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s

검색결과 587건 처리시간 0.028초

항산화제 또는 팜유로 보강된 유채유를 이용한 라면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apeseed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 박연보;박혜경;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8-479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라면제조용 튀김유지로 사용되어온 돼지기름, 쇠기름과 팜유 등의 수입유지의 대체유로서 유채유의 사용 가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적절한 항산화제를 첨가하거나, 팜유를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이들의 라면 튀김유로서의 산화안정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제로는 천연 토코페롤,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tertiarybutyl hydroquinone (TBHQ), 그리고 ascorbyl palmitate의 경우에는 구연산과 함께 각각 0.02%의 농도로 시판유채유에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혼합유로서는 이상의 유채유에 정제팜유를 각각 30, 50, 7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실에서 튀겨서 만든 시제라면을 $35.0{\pm}0.5^{\circ}C$의 항온기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그 일부를 일정기간 마다 취하여 여기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요오드가, 아니시딘가, 유전항수와 불포화 지방산도 비율 등을 측정했다. 그리고 그 변화들과 저장 중인 시제라면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등을 검토하여, 사용한 튀김유들의 산화안정성을 추정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 사용한 항산화제들의 튀김유로 사용한 유채유에 대한 항산화효과의 순서는 TBHQ>> ascorbyl palmitate+구연산>BHA>천연 토코페롤의 순서였다. 여기서 천연 토코페롤과 BHA는 항산화제로서의 효과가 매우 약했으나. ascorbyl palmitate와 구연산을 병용했을 때에는 상당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한편, TBHQ는 항산화제로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TBHQ를 0.02% 함유한 유채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이 라면에서 추출한 유지의 성질로 추정할 때, 팜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과 거의 같았다. 2. 한편, 혼합유로 튀겨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혼합유 중의 장유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다. 혼합유로 만든 라면의 경우, 그 추출유지의 성질로 판단할 때 그 저장 안정성은 크게 개선되었다. 그 예로서 팜유를 70% 혼합한 혼합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은 팜유로 만든 라면의 저장안정성과 거의 비슷했다.

  • PDF

한국산 영지버섯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in Ganoderma lucidum)

  • 이서구;유영진;김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90-894
    • /
    • 1989
  • 한국에서 인공재배 한 원목영지, 포자영지 및 녹각영지버섯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지방산 및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당 조섬유가 $47.2{\sim}49.9%$로 가장 많았으며 탄수화물은 $29.1{\sim}31.9%$. 조단백질 $15.2{\sim}15.6%$, 조지방$4.0{\sim}4.4%$ 조회분은 $1.3{\sim}1.7%$이었다. 조섬유와 조반백질은 원목영지버섯이 가장 많았고 조회분은 녹각영지버섯이 가장 많았으며 탄수화물은 포자영지버섯이 가장 많았다. 무기성분은 K가 $2,742{\sim}4,843ppm$으로 가장 많았으며 P, Mg, Ca, Na의 순으로 많았다. 무기성분의 총함량은 녹각영지버섯이 가장 많았다. 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이 $81.0{\sim}82.1%$며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이었다. 아미노산은 건물 1g당 histidine이 $9.47{\sim}13.06mg$으로 가장 많았으며 methionine이 $0.20{\sim}0.44mg$으로 가장 적었다. 원목영지버섯은 histid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순으로 포자영지버섯과 녹각영지버섯은 histid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순으로 많았다.

