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 Supply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35초

3년산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해상가두리 내 먹이공급비율에 따른 성장 및 생존율 (The Effect of Growth and Survival Rate on Feeding Rate of 3-year-ol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aring in Net Cage Culture)

  • 김병학;박정준;손맹현;김태익;이시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3-109
    • /
    • 2016
  • 본 연구는 3년산 북방전복의 해상가두리의 먹이공급비율에 따른 성장 및 생존율을 조사하여, 미역과 다시마등의 천연먹이의 적정 공급율을 제안하여 북방전복 성패의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고자 실시하였다. 먹이공급율은 실험전복 어체중량을 기준으로 일간공급율 (daily feeding rate, DFR) 5, 10, 15, 20% (5 DFR, 10 DFR, 15 DFR, 20 DFR) 를 설정하여, 해상가두리에서 2반복으로 13개월간 실시하였다. 해상가두리에서 사육한 전복 (최초 수용 시 평균각장 $73.77{\pm}11.27mm$) 성장에서 각장과 각폭의 성장율 (growth rate, GR), 일간성장율 (daily growth rate, DGR) 및 특수생장율 (specific growth rate, SGR) 과 체중의 증중률 (weight gain, WG), 일간증중률 (daily weight gain, DWG) 및 특수증중률 (specific weight gain, SWG), 그리고 생존율에서 5 DFR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30%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3년산 북방전복을 해상가두리에서 사육 시 미역, 다시마 등의 생먹이의 일간 공급율은 어체중량의 5-10%에서 공급되는 것이 성장에 유리하지만, 생존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and performance of Gaddi kids supplemented with tea seed or tea seed saponin extract

  • Kumar, M.;Kannan, A.;Bhar, R.;Gulati, A.;Gaurav, A.;Sharma, V.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486-494
    • /
    • 2017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trient intake, digestibility, microbial protein synthesis, haemato-biochemical attributes, immune response and growth performance of Gaddi kids fed with oat fodder base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either tea seed or tea seed saponin (TSS) extract. Methods: Eighteen male kids, $7.03{\pm}0.16$ months of age and $19.72{\pm}0.64kg$ body weight, were distributed into three groups, $T_0$ (control), $T_1$, and $T_2$, consisting of 6 animals each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kids were fed a basal diet consisting of concentrate mixture and oat fodder (50:50). Animals in group III ($T_2$) were supplemented with TSS at 0.4% of dry matter intake (DMI), and group II ($T_1$) were supplemented with tea seed at 2.6% of DMI to provide equivalent dose of TSS as in $T_2$. Two metabolism trials were conducted, 1st after 21 days and 2nd after 90 days of feeding to evaluate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effects of supplementation. Results: The tea seed ($T_1$) or TSS ($T_2$)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DMI as well as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re, and acid detergent fibre. Nutritive value of diet and plane of nutrition were also comparable for both the periods. However, th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improved (p<0.05) for $T_1$ and $T_2$ as compared to $T_0$. The microbial protein supply was also higher (p<0.05) for $T_1$ and $T_2$ for both the periods. There was no effect of supplementation on most blood parameters. However, the 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decreased (p<0.05) and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 increased (p<0.05) in $T_2$ as compared with $T_0$ and $T_1$. Supplementation also did not affect the cell mediated and humoral immune response in goats. Conclusion: Tea seed at 2.6% of DMI and TSS at 0.4% DMI can be fed to Gaddi goats to improve growth rate, FCR and microbial protein synthesis.

액화수소 운반선의 증발가스 재액화 비율에 따른 재액화 시스템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Assessment of Reliquefaction System According to Boil Off Gas Reliquefaction Rate of Liquefied Hydrogen Carrier)

  • 조욱래;이현용;류보림;강호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83-290
    • /
    • 2020
  • 액화 수소 운반선에서 증발가스의 발생은 불가피하며, 화물탱크 내부의 압력 문제를 피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이 증발 가스는 선박의 추진연료로 사용 될 수 있으며, 추진에 사용되고 남은 나머지 부분은 재액화 또는 연소시키는 등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 추진 시스템을 갖춘 160,000㎥ 액화 수소 운반선에 최적화된 증발 가스 재액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수소 압축 및 헬륨 냉매 섹션으로 구성되고, 화물탱크로부터 배출되는 증발가스의 냉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효율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공급 온도 -220℃인 수소 증발가스가 재액화 시스템에 들어가는 상태에서 증발가스의 재액화 비율에 따른 엑서지 효율 및 에너지 소모율 (SEC, Specific Energy Consumption) 분석을 통해 시스템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재액화 비율 20%에서 4.11kWh/kgLH2의 SEC와 60.1%의 엑서지 효율을 보여 주었다. 아울러, 수소 압축압력, 수소 팽창기의 입구온도, 공급 증발가스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였다.

