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igue Severity Scal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이명 심각도에 따른 정신의학적 특징 (Psychiatr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innitus Severity)

  • 김재홍;김정호;조성일;박상학;김상훈;추일한;김승곤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1호
    • /
    • pp.7-13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iatric characteristics of outpatients with tinnitus. Methods A total of 88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innitus Handicap Inventory (THI) score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 ; a mild tinnitus symptoms (mild-tinnitus) group and a severe tinnitus symptoms (severe-tinnitus) group.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an assessmen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THI,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bout tinnitu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are applied for evaluation of other clinical psychiatric characteristics. Results Higher THI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innitus course, the number of accompanying symptoms, and the VAS. BDI total scores, BDI factors, and BAI total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vere-tinnitus group than in the mild-tinnitus group. Also suicidal ideation, interpersonal problems, sleep problems, occupational impairment, and fatigu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vere-tinnitus group than in the mild-tinnitus group. Conclusions Tinnitus is a common disorder of hearing which is associated frequently with psychiatric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iatric intervention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suffering from tinnitus.

Vibration based damage detection in a scaled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by FE model updating

  • Turker, Temel;Bayraktar, Alemdar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4권1호
    • /
    • pp.73-90
    • /
    • 2014
  • The traditional destructive tests in damage detection require high cost, long consuming time, repairing of damaged members, etc. In addition to these, powerful equipments with advanced technology have motivated development of global vibration based damage detection methods. These methods base on observation of the changes in the structural dynamic properties and updating finite element models. The existence, location, severity and effect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damages can be identified by using these methods. The main idea in these methods is to minimize the differences between analytical and experimental natural frequencies. In this study, an application of damage detection using model updating method was presented on a one storey reinforced concrete (RC) building model. The model was designed to be 1/2 scale of a real building. The measurements on the model were performed by using ten uni-axial seismic accelerometers which were placed to the floor level. The presented damage identification procedure mainly consists of five steps: initial finite element modeling, testing of the undamaged model, finite element model calibration, testing of the damaged model, and damage detection with model updating. The elasticity modulus was selected as variable parameter for model calibration, while the inertia moment of section was selected for model updating. The first three mode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ossible damaged members were estimated by considering the change ratio in the inertia moment. It was concluded that the finite element model calibration was required for structures to later evaluations such as damage, fatigue, etc. The presented model updating based procedure was very effective and useful for RC structures in the damage identification.

갑상선 유두암으로 수술 후 좌우 림프절 전이 환자의 장기간 복합 한의약 치료 증례보고 (A Case Report on Papillary Thyroid Cancer for the Recurrence of Regional Cervical Lymph Nodes improved by Korean medicine)

  • 이해원;이수빈;김혜원;노진구;정혜인;김준형;김경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40
    • /
    • 2022
  • Objective :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a combination of Korean medicine on a thyroid papillary cancer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local lymph node metastasis after thyroidectomy and lymph node dissection but did not want surgery. Methods : Gami-Palmultang administration and moxibustion(large Bmoxa cautery) were performed for six years. Treatment outcomes were evaluated with Brief Fatigue Inventory (BFI), Numerical Rating Scale (NRS), Insomnia Severity Index (ISI),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General (FACT-G), blood test/ CT imaging results, and patient's statements. Results : After the treatment, all symptoms have been alleviated, the quality of life has increased, and it has been maintained without further metastasis of tumors for six years. Conclusion : Korean medicine treatment along with active observation can be an alternative to patients who do not want surgical treatment after recurrence of local lymph nodes in thyroid papillary cancer, and can have positive result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한방 치료로 호전된 지속체위 - 지각어지럼에 대한 증례 1례 (A Case Report of Persistent Postural-Perceptual Dizzines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 김민화;허기윤;강희경;남이랑;김마리아;이인;권정남;김소연;윤영주;최준용;한창우;박소정;홍진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769-778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persistent postural-perceptual dizziness. Methods: A patient with dizziness was treated with Banhabackchulchunma-tang and Gongjin-dan herbal medicines. The severity of symptoms was assessed with a daily visual analog scale (VAS) for dizziness and the frequency of subjective trembling feelings (over 30 minutes). Results: After the treatment, the severity of dizziness was reduced from VAS 5 to VAS 2, and fatigue was improved from VAS 5 to VAS 1. The frequency of subjective trembling feelings was reduced from once every 3-4 days to once every 10 days. Other symptoms, such as dyspepsia, sleep disturbance, and hot flashes, also showed improvement. Conclusion: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may be an effective option for the treatment of persistent postural-perceptual dizziness.

