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alcohol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4초

재래종연초의 화학특성에 미치는 질소시비량 및 재식밀도의 영향 (Effects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Chemical Properties in Korean Native Tabacco Varieties)

  • 정형진;김길웅;박수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88-295
    • /
    • 1989
  • 우리나라 재래종중 내용성분 면에서 바람직한 향끽미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향초를 대상으로 질소시비량 및 재식밀도가 향끽미 물질에 미친 영향을 구명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질소화합물의 함량은 재식밀도가 높아지면 감소하였으나 지방산 함량은 증가하였다. 혈당 3주 재배시 2, 3-methylbutanoic 산과 3-methylpentanoic 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solanone, furfural, furfurylalcohol, benzyl alcohol 등과 같은 중성부의 성분들은 대부분 밀식구에서 함량이 증가되었다. 질소의 증비(3∼12kg/10a)에 따라 수량은 증가하였고, 전당, 전분, 지방산 등의 함량은 감소하고, 알카로이드 함량은 2.0%에서 3.3%로 증가하였다. 2, 3-methylbutanoic 산과 3-methylpentanoic 산 함량은 질소의 증비로 감소하였으며 butanol, furfutal, furfuryl alcohol, hexanol, cinnamil, acetophenone, benzyl acetate 및 solanone 등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 PDF

등줄숭어의 알, 근육 및 내장의 지질조성에 관한 연구 (Lipid Composition of Roe, Muscle and Viscus of Liza Carinata, a Species of the Mugilidae Family)

  • 조용계;이경희;조연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74-682
    • /
    • 1988
  • 등줄숭어의 알, 근육 및 내장 지질의 지질 조성과 각 지질 분획의 알콜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지질 함량은 알에 18.5%로 제일 많았고, 내장에는 8.5%, 근육에는 4.4%로 제일 적었다. 알의 지질 조성은 매우 특이하여 왁스 에스텔이 63.1%로 제일 많았으나, 트리글리세리드는 9.9%에 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근육 지질의 경우는 트리글리세리드가 66.1%로 제일 많이 검출되었으나, 왁스 에스텔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내장 지질에도 왁스 에스텔이 32.8%나 검출되었다. 알콜 조성을 보면 세칠알콜(C16 : 0)이 알과 내장 왁스 에스텔의 중요한 성분으로 각각 53.0%, 61.7%였으며, 그 다음으로 주요한 알콜은 알의 경우는 올레알콜(C18 : 1), 팔미토올레알콜(C16 : 1) 및 스테아르알콜(C18 : 0)이, 내장의 경우는 펜타데카놀(C15 : 0), 스테아르알콜 이였다. 또 두 왁스 에스텔에는 C15 : 0, C15 : 1, C17 : 0, C17 : 1, C19 : 0 및 C19 : 1과 같은 기수 알콜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알과 내장의 왁스 에스텔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토올레산, 올레산 및 ???l타데카모노엔산과 같은 모노엔산이(49.7-56.6%)로 제일 많았으며 아이코 사펜타엔산도 상당히 함유(12.2%, 10.1%)되어 있었다. 또 알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고도 불포화지방산 함량(28.4%)은 근육, 내장의 그것보다(19.4%, 19.2%)보다 훨씬 높았으나, 스테아르산, 팔미트산과 같은 포화지방산 함량은 근육, 내장의 그것보다 약간 낮았다. 알의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근육의 그것과 비슷하여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약 50%로 내장의 34.2% 보다 훨씬 높았다. 근육에 있어서 유리지방산 조성이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과 흡사한 것으로 보아, 이 유리지방산은 인지질의 가수분해물로 생각된다.. 젓갈의 pH도 숙성기간중 서서히 증가되었다.13{\sim}126Kcal/mol$로 감소하였으며, 동결속도 $-0.5^{\circ}C/min$하에서 동결에 필요한 최소 활성화에너지는 126Kcal/mol, 최대 활성화에너지는 270Kca1/mo1 이었다.$C_{22:6}$ 등이었다. 제품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진공포장함으로서 저장중 지질산패, 갈변 등 품질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었다.>가 20mM, $Na_2SO_3{\cdot}7H_2O$가 15mM 그리고 $NaHSO_3$가 25mM로 나타났다., 수원(水原)19호(號)와 제천옥(堤川玉)에서는 linole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당지질(糖脂質)의 구성지질성분(構成脂質成分)은 MGS, MGC 그리고 MGDG를 함유(含有)하며, MGS와 MGC는 진주옥(晋州玉)에서 가장 높은 반면에, 횡성옥(橫城玉)과 제천옥(堤川玉)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9) 총지질(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oleic, palmitic, linoleic그리고 heptadecanoic acid가 주성분(主成分)을이루고, 진주옥(晋州玉)에서 oleic acid가 가장 높은 반면에 heptadecanoic acid는 가장 낮게 나타났고, 제천옥(堤川玉)에서는 이와 반대(反對) 경향(傾向)을 보였다. 10) 순지질(燐脂質)의 구성지질성분(構成脂質成分)은 PI 및 PC를 함유(舍有)하며, 횡성옥(橫城玉)과 황옥(黃玉) 3호(號)에서 PI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11) 순지질(燐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palmitic, heptadecanoic 그리고 oleic acid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횡성옥(橫城玉)에서 oleic acid가 가장 높은 반면에, heptadecanoic acid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I.