윤충의 연속반복 수확을 위한 적정윤충접종밀도와 적정 Chlorella 농도에 대하여 (Optimal Density of Initial Inoculation of Rotifer and, Optimal Density of Chlorella for Sustainable Dai]y Harvest of Rotifer)

  • 문영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6-93
    • /
    • 1981
  • 어류 및 갑각류의 유생기 먹이로서 필요한 윤충을 배양함에 있어 일정기간동안 매일 매일 필요 일정양의 윤충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양을 매일 매일 일정기간동안 공급할 수 있도록 윤충을 배양할 수 있는가하는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3가지의 윤충 접종밀도로 먹이 생물인Chlorella의 농도가 다른 5종의 보험구에서 각각 10일간씩 배양하여 그 결과를 조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일간 증가속도가 가장 좋았던 윤충 접종밀도와 Chlorella농도에서 실험 배양하여 일간증가속도가 가장 높았을 때부터 매밀 1회 6일간 계속수확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윤충 Brachionus plicatilis의 접종밀도 10 inds./ml를 먹이 생물인 Chlorella sp. $3\times10^6\;cells/ml$에서 배양했을 때에 배양후 제7일에 일간증가량이 73.0 inds./ml/day로서 최대였다. 2. 상기 결과에 따른 1일 1회 연속수확실험 결과는 일간증가속도가 최대인 접종배양후 제7일부터 제12일까지 6일간 21 배양용기 10개에서 총 $8.52\times10^6\;inds.$를 하였으며 1일 평균 수확양은 21배양용기 1개당 $1.42\times10^5\;inds.$이었다. 3. 이러한 I일 1회 연속수확의 결과는 $2\sim3$개의 배양단위로 어류나 갑각류의 유생사육을 위한 먹이로서 윤충을 효과적으로 일정기간동안 공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4. 본 실험결과는 소형배양용기를 사용한 것으로 이 결과를 실제에 적용시키기 위하여는 보다 큰 배양용기륜 사용하여 실험해 볼 필요가 있다.

  • PDF

플라즈마를 이용한 상수원 이취미 및 독성물질 분해 연구 (Degradation of Taste-and-Odor Compounds and Toxins in Water Supply Source Using Plasma)

  • 조진오;김상돈;임병진;현영진;목영선
    • 공업화학
    • /
    • 제24권5호
    • /
    • pp.518-5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상수원의 이취미 및 독성물질 분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취미 물질로 지오스민(geosmin)과 2-methyl isoborneol (2-MIB)을 사용하였고, 독성물질로는 microcystin-LR (MC-LR), microcystin-RR (MC-RR), microcystin-YR (MC-YR), 그리고 anatoxin-a를 사용하였다. 플라즈마 반응기의 유입기체에 따른 분해 효율(반응시간 150 s 기준)은 지오스민의 경우 산소(100%) > 건조공기(96%) > 질소(5%) 순이었으며, 2-MIB의 경우에도 산소(100%) > 건조공기(94%) > 질소(2%) 순이었다. 이 결과는 이취미 물질이 주로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생성된 산화성 성분, 특히 수명이 긴 오존에 의해 분해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산소를 사용했을 때 지오스민과 2-MIB는 150 s 이내, microcystin류는 10 s 이내, anatoxin-a는 30 s 이내에 모두 분해되었다. 실제 호소수를 사용한 경우 증류수에서보다 이취미 및 독성물질의 분해효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Leucaena leucocephala and Gliricidia sepium Supplementation in Sheep Fed With Ammonia Treated Rice Straw: Effects on Intake, Digestibility, Microbial Protein Yield and Live-Weight Changes

