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her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19초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오리의 도체중량 분포 및 도체품질 현황 (Current State of Carcass Weight Distribution and External Quality from Domestic Product Duck)

  • 강근호;채현석;박범영;조수현;성필남;정석근;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6-272
    • /
    • 2011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오리의 도체중량 및 도체품질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총 419,164수의 오리 도체중량을 분석한 결과, 평균 2,164.4 g, 최빈값은 2,000 g, 중위수는 2,200 g 및 사분위 범위는 300 g이었다. 오리 생체중량 구간별 도체수율은 평균 70.1% 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도체의 외모 불량률은 28.4%, 외관손상 발생률은 4.8%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색 발생률은 34.1% 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다리살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오리 도체표면의 잔모제거 불량률은 평균 44% 수준으로 도체중량 2.15 kg 미만일 때 전체 불량률의 약 8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리 생체중량으로 환산할 경우 약 3 kg 내외가 된다. 오리 도체의 탈골(골절) 발생률은 평균 9.91% 수준으로 대부분 날개 부위와 다리 부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리 가슴살의 지방함량은 도체중량 2.3 kg 구간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오리 생체중량으로 환산할 경우 약 3.28 kg 내외가 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리의 출하체중은 최소 3 kg 이상은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피볼락(Sebastes schligeli)에 있어 사료내 단백질 사료원으로서의 어분대체품 (Fish Meal Analog as a Dietary Protein Source in Kor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김강웅;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3-151
    • /
    • 1997
  • 본 연구는 조피볼락 사료에 있어서 어분대체품을 결정하고, 상품어분대체품과 유인물질의 첨가 효과를 통하여 조피볼락용 어분대체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도 사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사료는 조단백질 52%로, 가용성 에너지 16.8 KJ/g으로 설계되었고, 주단백질원으로 북양어분, 어분대체품 및 상품어분대체품을 사용하였다. 사료의 성분조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사료1, 100%FM (control) ; 사료2, 60%FM : 40% CFMA ; 사료3, 60%FM : 40% CFMA+ATT ; 사료 4, 80%FM : 20% FMA ; 사료5, 80% FM: 20%FMA+ATT : 사료 6, ; 사료6, 60%FM : 40%FMA+ATT; 사료7, 40%FM : 60% FMA+ATT. 어분대체품은 혈분(BM), 오징어간분(SLP), 육골분(MBM), 수지박(LM), 가금부산물(PBP), 우모분(FM), 필수아미노산(Met, Lys, Ile) 등을 적절히 배합하여 제작 사용하였다. 성장률, 사료효율, 일간성장률 및 단백질효율에 있어서 사료 1은 사료 4, 사료 5 및 사료 6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나머지 실험구들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특히, 상품어분대체품(CFMA)인 사료 2와 사료 3은 실험사료로 제작된 동일한 수준의 사료 6과 비교하여 성장률, 사료효율, 단백질효율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0.5% 유인물질을 첨가한 사료 3과 5는 사료 2와 4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P>0.05), 간중량지수, hemoglobin 및 비만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따라서, 조피볼락에 있어서 어분대체품(FMA)으로 어분단백질을 40%정도 대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족두리에 관한연구 (A Study of CHOK-DU-RI)