  • PDF

한국 성인의 지방산 섭취와 복부비만 및 고혈당과의 관련성 -1998~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Fatty Acids Intake and Its Association with Abdominal Obesity and Hyperglycemia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1998~2007)

  • 박용순;박효진;원선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7-162
    • /
    • 2012
  • Abdominal obesity is an important factor of metabolic syndrome and is known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tty acid intake pattern as well as the association between fatty acid intake and abdominal obesity and hyperglycemia in Korean adult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I, II, III, and IV. After excluding subjects who had missing data for dietary intakes, anthropometric measurments, and laboratory tests, a total of 12,320 subjects aged 20~64y (5,266 men and 7,054 wome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rends in individual consumption of dietary fatty acids by year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test, and the association between fatty acid intake and abdominal obesity and hyperglycemia was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age, energy intake, marital status, job, education level, alcohol intake, and smoking status. In men, intakes of TFA, SFA, MUFA, FUFA, and n-6 PUF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year. On the other hand, intakes of TFA, SFA and FUF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year in wome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takes of PUFA, LNA and n-3 PUFA in women.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any fatty acid intakes in men. The risk of hyperglycemia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akes of TFA, SFA, PUFA, and LNA in m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ny fatty acid intakes in women. These results show that abdominal obesity and hyperglycemia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dividual intake of fatty acids, suggesting that fatty acid type may be associated with risk of abdominal obesity and hyperglycemia. Futher, the macronutrients of measl must be properly balanced.

오미자농축액이 급성주정중독량 및 장기간 주정을 투여한 흰쥐의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 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Concentrate on Blood Alcohol Clearance and Hepatoprotective Function in Rats Induced by Acute Ethanol Intoxication and Chronic Ethanol Treatment)