양안시 교정안경의 3차원 텔레비전 시청 중 발생한 안정피로 감소 (Binocular Vision Corrective Spectacle Lenses Reduce Visual Fatigue in 3-D Television Viewing)

  • 윤정호;김재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63-369
    • /
    • 2014
  • 목적: 3D영상은 여러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지만 일부 사람들에게 신체적인 불편함을 일으킨다. 본 연구는 신체적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에 있어서 그들의 상용안경을 착용했을 때와 양안시 교정안경을 착용을 때 안정피로의 타입과 정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성인 98명을 그들이 착용해 온 상용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텔레비전(TV)을 65분간 시청한 후 안정피로가 가장 심하게 느끼는 35명(나이 $32.2{\pm}4.4yrs$)을 대상으로 평가했다. 그런 다음 수평, 수직 또는 기저 하 방향의 동향프리즘을 부가한 양안시 교정안경을 착용하고 2.7 m 거리에서 65분간 3D TV를 시청하는 동안 안정피로의 정도를 수치로 재평가했다. 평가는 11가지 증상에 대해 4점 스케일(0=없음, 3=심함)로 하였다. 원거리 및 근거리 수평 사위는 하웰사위검사카드(Howell phoria card)로 측정하였으며 수직 사위는 마독스봉(Maddox rod)을 이용하였다. 3D TV 시청에 의해 발생되는 증상을 상용안경을 착용했을 때와 양안시 교정안경을 착용했을 때를 비교하였다. 결과: 양안시 교정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3D TV를 시청할 때 시청 5, 25, 45, 65분에서 상용안경을 착용하고 시청할 때 보다 안정피로가 유의수준에서 낮았다(all p<0.001, paired t-tests). 굴절이상도만 필요로 하는 그룹에서는 상용안경 착용과 양안시 교정안경을 착용하고 시청 할 때는 모든 안정피로에서 유의 수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양안시 이상의 프리즘 교정 그룹에서 안정피로는 양안교정 안경 착용이 상용안경 착용때 보다 유의 수준에서 낮았다(all p<0.05). 결론: 사위/이향 안구 운동을 기초로 한 양안시 이상의 안경교정은 3D 시청 중에 안정피로를 낮출 수 있다. 양안시 이상을 가진 사람은 안정피로를 줄이기 위해 3D TV를 오래 보기 전에 적절한 프리즘이 필요하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일주기 리듬 특성에 따른 주간 졸음과 우울감의 차이 (Morningness-Eveningness Affects the Depressive Mood and Day Time Sleepines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