  • 홍나영
    • 복식
    • /
    • 제43권
    • /
    • pp.243-258
    • /
    • 1999
  • This is a study of CHOK-DU-RI(族頭里) a black crown-like headpiece worn by woman on formal occasion in Chosun Dynasty and has succeeded until now. CHOK-DU-RI was originated by BOKTAK worn by Mongolian noblewomen and inflowed to the last period of Koryo dynasty under occupation of Yuan. The documentary records of O-JU-YON-MUN-CHSNG-JON-SAN-KO( by Lee Kyu-kung CHUNG-JANG-KWAN-JON-SUH by Lee Tock-mu and KO-SA-TONG by choe Nam-sun verify CHOK-DU-RI is a custom of mongolian fusion that was affected by KO-KO of Yuan and was formed. Ko-Ko is the same as BOKTAK. It is assumed KO-KO is a borrowed name as its transcription varies. The name was given according to its appearance which is certified by the record CHANGCHUN-CHIN-IN-SEO-BANG-YU-RAM-KI. It says that it can be simply named KO-KO as its edge is alike ad goose or a duck. In addition KO-Ko was called CHOGTAI in case of being added a camel fur that is JUGDUR. CHOGTAI similarily pronounced with CHOK-DU-RI which of being added a camel fur that is JUGDUR, CHOGTAI similarily pronounced with CHOK-DU-RI which provd CHOK-DU-RI was originated in Mongol. The shape of BOKTAK is very high and wided toward the top with the top with the angle getting more pointed and a feather stuck on the side. But its height got lower and its size smaller as it did gradually Koreanized to a CHOK-DU-RI. The use of CHOK-DU-RI has been settled since the last period of Chosun Dynasty. It came to stay as a popular custom when King Young-jo and Jong-jo wanting to do away with the corrupt practice of KA-CHE encouraged women at that time to do their hairs with CHOK-DU-RI instead of KA-CHE. It is as follows the classification of CHOK-DU-RI. First classified by a use group is divided into ceremonial use such as the seven treasures CHOK-DU-RI and jeweled CHOK-DU-RI. Hereby it is assumed that CHOK-DU-RI was used regardless of fortune. Secondly it varies by its type of frame. There are SOM CHOK-DU-RI OHT CHOK-DU-RI and O-YOM CHOK-DU-RI a kind of SOM CHOK-DU-Ri formed a base of O-YOM-MO-RI. The third group by jeweling has WHE-BONG CHOK-DU-RI and TA-BONG-CHOK-DU-RI JEwele CHOk-DU-RI can be still seen being commercially lent and worn by the brides at nuptical ceremonies performed in tradition of fashion and when worn bya bride as she gives her parents to her parents-in-law.

  • PDF

갑골문(甲骨文)과 금문(金文)의 고대(古代) 관모(冠帽) 고찰(考察) (The Study of Ancient Hat on The Oracle Bone Inscription and Bronzeware Script)

  • 김진선;조우현
    • 복식
    • /
    • 제67권2호
    • /
    • pp.101-115
    • /
    • 2017
  • Ancient documents, characters, and relics are the utmost important materials when it comes to researching ancient clothing. Of these, the ancient characters explain the contents of the time, which makes it an objective historical record. China has hieroglyphics, such as oracle bone inscription and bronzeware script, which existed in Sang[Eun] Ju era. This character is formed by a simple line and detailed drawing, showing the object or the concrete form and characteristics, so the reader can understand the meaning. Oracle bone inscription and bronzeware script, which are written in pictograph, include contents that help to grasp the original shape and form of ancient official hats. Chinese characters Geon(巾, 건) Byun(㝸, 변) Myun(免, 면) Mo(冒, 모) Ju(冑, 주) and Kwan(冠, 관), which are the names of the official hats, have been researched, and Mi(美, 미) Ryung(令, 령) Wang(王, 왕) and Hwang(皇, 황), which are the characters related to the official hats, have been studied. Geon(巾, 건) switched its form from shape of material around waist to wraping wearer's head. Byun(㝸, 변) is a hat with decoration, and Myun(免, 면) is in form of a helmet with ornaments. Mo(冒, 모) in bone script looks like a hat with decorations on each sides, but in bronzeware script, it is more like a simple round hat Ju(冑, 주) covers one's head and has decorated ornaments, and The Kwan(冠, 관), which is now a common name of official hats, is not shown in oracle bone inscription or bronzeware script, It might have been used later than the other two types of hats. As for the related Chinese characters, Mi(美, 미) is in the shape of a feather decoration, Ryung(令, 령) is similar in shape to the letter 'A', and Wang(王, 왕) is in shape of simple hat from 령 with decorations. Hwang(皇, 황) is like a Wang(王, 왕) hat, but with fancier decorations. Oracle bone inscription and bronzeware script show the original form and shape of ancient hats.

비둘기 깃털을 이용한 납 오염 모니터링 (The Use of feral Pigeon's (Columba livia) Feathers as a Monitor for Lead Pollution in Korea)