  • 한찬규;성기승;이경원;박성선;정지윤;김성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139-1147
    • /
    • 2014
  • 본 연구는 알코올성 간 손상을 일으킨 흰쥐에게 오미자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분해율과 간 기능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단회성 급성주정중독시험과 장기 주정투여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급성주정중독시험은 흰쥐에게 급성주정중독량과 오미자추출물을 투여한 후 60분, 90분, 150분, 240분, 300분, 360분의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여 경시적인 알코올 분해율을 측정하였다. 장기 주정투여시험은 전반기(4주)는 급성주정중독량(22,23)을 참고하여 1/2용량의 시험주정(Chivas Regal, 40%)을 투여하였고, 후반기(4주)는 시험주정과 함께 물과 오미자추출물(150 mg, 1.0 mL)을 각각 투여하였다. 급성주정중독량시험에서 주정투여 후 90분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가장 높았고, 주정투여 후 알코올의 기준 농도 대비 360분의 혈중 알코올 분해율은 주정단독투여군(A) 81.4%, 오미자투여군(B) 96.1%, 주정+물투여군(C) 85.3%로 오미자투여군이 다른 두 주정투여군보다 평균 13% 더 높았다. 장기 주정투여시험에서 간장무게는 두 주정투여군(A, B)이 일반대조군(C)보다 통계적으로 무거웠다(P<0.05). 혈청과 간 조직의 중성지방(TG) 함량은 일반대조군이 두 주정투여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간 조직의 TG 함량은 오미자투여군(B)이 주정대조군(A)에 비해 26.5% 낮았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TC) 함량은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간 조직의 TC 함량은 B군이 A군보다 18.8% 낮았다. 주정과 오미자추출물을 투여한 후 측정한 ${\gamma}$-GT, AST 및 ALT 활성은 오미자추출물군(B)이 주정대조군(A)보다 각각 26%, 12%, 19% 감소하였다. 혈액학치(CBC)는 혈소판을 제외하고는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간세포 조직의 Steatosis score는 주정대조군이 3점인 반면 오미자추출물군과 일반대조군에서는 각각 1점이었고, 붉게 염색된 지방미세과립이 주정대조군에서는 고도 내지 중등도로 세포질내에 침윤(infiltration)된 반면 오미자추출물군에서는 경도로 침윤되었다. 본 연구에서 오미자추출물은 경시적으로 혈중 알코올 분해율을 높여주고, 간 조직의 중성지방량과 간기능치(${\gamma}$-GT, ALT)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알코올성 지방변성을 완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오미자 가공식품의 개발과 관련한 기초 및 홍보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한편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알코올성 간 기능 보효 효과와 관련된 보다 정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두 지방산을 활용한 화장품 기초제 개발 (Studies on Application of Soybean Fatty Acid for Development of Cosmetic Formulation)

  • 이치호;신영희;이은향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0권2호
    • /
    • pp.55-64
    • /
    • 1990
  • Soybean fatty acid, the largest byproduct in the production of soybean oil, was formulated for hand cream, oil in water emulsion base, to improve the suppleness and elasticity of skin. The stability of emulsion observed by a macroscopic method was used as a characteristic index for deciding an optimum formula of hand creams. The optimum formula of the most stable hand cream was obtained from polynomial regression equation, contour graphs and partial derivative graphs. The values of soybean fatty acid and stearyl alcohol in the obtained optimum formula were 9.75 and 14.75 w/w%, respectively, and sodium lauryl sulfate was not needed. Experimental value for the stability of hand cream prepared according to the optimum formula was 76,14 days, and the prediction value by computation method was 73.25 days. From the results of accelerated tests by elevated temperature, the stability of hand cream by optimum formula was 1.7 year at room temperature $(25^{\circ}C)$. The hand cream containing soybean fatty acid was found to be free of primary irritant substance to the skin by Draize technique.

  • PDF

고분자(高分子)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 3 보(報));알릴에스테르 ${\alpha}$-술폰 지방산(脂肪酸) 고분자(高分子) 화합물(化合物)의 합성(合成) (Studies on the Polymeric Surfactants (III);Synthesis of Sodium ${\alpha}-Sulfo$ Fatty Acid Allyl Ester Oligomers)

  • 남기대;정노희;노승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5-51
    • /
    • 1989
  • Allyl aliphatic carboxylates were synthesized by azotropic reaction with benzene between allyl alcohol and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or stearic acid respectively. allyl aliphatic carboxylates oligomers were prepared from polymerization giving allyl aliphatic carvboxylates in the presence of potassium persulfate in methanol, and the ${\alpha}-sulfonation$ of these five allyl aliphatic carboxylates oligomers were carried by direct addition of dry sulfur trioxide. Especially, molecular weights of fatty acid alylester oligomers and their sodium salts of ${\alpha}-sulfo$ fatty acid allylester oligomers were measured by boiling point method.