  • PDF

알쯔하이머병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관련된 식이 요인 (Associations of Cognitive Function and Dietary Factors in Elderly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 정경아;이요아;김성윤;장남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8호
    • /
    • pp.718-732
    • /
    • 2008
  • 본 연구는 2007년 2월부터 5월까지 서울에 위치한 A 대학병원 치매클리닉에 내원한 65세 이상 노인 38명을 대상으로 영양섭취 상태와 인지기능에 관련이 있는 영양소 및 식품의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쯔하이머병 노인의 평균연령은 75.8 ${\pm}$ 5.8세로 남녀 성비에서 여자 노인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체질량지수 과체중과 비만 범위의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섭취한 총 열량은 1,656.4 ${\pm}$ 528.1 kcal로 2005 국민 건강.영양조사와 비교하여 단백질, 지방, 철분, 칼륨, 비타민 Bl, 비타민 B2, 나이아신, 비타민 C는 더 많이 섭취하였고, 당질, 섬유소, 칼슘, 인, 나트륨, 비타민 A는 더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에서는 채소류를 309.0 ${\pm}$ 152.4 g로 가장 많이 섭취하였고, 설탕은 7.2 ${\pm}$ 9.3 g로 가장 적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쯔하이머병 노인의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식이요인은 주의집중력에서 식물성 칼슘이 부정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능력에서는 아연이, 기억력에서는 생선 및 어패류, 두류 및 종실류, 당류군의 섭취가 긍정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이정신상태검사의 시간지남력에서 계란은 인지기능과 부정적으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억회상에는 지방, 시공간구성력에는 당류의 섭취가 인지기능에 긍정적으로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알쯔하이머병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조군이 없는 연구이므로 향후 알쯔하이머병이 없는 노인들을 포함한 비교연구와 시간경과에 따른 식이섭취 양상과 인지기능 상태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알쯔하이머병 노인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식사와 관련한 이상행동을 고려하여 인지기능의 세분화 된 특정 영역과 밀접하게 관련된 식이요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하여 알쯔하이머병 노인들의 식사의 질 향상과 더불어 이상행동의 예후 또한 좋게 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경련 발작으로 발현된 지발형 제II형 글루타르산혈증 (Late Onset Glutaric Acidemia Type II Manifested as Afebrile Seizure)

  • 남상정;이건준;박원일;배은주;이경화;이홍진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
    • /
    • 2005
  • 제II형 글루타르산혈증은 발생 시기와 정도에 따라서 질병의 경과를 달리한다. 지발형의 경우 평상시에는 증상이 없고, 검사 소견도 정상 소견을 보이나 대사가 증가되는 hypercatabolic status에서는 저혈당, 대사성 산혈증, 고암모니아혈증 등이 나타나며, 다양한 신경학적인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신경학적인 증상들이 있는 경우 기본적인 검사들을 시행해 보고, 위와 같은 소견들이 보이는 경우에는 소변의 유기산 분석을 통한 진단이 필요하다. 정맥내로 포도당이 투여되면 유기산 분석의 양상이 매우 빠른 속도로 정상화될 수 있으므로 정맥내로 포도당을 투여하기 전에 소변 검체를 채취하여 냉동 보관하는 것은 정확하고 빠른 진단을 위하여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로부터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Hydrocarbon 류의 정량적 비교 분석 (Quantitative Comparison of Radiation-induced Hydrocarbons from Irradiated Beef, Pork and Chicken)

