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sibility of Forest Land Conversion to Other Us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산지전용타당성조사제도에서 산림파편화지수의 고려방안 연구 (Feasibility of Forest Land Conversion to Other Use by Considering Forest Fragmentation)

  • 김민아;최재용;이상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3-6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s of the forest fragmentation caused by development project. Furthermore,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landscape indicator when 'Feasibility of forest land conversion to other use' is conducted. The study site was consisted of golf course development and road construction. It is to compare before and after impacts of areal and linear development. As for the methods, selecting landscape indices, clustered into 3 Categories have been utilized. Category I was concerned with 'size of forest patches', II as 'shape of forest patches', and III as 'Core Area' These were calculated by FRAGSTATS, the program for analyzing fragmen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linear development caused more fragmented than areal development projects. Also, patch size, patch shape and core area are related to impacts of development, while Patch size decreased, patch shape and core area increased after develo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impacts of forest by considering fragmentation when development project is planned.

중요도-성취도분석을 통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연구 (A Study on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System by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민수희;정윤희;주우영;장효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9-39
    • /
    • 2016
  •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자연친화적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을 위해 운영되는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를 활성화하고자 제도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업무관계자를 대상으로 제도개선 설문조사를 실시해 제도의 개선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산지경관영향검토서 작성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유사제도의 운영지침을 비교하고, 실제 산지전용을 위해 제출된 경관영향검토서를 분석하였다. 또한 관계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성취도(IPA) 분석을 실시하여 산지경관영향 검토서의 효율적 작성과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활성화를 위한 우선 개선항목 도출과 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IPA 분석결과, 산지경관영향검토서의 효율적 작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적 맥락을 고려한 산지경관 자원조사', '객관적인 조망점 선정'과 '경관영향 훼손 검토기준의 구체화' 항목이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경관영향검토서 작성 검토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제공'이 우선 개선되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유사 경관심의 및 경관영향검토제도와의 차별화 및 연계'를 통해 산지경관의 고유성과 경관적 특성을 고려한 경관영향검토 기능의 강화와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