  • Orden, E.A.;Abdulrazak, S.A.;Cruz, E.M.;Orden, M.E.M.;Ichinohe, T.;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659-1666
    • /
    • 2000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eucaena leucocephala (leucaena) and Gliricidia sepium (gliricidia) supplementation on intake, digestion, outflow rates, microbial protein yield and live-weight changes in sheep fed with ammoniated rice straw (ARS). In experiment 1, three rumen cannulated Japanese Corriedale wether (mean body weight of 35.6 kg) in $3{\times}3$ Latin Square Design were used. Animals were fed ad libitum ARS alone, or supplemented with 200 g of either leucaena or gliricidia. In experiment 2, twenty-four growing native Philippine sheep with average body weight of $13.5{\pm}0.25kg$ were us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and offered similar diets to those of experiment 1. Supplementation increased total dry matter intake and nutrient digestibility except for fiber (p<0.05) without affecting ARS consumption. Nitrogen balance revealed that absorbed and retained 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eucaena and gliricidia.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N utilization and more digestible OM intake brought about by the inclusion of leucaena and gliricidia to ARS resulted in increased (p<0.05) microbial N yield. Efficiency of microbial N supply in supplemented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higher (p<0.05) than the 24.92 g N/kg DOMR for ARS group. Liquid outflow rate was 7.8 and 6.8 %/h, while the solid phase of rumen digesta was 4.4 and 3.8 %/h for the leucaena and gliricidia group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5.30 and 2.50 %/h in the control diet. The increase in total DMI resulted to higher (p<0.01) growth performance and efficient feed utilization. Average daily gain (ADG) was 19.3, 34.6 and 33.9 g/d for the ARS, leucaena and gliricidia respectively.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addition of leucaena and gliricidia to ARS in could increase nutrient intake and digestibility, subsequently improving N utilization and livestock performance.

노린재류 접종시기와 밀도에 따른 단감 피해과율 (Damage of Sweet Persimmon Fruit by the Inoculation Date and Number of Stink Bugs, Riptortus clavatus, Halyomorpha halys and Plautia stali)

  • 이흥수;정부근;김태성;권진혁;송원두;노치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85-491
    • /
    • 2009
  • 단감에 피해를 일으키는 노린재의 피해양상을 밝히기 위해 접종시기별, 접종밀도별 피해과율을 조사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의한 피해과율은 접종밀도, 접종시기, 먹이조건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결과모지당 5마리 접종구에서부터 피해를 보이며 접종시기에서는 6월, 7월, 8월에는 피해가 적었으며 9월, 10월에 피해과가 많아졌다. 단감을 단일먹이로 한 것과 강낭콩과물을 제공한 먹이조건에서의 피해과율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의한 피해과는 흡즙흔적이 있는 식흔과로 남으며 흡즙에 의한 낙과증상은 없었다. 썩덩나무노린재는 7월, 8월, 9월의 접종시기별 피해과율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접종밀도에 따른 피해과율에 유의하게 차이가 있어 5마리 처리구에서는 7월의 경우 100%의 피해과율을 보였다. 갈색날개노린재의 접종시기에 따른 피해과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접종수준에 따른 피해과율은 1마리, 3마리, 5마리에서 각각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피해증상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달리 7월, 8월에는 피해를 받은 과일이 대부분 낙과되었으나 9월 이후의 피해과는 낙과되지 않고 식흔과가 많았다.

Characteristics of Rice Hulls, Sawdust, Wood Shavings and Mixture of Sawdust and Wood Shavings, and Their Usefulness According to the Pen Location for Hanwoo Cattle

  • Ahn, Gyu Chul;Jang, Sun Sik;Kwak, Hyung Jun;Lee, Sang Rak;Oh, Young Kyun;Park, Keun 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4호
    • /
    • pp.599-605
    • /
    • 2016
  •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Exp. I) of bedding materials such as rice hulls (RH), sawdust (SD), wood shavings (WS) and sawdust+wood shavings (S+W; 1:1 in volume), and utilization of these beddings except RH (Exp. II) for rearing beef cattle. In Exp. I,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 with $250{\mu}m$ and below $250{\mu}m$ was greater (p<0.05) in SD (30.4) than RH (4.4), WS (18.8) and S+W (20.1). Bulk density ($kg/m^3$) of bedding materials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percentage of $250{\mu}m$ and below $250{\mu}m$ particles, 178, 46, 112, and 88 for SD, WD, S+W and RH, respectively. Water absorption rate (%) after submersion in water for 24 h was higher (p<0.05) in WS (540.2) compared to SD (270.2), S+W (368.2). The S+W had an intermediate value of the absorption rate between SD and WS, but had an outstanding durability of water absorption capacity. Moisture evaporation rate (%) for 12 h was higher (p<0.05) in WS (75.4) than SD (70.5), S+W (72.2) and RH (57.8). Average ammonia emission ($mg/m^2/h$) for 36 h was higher (p<0.05) in RH (3.15) than SD (1.70), WS (1.63), and S+W (1.73). In Exp. II, thirty six Hanwoo cows were allocated in 9 pens with one side on feed bunk side (Side A) and another side equipped with water supply (Side B) for 3 weeks with duplicated periods. Average moisture concentrations (%) of beddings were higher (p<0.05) in WS (side A, 65.7; side B, 57.9) than SD (side A, 62.5; side B, 52.2) and S+W (side A, 61.6; side B, 50.7). Regardless of types of beddings, moisture concentrations (%) of beddings within a pen were lower (p<0.05) at side B than A, implying longer period of utiliz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using S+W would be a better choice than SD or WS alone, consideri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s, and RH is not a suitable material as a bedding for beef cattle.