  • 김성호;주은정;이규영;구영진;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9권2호
    • /
    • pp.77-83
    • /
    • 2012
  • 목 적: 저녁형일수록 우울해지기 쉽다는 경향성이 일반 인구집단이 아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상황별 졸음 평가지 등을 통해 얻은 자료 중 저녁형일수록 증가되는 항목과 우울할수록 증가되는 항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1월 1일부터 2011년 2월 18일까지 을지병원 수면장애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OSA로 진단받은 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자료와 신체 계측 자료를 얻었으며, 상황별 졸음 평가지(ESS). 아침형-저녁형 설문지(HOQ), 한국판 기분상태척도(K-POMS),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이후 연령과 체중을 보정하여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들간의 편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령과 체중을 보정한 공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각각의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결 과: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편상관분석에서 HOQ점수에 따라 저녁형일수록 K-POMS, POMS-T, POMS-D, POMS-A, POMS-F, POMS-C 점수가 상승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로 아침형일수록 POMS-V, AHI, respiratory arousal index, snore time(%)이 증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우울할수록 POMS 총점과 POMS-T, POMS-A, POMS-F, POMS-C, sleep latency, stage 2 sleep(%)가 증가되는 경향성이 나타나고, 우울할수록 HOQ점수가 낮아지므로 저녁형이며, 우울할수록 stage 1 sleep(%), AHI, TAI, respiratory arousal index, 목 둘레가 감소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분산 분석을 통해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뒤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K-POMS, POMS-T, POMS-D, POMS-F, POMS-C, spontaneous arousal index이다. 결 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도 일반인구집단에서처럼 저녁형일수록 우울한 경향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성은 주간 졸음 등과는 무관하며, 무호흡의 심각도와도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평가할 때 무호흡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것과는 별도로 아침형-저녁형의 일주기리듬을 확인하고 저녁형인 경우 환자의 우울감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개 여자대학교 학생의 최근 10년간 폐결핵 동태 및 임상경과에 관한 고찰 (The Epidemiologic and Clinical Study of Pulmonary Tuberculosis - Among Students at One Women's University for Recent 10 Years -)

  • 최희정;홍영선;오지영;천선희;김경자;김만애;민홍기;최삼섭;이기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465-473
    • /
    • 1995
  • 연구배경: 결핵은 국가관리사업이 시작되면서 점차 유병률이 감소하였으나 최근 당뇨, 악성종양 및 면역결핍 질환등이 늘어나면서 결핵이 중요한 국민보건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일개 여자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최근 10년간 폐결핵의 동태와 임상양상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83년에서 1992년까지 최근 10년간 이화여자대학교 보건소에 폐결핵으로 등록하여 치료관리를 받고 종결된 자 612명을 대상으로 진료기록을 근거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 전체 폐결핵 유병률은 1983년 0.63%에서 1992년 0.11%로 꾸준히 감소하였으며, 1학년 유병률 및 입학년도별 재학기간중 발생률은 1989년 이후 현저히 감소하였다. 2) 결핵발견 계기별 환자분포는 정기검진 45.6%, 입학신검 34.5%, 의료기관 12.0%, 보건소 진료 5.4%, 복학신검 2.5%의 순이었다. 3) 결핵의 과거력이 있었던 환자는 70명(11.4%)였고, 그 중 폐결핵의 재치료 환자는 61명(10.0%) 이였으며, 가족력은 612명중 142명으로 23.3% 였다. 4) 폐결핵의 중증도별 분포는 경중 530예(86.6%), 중등증 79예(12.9%), 중증 3예(0.5%) 였다. 5) 진단시 초기 증상으로 경한 호흡곤란이 30.1%, 발한 14.9%, 피로감 14.3%, 열감 11.7%, 객혈 8.2% 순이었고 객담, 기침 등의 중상은 적었다. 6) 치료기간은 경증군은 $10.6{\pm}3.6$ 개월, 중증증군이 $14.9{\pm}5.2$개월로 경종군에서 짧았다(p<0.05). 7) 치료약물의 부작용은 위장장애가 7.2%, 간염 1.8%, 피부발진 0.8% 였으며, streptomycin을 사용한 환자에서의 부작용은 9.1% 였다. 결론: 일개 여자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폐결핵 유병률은 전국 결핵 실태조사에서 발표된 대학생 유병률 및 20~24세 유병률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으며, 점차 감소되어 1989년 이후 현저히 감소되었고 치료효과도 바람직 하였다. 따라서 학생 집단에서의 정기적인 건강검진이 중요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