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ure space

검색결과 1,357건 처리시간 0.028초

복식조형의 공간적 특질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Spatial Property of Dress Modeling-I)

  • 김혜연
    • 복식
    • /
    • 제38권
    • /
    • pp.31-49
    • /
    • 1998
  • This study is the primary basic study about the spatial feature of modeling of Fashion Design. Then, this researcher lays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the basic system about the character of dress and its ornaments as modeling in spatial-formal, dimension, examining the feature of modeling closely through perception principle and offering the basic principle to plan and organize the modeling space for dress and its ornaments on the basis of it. To generalize the findings is as follows : First, the spatial system of modeling for dress and its ornaments is made with 3 elements such as space, human beings and dress and its ornaments. Second, the form of dress and its ornaments and the spatial organization start from the structural basis which is human body, and the sensible system of body is made through inter-action, but the aesthetic expression is complet-ed by the moment of body. Third, the characteristic principle of model-ing for dress and its ornaments which was suggested in Chapter IV is based on the visuo-per-ceptional modeling experience, and these thinking contents are inputted in cognition course as the invisible in formation in the new space plan and organization and activate the apperception course and aim at the action about aesthetic judgement.

  • PDF

대구시 소재 어린이집 공간에 관한 실측조사 (A survey on space feature of day care center in Taegu city)

  • 안옥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5-4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ace feature of day care center in Taegu cit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means of the observation on the equipments, the actual measurement of space of day care center and environment,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by the chief of day care center. The samples for analysis were 20 day care center located in Taegu cit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chief's satisfaction of the facilities of day care center was generally low. 2) The door design, the lighting conditions, and the toilet need to be improved. 3) According to observation on the equipment, it was suggested that the environment of day care center was not desireable.

  • PDF

인터넷상의 동영상에서의 물체 특징 점 탐지 및 추적 (Feature Point Detection and Tracking of Object in Motion Image on Internet)

  • 임인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49-156
    • /
    • 2005
  • 전파를 이용한 통신이 활성화 되어 인터넷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현실에서 통신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물체의 특징 점 탐지 및 추적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본 논문은 전파가 미치지 않는 음영 공간의 탐지와 추적을 위한 연구의 내용으로, Snake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영 공간을 탐지하고, 탐지된 음영 공간 내에서 어느 한 출발 지점에서 목표 지점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시스템의 기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Raman Scattered Ne $VII{\lambda}4881$ in the Symbiotic Star V1016 Cygni

  • Lee, Hee-Won;Heo, Jeong-Eun;Lee, Byeongcheol
    • 천문학회보
    • /
    • 제39권1호
    • /
    • pp.83.2-83.2
    • /
    • 2014
  • We present the two high resolution spectra of the symbiotic star V1016 Cygni obtained with the Bohyunsan Optical Echelle Spectrograph in 2003 and 2005, from which we note the existence of the broad emission feature at 4881 ${\AA}$. We propose that this broad feature is formed from Raman scattering of Ne $VII{\lambda}973$ by atomic hydrogen. Thus far, the detection of Raman scattered lines by atomic hydrogen is limited to O $VI{\lambda\lambda}1032$, 1038 and He $II{\lambda\lambda}940$, 972 and 1025. We perform Monte Carlo simulations to fit the Raman scattered Ne $VII{\lambda}4881$ to investigate the basic spectroscopic properties concerning Ne $VII{\lambda}973$.

  • PDF

라그랑지 기법을 쓴 영 공간 기반 선형 판별 분석법의 변형 기법 (Transformation Technique for Null Space-Based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with Lagrange Method)

  • 호우위시;민황기;송익호;최명수;박선;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2호
    • /
    • pp.208-212
    • /
    • 2013
  • 부류안 분산 행렬의 특이성 때문에 선형 판별 분석은 작은 표본 크기 문제에 쓰기에 알맞지 않다. 이에 선형 판별 분석을 확장하여 작은 표본 크기 문제에서 좋은 성능을 갖는 영 공간 기반 선형 판별 분석이 제안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라그랑지 기법을 바탕으로 하여, 영 공간 기반 선형 판별 분석을 써서 특징을 추출하는 문제를 선형 방정식 문제로 바꾸는 과정을 제안하였다.

얼굴과 얼굴 특징점 자동 검출을 위한 탄력적 특징 정합 (A flexible Feature Matching for Automatic Face and Facial Feature Points Detection)

  • 박호식;배철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05-711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자동적으로 얼굴과 얼굴 특징점(FFPs:Facial Feature Points)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얼굴은 Gabor 특징에 의하여 지정된 특징점의 교점 그래프와 공간적 연결을 나타내는 에지 그래프로 표현하였으며 제안된 탄력적 특징 정합은 모델과 입력 영상에 상응하는 특징을 취하였다. 또한, 정합 모델은 국부적으로 경쟁적이고 전체적으로 협력적인 구조를 이룸으로서 영상공간에서 불규칙 확산 처리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하였으며, 복잡한 배경이나 자세의 변화, 그리고 왜곡된 얼굴 영상에서도 원활하게 동작하는 얼굴 식별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서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증명하였다.