농촌 환경ㆍ건강 지표의 변화 추이(2001~2010년) -농촌 거주 농업종사자와 비농업종사자의 비교- (Changes in Rural Health and Environmental Factors (2001-2010) A Comparis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Groups)

  • 이승교;황정임;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11
    • /
    • 2014
  • To verify welfare needs, rural health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compared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groups over the past 10 years. Based on a survey of rural life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hose sample included agricultural (72.8%) and nonagricultural (27.2%) groups, all factors were analyzed using SAS ( 9.3). For rural home heating, the use of oil boilers (77.2%-78.0%) decreased (53.0%-53.7%) over the same period, whereas that of electric boilers increased (21.9% and 13.5% for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groups, respectively). The joint water- supply increased, and the use of flush toilets (52.4% to 84.5% in the agricultural group and 64.6% to 81.4% in the nonagricultural group) and hot-water bathing was higher in the agricultural group (79% to 92.6%) than in the nonagricultural group (72.2% to 87.6%) at the p<0.001 level. Incineration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household waste until 2006, when it was replaced by other treatment methods such as the pay-per-treatment option (44.4% and 68.3% in the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groups, respectively) (p<0.001). Garbage disposal in 2001 was mainly burial or animal feed, but separate collection increased in 2010 (42.2% and 64.3% in the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groups, respectively) (p<0.001). The self-perception of health was lower in the agricultural group than in the nonagricultural group (2.96 to 2.74 on a five-point scale in the agricultural group and 3.07 to 2.98 in the nonagricultural group). Drinking decreased less in the agricultural group (criteria: one point once a week,; 1.48 to 1.20) than in the nonagricultural group (1.13 to 0.80) at p<0.001, and a similar pattern was found for smoking (p<0.001). Health screening decreased in the last 10 years (scoring based one point/1-2 times per year,: 0.94 to 0.64 in the agricultural group and 1.08 to 0.69 in the nonagricultural group;p<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rious health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less favorable to farmers except for bathing in comparison to nonagricultural living in the same area. This suggests that people in agriculture are less likely to live and work in favorable environments than those outside the sector and thus indicates a need for more attention to the national health welfare system for farmers for systematic realization.

철 결핍 빈혈 영.유아의 수유 형태 및 이유 지식 평가 (Weaning Food Practice and Assessment in Children with Iron Deficiency Anemia)

  • 김부영;최은혜;강성길;전용훈;홍영진;김순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215-220
    • /
    • 2009
  • 목 적: 최근 모유수유의 장점이 알려지며 모유수유 아들이 늘고 있다. 이유기 영유아의 가장 흔한 영양장애인 IDA (Iron deficiency anemia)가 모유수유아와 다른 형태의 수유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알아보고 IDA와 대조군의 이유식 진행 상황 및 이유지식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2006년 3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인하대병원에 내원한 6~24개월의 영유아 중 IDA를 진단받은 70명과 IDA가 없는 140명의 보호자에게 수유 형태, 이유식 진행 상황 및 이유지식을 묻는 설문을 시행하였다. IDA군의 자료와 함께 IDA가 없는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IDA군은 IDA가 없는 군에 비해 이유식을 늦게 시작하며 IDA군에의 모유수유아 비율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모유수유군은 다른 형태의 수유군에 비해 의미 있게 늦은 6.4개월에 이유식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식을 완성하기 까지 58.1%가 1개월 정도 걸렸으며 4개월 이상 걸린 경우도 19.8%나 되었다. 이유 지식 정도에서 두 군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2). 결 론: 생후 6개월경에 체내 저장철이 떨어지며 철의 요구량이 급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영유아가 이유식에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초기 이유식 내에는 철분 함량이 적으므로 이 시기 철분 필요량을 충분히 공급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IDA 또는 철결핍을 예방하기 위해 이유식을 좀 더 일찍 권장 해 6개월에는 체내 필요량만큼의 철분이 공급될 수 있게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