  • 남동하;이두표;구태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3-238
    • /
    • 2002
  • 비둘기 깃털을 이용하여 섬지역(경기도 덕적도), 도심지역(서울), 공단지역(여천, 안산, 울산, 부산)의 납 오염 수준을 모니터링 해본 결과, 깃털의 평균 납 농도는 섬지역이 2.55 $\mu\textrm{g}$/wet g, 도심 지역이 4.99 $\mu\textrm{g}$/wet g, 공단지역이 3.08~9.01 $\mu\textrm{g}$/wet g, 으로 각 지역간에 유의한 농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다만, 여천 공단의 경우 다른 공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섬지역과 비슷한 수준의 납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각 지역간 깃털의 납 농도는 대기오염 농도와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납 농도가 비교적 낮은 덕적도와 여천 공단의 경우 간과 깃털 조직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p<0.05) 그외의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간 농도에 비해 깃털의 농도가 높았으며, 두 조직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덕적도와 여천 공단지역의 깃털 중 납의 대부분은 체내 조직으로부터 깃털로 이행되어진 것으로 판단되지만, 그 외 지역에서는 체내 조직에서 깃털로 이행된 양보다는 외부로부터 깃털에 부착된 양이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헤어스타일의 웰빙 경향 (Tendency of Well-Being in Hair Styles)

  • 하경연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1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well-being, the emerging well-being culture, and the phenomenon and features of the hair beauty affected by i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dissertations written between 199a and 2002, copies of the beauty journal Short Hair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03, beauty newspapers published between March, 2003 and June, 2004, and relevant Internet sites. When we review the well-being hair style tendency, we may be reminded of a light shaggy cut style with a thick wave volume or a natural wave highlighted, or a natural style with a natural color rendered by the braid technique. The well-being hair styles may be inspired by such natural images as the earth, sand, rock, wind, feather and flowers, while using cut, permanent wave or coloring technique for the hairs, in order to create new hair styles. The goal is to make men in contact with the nature. Meanwhile, as people are more concerned about diverse hair textures, natural and healthy hairs, they want their hairs to look comfortable and active rather than luxurious. The well-being cut styles may be categorized into cut style highlighting healthy hairs with a Bobos luxury and soft and light stroke cut reminiscent of a Bohemian freedom. The well-being permanent style may be divided into thick wave, natural wave, and the permanent style using a strong wave to make hairs look bloated. The hair colors reminding us of some natural images are used to highlight a well-being image. In addition, the concept of well-being pursuing a happy and healthy life has been being introduced into the permanent wave material liquids; such liquids made from natural materials, fruits or herbs increase, while environmental-friendly liquids or materials are used more for healthy hairs. The reason why the well-being culture influences hair styles importantly may be that people's desire of healthy body and mind and a comfortable life is reflected in hair styles. In conclusion, as the hair styles or an index for a new cultural current in our modern age are influenced by the well-being phenomenon, more and more people will put priority on healthy hairs.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apply the well-being hair styles appropriately to render satisfactory hair styles.

  • PDF

한국 재래계의 유전자 지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NA Fingerprint for the Korean Native Chicken)

  • 여정수;정태완;한재용;최창본;김재우;정선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9-216
    • /
    • 1993
  • 본 연구는 다가오는 농축산물 수입개방의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 고유의 맛을 지닌 순수한 재래계의 식별 유지 및 개량하기 위한 과학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재래계 및 수입계인 백색 Leghorn종을 line별로 유지하면서 경제형질 (체중, 초산일령, 산란을, 난중)과 표현형 특이성 (체형, 두부, 깃털, 정강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최첨단 기법인 유전자 지문 기법을 도입하여 재래계와 수입계의 DNA에 대한 유전자 지문을 실시하였다. 재래계의 경제형질에 있어서 체중은 산란계 품종인 White Leghron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고, 초산일령 및 최고 산란기는 수입계보다 다소 늦었으며 평균 산란율 역시 수입계에 비해 다소 떨어졌다. 재래계의 난중은 수입계에 비해 약 10g 정도 가벼웠다. M13mp18 single-stranded DNA를 probe로 사용한 유전자 지문에서, 재래계는 4.4kb와 4.9kb에서 수입계는 10.6kb와 12.4kb에서 품종 고유의 구분이 확실한 다수의 band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고유의 유전자원인 재래계의 유전자 지문을 수입계의 유전자 지문과 식별할수 있는 것으로 개발하였으며, 향후 이 기술을 이용해서 구체적인 재래계의 유지 및 개량에 대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인천지역 백화점 유통 계란의 위생적 품질상태 (Hygienic quality of eggs in the department food stores in the Incheon Metropolitan area)