상대거리-곡률 특징 공간을 이용한 형태 기술 및 인식 (Shape Description and Recognition Using the Relative Distance-Curvature Feature Space)

  • 김민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5호
    • /
    • pp.527-534
    • /
    • 2005
  • 영상에 회전이나 크기 변형이 가해지면 영상을 구성하는 점들의 좌표값들이 변경되어 형태 기술 및 인식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영상을 구성하는 점들 간의 위치관계나 무게중심과의 위치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x-y 좌표계로 기술되는 영상 공간의 점들을 회전 및 크기 변형에 불변하는 새로운 좌표계로 사상할 수 있다면, 형태 기술 및 인식의 문제는 보다 수월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공간의 점들을 회전 및 크기 변형에 무관한 새로운 특징 공간으로 사상하여 형태를 기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징 공간을 나타내는 새로운 좌표계는 무게중심으로부터의 상대거리와 윤곽선 세그먼트 곡률을 두 축으로 하는 직교 좌표계이다. 상대거리는 윤곽선 상의 임의의 한 점이 무게중심에서 얼마나 멀리 벗어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윤곽선 세그먼트 곡률은 세그먼트의 굴곡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특징 공간에 사상된 점들의 형태 기술은 메쉬 특징을 통해 이루어진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형태 기술 방법이 회전 및 크기 변형에 강건함을 확인하였다.

다차원 특징 공간에서의 효울적 패턴 분할 기법 (An Efficient Pattern Partitioning Method in Multi-dimensional Feature Space)

  • 김진일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833-84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다차원 특징 공간에서 퍼지규칙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해 다차원 공간을 효과적으로 패턴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패턴 공간의 순차적 재분할(sequential subdivision)에 기초하며, 생성된 패턴 부공간의 크기는 불규칙하다. 제안된 방법에서 최초의 n차원 패턴 공간은 패턴의 분포 특성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2개의 부공간으로 분할된다. 이 부공간중 재분할할 패턴 공간이 선택되고, 이 재분할은 중지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재귀적으로 반복된다. 본 제안의 결과는 인공위성 Landsat TM을 사용한 2,4,7번 밴드의 다중분광 이미지에 적용시켰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점진적 특징 가중치 기법을 이용한 나이브 베이즈 문서분류기의 성능 개선 (Improving Naïve Bayes Text Classifiers with Incremental Feature Weighting)

  • 김한준;장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5B권5호
    • /
    • pp.457-464
    • /
    • 2008
  • 실제 운용 환경에서 자동문서분류시스템의 성공을 위해서 충분하지 못한 학습문서의 문제와 특징 공간들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상황을 해결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런 맥락에서 많은 자동문서분류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나이브 베이즈 문서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는 기존 학습된 분류모델과 특징 공간을 점진적으로 갱신함으로써 분류모델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징 가중치를 이용하여 문서분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본 아이디어는 문서분류 모델의 인자로서 특징들의 분포뿐만 아니라 각 특징들의 중요도를 반영하는 것이다. 속성 선택을 미리 수행하여 학습모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속성 중요도를 나이브 베이즈 학습 모델에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동적 환경에서 점진적인 특징 가중치 부여를 위해 기존의 특징 갱신 기법을 확장한 알고리즘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을 평가하기 위해서 Reuters-21578과 20Newsgroup 문서집합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여, 제안된 기법이 전통적인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킴을 증명한다.

다양한 색공간 정보를 이용한 눈 영역의 특징벡터 생성 기법 (A Technique of Feature Vector Generation for Eye Region Using Embedded Information of Various Color Spaces)

  • 박정환;신판섭;김국보;정종진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4권1호
    • /
    • pp.82-89
    • /
    • 2015
  • The researches of image recognition have been processed traditionally. Especially, face recognition technology has been received attractions with advance and applied to various areas according as camera sensor embedded into many devices such as smart phone. In this study, we design and develop a feature vector generation technique of face for making animation caricatures using methods for face detection which are previous stage of face recognition. At first, we detect both face region and detailed eye region of component element by Viola&Johns's realtime detection method which are called as ROI(Region Of Interest). And then, we generate feature vectors of eye region by utilizing factors as opposed to the periphery and by using appearance information of eye. At this point, we focus on the embedded information in many color spaces to overcome the problems which can be occurred by using one color space. We propose a feature vector generation method using information from many color spaces. Finally, we experiment the test of feature vector generation by the proposed method with enough quantity of sample picture data and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for factors of estimating performance such as error rate, accuracy and generation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