  • 김경수;김은아;이해정;양재승;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1-307
    • /
    • 1999
  •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방사선 조사시켜 생성된 hydrocarbon류의 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쇠고기와 닭고기의 지방추출은 n-pentane과 isopropanol 혼합용매 (3 : 2, v/v)를 사용하였다. 돼지고기는 가열 융해시켜 지방을 추출한 뒤 florisil로 충전한 column을 이용하여 hydrocarbon류를 분리하였으며, GC-FID 및 GC/MS 분석기기로 성분을 확인하였다. $0.1{\sim}10\;kGy$의 선량별로 조사된 각 육류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hydrocarbon류 함량이 조사선량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선량으로 조사된 시료임에도 방사선 조사에 의해 생성된 hydrocarbon류의 함량이 각각 다르게 정량되었다. 특히 쇠고기의 linoleic acid로부터 유도된 6,9-heptadecadiene과 1,7,10-hexadecatriene은 돼지고기나 닭고기로부터 생성된 것보다 적은 함량으로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으로 닭고기에서 생성된 hydrocarbon류의 함량이 적었다. 각 시료에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인 oleic acid로부터 유도된 8-heptadecene과 1,7-hexadeca diene이 방사선 조사에 의해 생성된 주된 지방분해산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모든 시료에서 1,7-hexadecadiene의 함량이 가장 많이 동정되었다.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함유한 기능성 저트랜스 유지의 효소적 합성 및 이화학적 특성 연구 (Enzymatic Synthesis of Low-trans Fats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s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남하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52-760
    • /
    • 2008
  • One liter stirred-tank batch reactor에서 기질들의 부피 비율을 1:2:7(fully hydrogenated soybean oil : SL-olive+CLA : palm oil)하고 RM IM lipase를 사용하여 CLA를 함유한 재구성 지질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재구성지질은 총 CLA를 7.6 area% 함유하였고,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38.1 area%), palmitic acid(33.1 area%), stearic acid(12.2area%) 및 linoleic acid(7.3 area%)로 분석되었으며 트랜스지방산은 분석한계 미만(0.1 area%)으로 검출되었다. Reversed-phase(RP) HPLC 분석 결과, 재구성 지질의 TAG 형태는 PN=44(1.52 area%), PN=46(21.79 area%), PN=48(53.71 area%) 및 PN=50(11.1 area%)의 범위로 나타내었다. 합성된 지질의 토코페롤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alpha}$, ${\gamma}$-토코페롤이 각각 4.7, 1.0 mg/100 g로 반응기질보다 감소하였고, 이의 산가, 비누화가, 요오드가의 측정 결과는 각각 0.4, 173.9, 59.0이었다. 재구성 지질의 융점은 세 개의 피크를 보이며 각각 8.7, 25.3 및 $40.9^{\circ}C$으로 나타났고 결정화점은 각각 0.7, $18.2^{\circ}C$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체지 함량은 31.8%($25^{\circ}C$), 22.3%($30^{\circ}C$), 13.9%($35^{\circ}C$)를 나타내어 상업적인 쇼트닝과 유사한 물성을 보였다. 재구성 지질의 녹는점은 $39.8^{\circ}C$로 측정되었고, hardness value는 63.8 g로 분석되었다.

사육하는 황새에서 담즙정체를 동반한 사낭경색 (Gizzard Impaction with Bile Stasis in Captive Oriental White Storks (Ciconia boyciana))

  • 한재익;손형원;모인필;장동우;김수경;박시룡;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9-662
    • /
    • 2009
  • 한국교원대학교 황새복원센터에서는 한국내 야생 황새 복원을 위해 인공적인 황새 사육을 진행중이다. 세 마리의 황새가 식욕부진과 침울을 보여 충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진료 의뢰되었다. 두 마리는 내원 전 사망하였으며, 한 마리는 내원 후 수액요법을 실시하였으나 1일 후 사망하였다. 부검시 salmon-color의 피하 및 내장지방이 전체 황새에서 관찰되었다. 간 표면의 다발성 국소 괴사병소도 확인되었다. 근육위 내강에는 많은 양의 풀과 자갈이 뭉쳐져 큰 덩어리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유문부는 이것에 의해 폐색되어 있었다. 수액요법을 받은 황새의 소장 분절은 유착되어 있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염증을 동반하지 않은 괴사병변이 전체 황새의 간, 근육위, 장에서 관찰되었다. 간에서는 담즙정체도 관찰되었다. 이 검사 결과들에 기초하여 황새들은 이식증에 의한 사낭 경색증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유지의 가열 및 저장에 따른 Trans지방산 생성에 관한 연구 -제2보 ; Trans지방산 함량 및 조성 변화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Trans Fatty Acids with Heat Treatment and Storage of Fats and Oils (II) -The contents and the kinds of Trans fatty acids-)

