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s

검색결과 1,480건 처리시간 0.027초

전골수성 백혈병 세포주 HL-60에 대한 Doxorubicin 유발성 Apoptosis와 Anti-Fas 항체 유발성 Apoptosis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Doxorubicin and Anti-Fas Antibody induced poptosis in Promyelocytic Leukemia Cell Line HL-60)

  • 윤경식;설지연;오현정;이광수;이원규;정성철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1호
    • /
    • pp.22-28
    • /
    • 1999
  • Induction of apoptosis is considered to be the underlying mechanism that accounts for the efficiency of chemotherapeutic drugs. It has recently been proposed that doxorubicin (DOX) can induce apoptosis in human leukemic cells via the Fas/Fas Ligand (FasL) system. Comparison of Fas and FasL mRNA expression between drug- and anti-Fas antibody(Fas-Ab)- induced apoptosis was analyzed for examining the role of Fas/FasL system in the mediation of drug-induced apoptosis. After HL-60 cells were routinely cultured, MTT assay was performed for cytotoxicity test. Giemsa staining was carried out to monitor the apoptosis morphologically. By semiquantitative RT-PCR analysis, the expression of Fas and FasL at 4, 10, 24 hours was determined after DOX and Fas-Ab treatment. Dose-dependent cytotoxicity was induced by DOX-treatment, while Fas-Ab treatment showed the similar dose-dependent pattern but the cytotoxicity is not reached at LD$_{50}$ at 100 ng/ml concentration of Fas-Ab. In the 10ng/m1 DOX and 10ng/m1 Fas-Ab treated group, typical apoptotic cell morphology was shown such as fragmented nuclei and cell membrane budding in the Giemsa-stained slide. Fas mRNA expression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both groups. But, FasL mRNA expression was induced significantly at initial period of apoptosis. In this study, Fas/FasL interaction assumed to be involved in drug-induced apoptosis.s.

  • PDF

인진호(茵蔯蒿)가 Fas-FasL 매개형 간세포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Fructus on Fas-FasL-induced Apoptosis in Hepatocye)

  • 김형환;안중환;김종대;김철호;김선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3-360
    • /
    • 2001
  • Objectives: Recently, it was known that the major cause of hepatitis is apoptosis reaction mediated by Fas-FasL. Since Artemisia Capillaris Fructus has long been applied to cure the jaundice in oriental medicine.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frac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Fructus on Fas-FasL-mediated apoptosis in hepatocyte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propidium iodide negative cell count assay and some the other biochemical assays. Results : This study confirms that hepatitis has been occured by apoptosis mediated by Fas-FasL in cultured hepatocyte and frac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Fructus restrain apoptosis induced Fas-FasL. Conclusions : Water-extracted fraction, methanol extracts, ether-soluble fraction, and buthanol-soluble fractions of Artemisia Capillaris Fructus restrain Fas-FasL-mediated apoptosis in hepatocyte. Silica gel chromatograph of Buthanol-soluble fraction of Artemisia Capillaris Fructus restrain Fas-FasL-mediated apoptosis in hepatocyte. Artemisia Capillaris Fructus could be applied to cure hepatitis.

  • PDF

생쥐 난소내 Fas 및 Fas Ligand의 발현과 세포자연사 (Apoptosis and Expression of Fas nnd Fas Lignnd Genes in Mouse Ovary)

  • 윤정미;윤현숙;양현원;김세광;조동제;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1호
    • /
    • pp.15-22
    • /
    • 2003
  • Fas는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로서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Fas mRNA는 림프조직뿐만 아니 라 비 림프조직에서도 발현한다. 한편 대다수의 난포들은 세포자연사와 연관된 기 작을 통해 난포폐쇄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난포폐쇄에 관한 기작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생쥐의 난소의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의 발현 여부를 알아보고, Fas와 Fas ligand발현과 난포폐쇄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RT-PCR을 수행한 결과, 난소내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 mRNA가 모두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또한, 원시 난포를 제외한 모든 발달 중인 난포의 과립세포와 난자들에서 Fas와 Fas ligand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폐쇄를 보이는 난포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한편, 난소에서 세포자연사를 확인하기 위해 TUNEL 염색을 수행한 결과, TUNEL 양성을 보이는 과립세포와 난자의 수는 건강한 정상 난포에 비해 폐쇄난포에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난소내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 발현과 난포폐쇄와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Fas와 Fas ligand가 생쥐 난소내 난포폐쇄 유발에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을 받은 신생 흰쥐 뇌 해마에서 Fas와 FasL 단백 발현 (Fas/FasL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of neonatal rat brains follwing hypoxic-ischemic injury)