  • 이성모;김경호;이정구;박은정;이승환;홍종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9-136
    • /
    • 2002
  • 본 조사는 계란 유통실태 및 위생상태를 파악하여 품질향상과 위생관리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2001년 3~4개월에 인천광역시 5개 백화점 식품매장에서 총 57종의 계란을 구입하여 조사하였다. 계란의 포장은 10개 이하의 소량 단위포장 비율이 높았고, 전 품목을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유통기한은 40종(70.2%)이 28일 이상으로 표기하였다. 유통되는 특수란은 31종(54.4%) 이었다. 유통기한과 산란일자는 모든 품목에서 표시되었으며 주로 상표나 난좌에 표기되었다. 내용량에 대한 표시는 38종(66.6%)만이 실시하였다. 난각에 분변이나 털이 있는 경우 27건(9.5%), 난각이 기형이거나 깨진 경우 11건(3.9%), 난 내용물에 혈반이나 육반등의 이물이 있는 경우는 42건(14.7%), 상한 계란은 5건(1.8%)이 유통되었다. Haugh Unit(HU)검사결과 평균은 56.1이었으며, HU 31 미만의 품질저하 계란은 18개(6.3%)이었고,총 57종 중 12종(21.1%)에서 1개 이상의 품질저하 계란이 조사되었다. 난각의 일반세균 오염수준은 <10-8.2$\times$$10^3$cfu/ml로 고르게 분포하였고, 대장균은 8건(4.7%)이 검출되었다. 총 28개의 계란(난황)에서 Salmonella enteritidis는 검출되지 않았고, 계란에 잔류하는 항생물질은 1종에서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이 검출되었다. 그 동안 위생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계란에 대한 품질관리와 유통개선을 위한 법적,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면, 계란의 표시 및 품질기준 등 사양관리에서부터 유통단계에 이르는 전반적인 안전성 관리방안이 검토되고 보완되어야할 것이다.

정제 봉독의 급여가 육계의 혈청성상, 항산화능 그리고 간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etary Bee Venom on Serum Characteristic, Antioxidant Activity and Liver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iler Chickens)

  • 김다혜;한상미;최윤상;강환구;이홍구;이경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9-46
    • /
    • 2019
  • 본 연구는 사료 내 첨가된 봉독이 육계의 혈청 성분, 항산화능 및 간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Ross 308 1일령 육용종 수평아리를 공시하여, 5개의 처리에 7 반복으로 반복 당 25수씩, 총 875수를 완전임의배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초사료는 옥수수 및 대두박 위주의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정제 봉독을 기초사료에 $10{\mu}/kg$, $50{\mu}/kg$, $100{\mu}/kg$, $500{\mu}/kg$ 수준으로 첨가하여 5주간 급여하였다. 실험 21일차에 펜당 1수의 육계를 $CO_2$가스로 안락사시킨 뒤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혈액지표와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간 샘플을 채취하여 간 내 malonaldehyde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사료 내 봉독 첨가는 triglyceride와 NEFA를 제외한 나머지 혈청 성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봉독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간 내 지방산의 불포화 지방산(palmitoleic acid, ole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은 감소하였으나(quadratic, P<0.05), 간 내 stearic acid 함량은 반대로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간 내 MDA 함량은 봉독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육계 사료 내 봉독 첨가는 항산화능을 높이고, 지방산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끼를 활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개발 및 이끼별 공기정화 능력 평가 (Development of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moss and evaluation of air purification capability for each moss)

  • 안도현;최현우;이종민;허성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1-28
    • /
    • 2022
  • 미세먼지는 대기를 타고 호흡기를 거쳐 폐 혹은 혈관에 침투한다. 최근 미세먼지 문제 때문에 국내에 공기청정기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끼는 가장 오래된 지상식물로 중금속과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본 연구진은 이를 활용하여 화학적 필터를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끼와 기존 화학적 필터(Hepa)의 미세먼지 감소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1 m3의 큐브를 제작하고 통제된 환경하에서 미세먼지의 감소량을 비교하였다. 미세먼지 상황 하에서 우산 이끼 필터, 쥐꼬리 이끼 필터, 깃털 이끼 필터, 비단 이끼 필터 등을 삽입한 4가지 상황별로 각각 10회씩 총 40회의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미세먼지 감소량을 비교한 결과 미세먼지 양과 30분후의 감소량의 차이는 모든 필터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필터별 차이는 확인 결과 미세먼지, 혼합 가스, CO2, O2 모두 필터별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존에 알려진 이끼의 산소 발생의 효과는 거의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이끼의 종류와 관계없이 미세먼지 감소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향후 개선을 통해 기존 공기정화기의 화학 필터를 대체하거나 보조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