  • 김덕숙;구본순;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3호통권12호
    • /
    • pp.25-32
    • /
    • 1990
  • In this study, the cis to trans isomeriz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investigated about Soybean oil (SBO), Corn germ oil (CGO), Cottonseed oil (CSO), Margarine (MG), Shortening (ST) incubated at $40{\pm}2^{\circ}C$ for 35 days and heated at $185{\pm}2^{\circ}C$ for 24 hours. The contents and kinds of trans fatty acids in each sample were determined by GLC after seperating by HPLC.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When samples were incubated at $40{\pm}2^{\circ}C$ for 35 days, the contents of total trans fatty acids were increased from $0.5{\sim}12.3%$ to $0.8{\sim}20.5%$. The kinds of trans fatty acids found were $t-C_{18:1},\;t,c-C_{18:2},\;t,t-C_{18:2},\;t,c,c-C_{18:3}$ in $SBO,\;t-C_{18:1},\;t,c-C_{18:2}$ in $CGO,\;t-C_{16:1},\;t-C_{18:1},\;t,c-C_{18:2},\;t,t-C_{18:2}$ in CSO. Processed oil such as MG and ST showed more complicated composition of trans fatty acids than SBO, CGO and CSO. $t-C_{18:1},\;t,c-C_{18:2},\;t,t-C_{18:2},\;t,c,t-C_{18:3},\;t-C_{20:1}$ were detected in ST. 2. In the case of heating at $185{\pm}2^{\circ}C$ for 24 hours, the contents of total trans fatty acid were $1.6{\sim}37%$. 2% in all samples. Heating made more remarkable isomerization than incubation $(40{\pm}2^{\circ}C)$. Specially, $c,c,t-C_{18:3}$ in $SBO,\;t,t,t-C_{18:3}$ in $MG,\;t,c,t-C_{18:3},\;t,t,t-C_{18:3}$ in ST were detected. 3. The total contents of trans fatty acids of processed oil were higher than vegetable oils. During incubation, trans fatty acids increased in the order of MG>ST>CGO>SBO>CSO, and during heat treatment, MG>ST>SBO>CGO>CSO.

  • PDF

Potato Chip 제조시 TBHQ 와 Silicone 첨가유에 의한 저장 연장 효과 (Storage Effectiveness of Deep-Fried Potato Chip Prepared with Canola Oil Fortified with TBHQ and Silicone)

  • 정병두;이순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35-640
    • /
    • 1997
  • Potato chip을 제조시 canola유를 선택하여 potato chip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potato chip의 기름 함량이 40%정도까지 흡수하게 되는데 이 흡수된 기름이 저장과 유통되는 동안 potato chip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항산화제인 BHA, BHT, TBHQ와 silicone유를 첨가한 첨가 유의 항산화제 효과를 관능 검사와 함께 비교 고찰하였다. Potato chips에서 추출한 oil의 항산화제 효과는 canola oil+TBHQ (0.02%)+silicone (10 ppm)에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다음은 canola oil+TBHQ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것보다 silicone을 첨가한 것이 탁월한 안정성을 보였고 항산화제로서 TBHQ가 매우 효과가 있었고 silicone를 첨가한 유지에서 탁월한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canola oil은 2개월부터 overall, flavor, aftertaste의 변화에 약간의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TBHQ과 silicone을 첨가한 oil는 2개월에서는 전 항목에서 변화가 없었고 4개월부터 overall, flavor, freshness, aftertaste의 항목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2개월 정도 저장 안정성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도토리 Gallic Acid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Gallic Acid in Acorn Extract)

  • 이미현;정재홍;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93-700
    • /
    • 1992
  • 도토리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도토리 분말로부터 수종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항산화성 획분을 추출 분리한 후 대두유, 팜유, 돈지 및 우지에 첨가하고 $60^{\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성분을 TLC 및 HPLC로 분리 동정하였다. 도토리의 일반성분은 수분 11.8~12.0%, 단백질 7.1~7.4%, 전분 65.5~69.4%, 조지방 2.1~2.6%, 조섬유 2.1~3.6% 및 조회분 2.4~2.6%이었으며 total tannin 함량은 4.6~6.8%이었다. 도토리류 분말로부터 acetone : water 및 ethyl acetate를 차례로 사용하여 항산화성 획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의 수율은 2.8~3.1%이었다. 최종단계의 도토리 추출물 중에는 gallic acid, digallic acid 및 gallotannin이 함유되어 있었다. 도토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은 주로 gallic acid이었다. 도토리 추출물은 유탁액상태의 기질에서는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고, 유지에 직접 첨가하였을 때는 항산화력이 인정되지 않았다. 우지 및 대두유탁액에 대산 도토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강하였으나 돈지 및 팜유유탁액에 대해서는 약하였다. 도토리 추출물은 0.02%의 농도에서 실용적인 항산화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