  • 장영표;김명주;이영일;임익제;조재주;김종완;여성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2호
    • /
    • pp.198-202
    • /
    • 2006
  • 목 적 : Fas는 세포표면 수용체로 세포사멸 신호를 전도한다. 많은 질환에서 세포표면의 Fas가 Fas ligand(FasL)와 결합하여 세포사멸 과정을 유발하게 된다. 연구자들은 7일된 신생 흰쥐에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을 유발한 후 뇌 해마에서 Fas와 FasL의 발현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7일된 신생 흰쥐를 오른쪽 총 경동맥 영구 결찰 후 8% 산소에 2시간 노출시켰다.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 후 12, 24, 48시간에 뇌를 적출 냉동 보관하였다. Western blotting 방법과 면역형광염색 방법으로 냉동 보관된 뇌의 경동맥을 결찰한 오른 쪽 해마에서 Fas와 FasL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 과 : Fas와 FasL의 발현은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 후 12시간에 경동맥이 결찰된 오른쪽 해마에서 크게 증가하고 이후 감소하는 것을 western blotting 방법에 의해 관찰하였다. Fas와 FasL의 면역형광발현은 오른쪽 해마의 CA1 영역에서 손상 후 12시간과 24시간에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Fas의 면역형광 발현은 손상 후 48시간에 감소하였으나 FasL의 면역형광발현은 손상 후 48시간에도 지속되었다. 결 론 : 세포표면에서 Fas와 FasL의 발현과 그들의 결합은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을 받은 미성숙 뇌의 신경세포 손상에 기여할 것으로 추측되었다.

Role of the Fas/Fas Ligand Death Receptor Pathway in Ginseng Saponin Metabolite-Induced Apoptosis in HepG2 Cells

  • Oh Seon-Hee;Yin Hu-Quan;Lee Byung-H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402-406
    • /
    • 2004
  • This research team found in previous studies, that the ginseng saponin metabolite IH901 induces apoptosis in HepG2 cells via a mitochondrial-mediated pathway, which resulted in the activation of caspase-9 and subsequently of caspase-3 and -8. Based on these results, the involvement of the Fas/Fas ligand (FasL) death-receptor pathway, in IH901-induced apoptosis in HepG2 cells, was investigated. Levels of Fas and the Fas ligand (FasL) mRNA or protein were not increased by IH901, rather the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t 18 h post treatment. Soluble FasL (sFasL) was detectable by immunoprecipitation analysis En the medium of HepG2 cells treated with IH901. Increased levels of sFasL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FasL. Preincubation of HepG2 cells with antagonistic anti-Fas antibody showed little protective effect, if any, on IH901-induced cell death. At a $30{\mu}M$ (24 and 48 h) and $40{\mu}M$ (24 h) concentration of IH901, the cytotoxic effect of IH901 was less then $50\%$, anti-Fas antibody prevented IH901-induced cell death. However, at a $60{\mu}M$ (24 and 48 h) and $40{\mu}M$ (48 h) concentration of IH901, cell death rates were about $80\%$ or more and most of the chemopreventive and chemotherapeutic effects of IH901 were manifested. Blocking the Fas receptor did not influence IH901-induced cell deat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as/FasL system is engaged, but not required for IH901-induced cell death, at pharmacologically significant concentrations.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에서 Fas/Fas L의 역할 (The Role of Fas/FasL in Radiation Induced Apoptosis in vivo)

  • 김성희;성진실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222-226
    • /
    • 2003
  • 목적: 변이를 보이는 lpr 마우스와 Fas ligand 변이를 보이는 gld 마우스를 이용하여 in vivo에서 Fas와 Fas ligand의 발현이 전리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Fas의 변이를 보이는 $C57BL/6J-Fas^{lpr}$ 마우스와 대조군인 C57BL/6J 마우스, Fas ligand 변이를 보이는 $C3H/HeJ-Fas^{gld}$ 마우스와 대조군인 C3H/HeJ 마우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마우스는 8주령 웅성으로서 전신 방사선 조사하여 일정 시간 후 비장을 적출하였다. 조직을 hematoxylin-eosin 염색하여 apoptosis 유도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apoptosis 조절 물질인 p53, Bcl-2, Bax, Bcl-X_L,\;Bcl-X_S$에 대하여 Western Western blotting을 시행하고 발현수준을 densitometry로 분석하여 관련된 기전을 연구하였다. 결과: 2.5 Gydh k10 Gy 조사시에 $C57BL/6J-Fas^{lpr}$ 마우스와 $C3H/HeJ-Fas^{gld}$ 마우스에서 대조군 비하여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가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C57BL/6J 마우스와, C3H/HeJ 마우스에서 10 Gy 방사선 조사 후 Bax가 8시간 째에 각각 3배, 3.3배의 증가를 보였으나 $C57BL/6J-Fas^{lpr}$ 마우스와, $C3H/HeJ-Fas^{gld}$ 마우스에서는 뚜렷한 발현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 Fas의 변이가 있는 lpr 마우스와 Fas ligand의 변이가 있는 gld 마우스에서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가 대조군 보다 현저하게 낮으며 이는 방사선에 의한 Bax의 유도가 미약한 것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 Fas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Effects of FasL Expression in Oral Squamous Cell Cancer

