 드러났다. 셋째, 남녀 노인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자기방임 위험요인은 우울과 사회적 지지(공적지원)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성별에 따라 자기방임에 대한 위험요인이 차별적으로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교환 이론과 여성주의 이론을 통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성별 특성이 합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논의는 노인들의 성별에 따라 차별적인 정책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며, 노인들의 우울감에 주목하여 사회적 안전망을 확충할 것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