심장병 예방을 위한 한국 식사의 우수성 (Superiority of Korean Diet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 유태우
    • 한국건강관리협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2005
  • We compared three nations' diets on Year 2000 Korean, American and Mediterranean in the aspect of contribution of each to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We searched all the available evidences published. Korea has a very low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ses compared to the other countries even though they are increasing recently. In addition to many risk factors to these defenerative diseases such as diabetes millitus, hypertension, smoking, hyperlipidemia, sedentary lifestyle, etc., dietary factors are also contributing a lot to their development. High calorie, trans fatty acids, cholesterol, saturated fatty acids, alcohol, salt intakes are examples. Korean diet has superiority of low calorie, low fat, good fat proportion, high omega-3 fatty acids, vegetables, beans, and garlic and onions These are believed to contribute to low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Korea. Korean diets was also found to have some issues for improvement such as high salt, low calcium, and higher use of barbequed meats. We concluded Korean people stay better off with Korean diet with some modifications.

  • PDF

Experimental model and novel therapeutic targets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development

  • Yujin Jin;Kyung-Sun He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7권4호
    • /
    • pp.299-310
    • /
    • 2023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a complex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accumulation of fat in the liver in the absence of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It is one of the most common liver diseases worldwide, affecting approximately 25% of the global population.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obesity, type 2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Moreover, NAFLD can progress to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which can cause liver cirrhosis, liver failure,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Currently, there are no approved drugs for the treatment of NAFLD.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drugs is essential for NAFLD treatment. In this article, we discuss the experimental models and novel therapeutic targets for NAFLD. Additionally, we propose new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drugs for NAFLD.

한국 성인의 지방산 섭취와 이상 지혈증과의 관련성 -1998~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Association of Fatty Acid Intake and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1998-2007)

  • 박용순;박효진;원선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89-80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atty acid intake and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 II, III, and IV. After excluding subjects who had missing data for the dietary intakes, anthropometric measurments and laboratory tests, a total of 15,804 subjects aged 20~64 y (6,838 men and 8,966 women) from KNHANES 1998~2007 were includ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software (version 18.0). Associations between fatty acid intakes and dyslipidemia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age, BMI, energy intake, marital status, job, education level, alcohol intake, and smoking status. Fatty acid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en than in women. The risk of hypertriglyceridemia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takes of TFA, SFA, MUFA, PUFA, EPA, DHA, n-3 PUFA, and n-6 PUFA in both men and women. The risk of hypercholesterolemia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y fatty acid intakes in either sex. The risk of high LDL cholesterolaemia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akes of TFA, MUFA, PUFA, LNA, n-3 PUFA, and n-6 PUFA in me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ny fatty acids in women. The risk of low HDL cholesterolaemia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akes of TFA, MUFA, PUFA, LNA, n-3 PUFA, and n-6 PUFA in men, and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intakes of MUFA, PUFA, LNA, and n-3 PUFA in women. These results show that dyslipidemia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dividual intake of fatty acids, suggesting that fatty acid type may be related to the risk of dyslipidemia.

지방간 및 대사 인자들과 말초혈액 백혈구의 사립체 DNA copy 수와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Metabolic Abnormalities and Hepatic Steatosis)

  • 권길영;전대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93-2098
    • /
    • 2010
  • 지방간은 대사증후군의 한 형태로 인슐린저항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당뇨 및 대사 인자들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말초혈액의 사립체 DNA (mtDNA) copy 수와 지방간 및 인슐린저항성 관련 인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방간 진단을 위해 음주력 설문과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말초혈액의 백혈구에서 mtDNA copy 수를 측정하였다. 총 445 명의 대상자 중 지방간이 있는군(fatty liver group)은 148 명이고 정상군은 297 명이었다. 지방간이 있는 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mtDNA copy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비알콜성 지방간과 알코올성 지방간 모두 지방간이 있는 군에서 말초혈액 mtDNA copy 수가 낮았다. 말초혈액의 mtDNA copy 수는 ALT, AST, $\gamma$-GTP,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이완기혈압, 유리지방산 수치와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말초혈액에서의 mtDNA copy 수는 지방간 여부 및 인슐린저항성 관련 대사 인자들과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