  • Fang, Li;Sun, Lin;Hu, Fang-Fang;Chen, Qiao-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281-285
    • /
    • 2013
  • Purpose: To probe the role of FasL in cell apoptosis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OSCCs). Methods: The expression of Fas/FasL was assessed in 10 cases of normal oral epithelium, 38 cases of OSCC and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and 11 cases of metastatic lymph nodes by immunohistochemistry. Apoptosis of tumor cells and TIL was detected by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ing assay (TUNEL). FasL-induction of T cell apoptosis was tested by co-culture assay in vitro with SCC-9 and Jurkat T cells. Results: The 10 cases of normal oral epithelium all demonstrated extensive expression of Fas, the positive rate being largely down-regulated in OSCC (21/38) (P<0.05) compared to the normal (10/10). At the same time, the positive rate of FasL significantly increased in OSCC (P<0.05) especially those with lymph node metastasis (P<0.05). The positive rates of Fas in well and middle differentiated OSCC were higher than those in poor differentiated OSCC (P<0.05). The AI of tumor cells in Fas-positive OSCC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in Fas-negative OSCC (P<0.01), with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s expression and cell differentiation as well as apoptosis (r=0.68, P<0.01). The AI of tumor cells in FasL positive OSCC was remarkab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while the AI of TIL was higher than in FasL negative OSCC (P<0.05). The AI of tumor cells reversely correlated with that of TIL (r = -0. 72, P<0.05). It was found that SCC-9 cells expressing functional FasL could induce apoptosis of Jurkat cells as demonstrated by co-culture assays. As a conclusion, it is evident that OSCC cells expressing FasL can induce apoptosis in Fas-expressing T cells. Conclusions: In progression of OSCC, expression of the Fas/FasL changes significa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FasL is a mediator of immune privilege in OSCC and may serve as an marker for predicting malignant change in oral tissues.

Exhausted Medium에 의한 각막상피 세포의 세포고사 유도 (Apoptosis in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induced by Exhausted Medium)

  • 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3-87
    • /
    • 2000
  • 본 연구는 각막상피가 저절로 탈락해 나가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사람의 각막상피 세포를 배양하여 배지의 영양이 고갈될 때까지 약 7일 정도 배지를 교환하지 않고 계속 배양하여 세포고사를 조사하였다. 영양이 고갈된 배지인 Exhausted Medium을 여과하여 새로운 각막 상피세포에 넣어 2일 정도 배양을 계속하였다. Exhausted Medium에서 배양된 세포를 수확하여 세포고사를 검정하기 위해 Agarose gel electrophoresis로 DNA 단편을 확인하고 세포고사를 초기에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인 M30 $CytoDEATH^*$. Fluorescein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Exhausted Medium에 의한 세포고사의 유발 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사이토카인에 의한 유도인자 중 가장 많이 알려진 FAS나 FAS Ligand에 의한 유발여부를 soluble FAS and FAS Ligand에 대한 sandwich ELISA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형적인 DNA Ladder패턴을 보였으며 M30 $CytoDEATH^*$. Fluorescein에도 선명하게 염색되어 세포고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oluble FAS and FAS Ligand ELISA Kit로 Exhausted Medium이 FAS와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거의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양 부족상태의 배지는 각막상피 세포가 세포고사를 거쳐 소모되는데 FAS and FAS Ligand system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ycoplasma가 오염된 배양 각막상피 세포의 FAS 유도 세포고사의 민감성 (Susceptibility to FAS induced apoptosis in mycoplasma contaminated HCE cells)

  • 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9-86
    • /
    • 2007
  • 본 연구는 mycoplasma가 오염된 배양 각막 상피세포에 anti-FAS and anti-FAS ligand antibody를 노출시킨 후 세포고사 메커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배양각막 상피세포에 anti-FAS antibody 와 anti-FAS ligand antibody를 2일과 4일 동안 처리하여 주어진 기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중인 각막상피세포가 mycoplasma sp.에 의해 오염된 것이 밝혀졌다. mycoplasma removal agent(MRA)가 세포주로부터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이용되었다. MRA를 세포주에 첨가하여 1주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각막상피 세포주는 MRA가 포함되지 않는 배양액에서 수세대 동안 배양되어 커버글라스에 계대배양하여 50-80% 채워졌을 때 MRA 제거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키트에 제공된 Hoechst staining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세포고사 실험은 MRA 제거 전과 제거 후에 시행되었다. mycoplasma가 오염된 배양 각막상피세포에 대한 anti-FAS and anti-FAS ligand antibody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oechst 33342 staining과 Annexin V-FITC and Propidium Iodide Staining을 이용하여 세포고사 유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anti-FAS antibody가 배양각막 상피세포에서 시간과 농도에 비례하는 메커니즘으로 세포고사를 유도한다. mycoplasma가 오염된 세포주는 FAS 유도 세포고사의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인 상용 가공 식품의 trans 지방산 함량 (Trans Fatty Acid Content of Processed Foods in Korean Diet)

  • 송영선;노경희;이교연;문정원;이미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91-1200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otal lipid and trans fatty acids(tFAs) content of 157 food items commonly consumed in the Korean diet and to prepare the database for the estimation of tFAs intake in Koreans. Total lipid and tFAs content was determined by Bligh and Dyer method and attenuated total reflection infrared spectroscopy,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FAs in margarines ranged from 0.8% to 25.2%,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s. In bakery products, cakes contained higher levels of tFAs(0.8~16.9%) than hamburgers(0.8~8.4%) and doughnuts(4.9~10%). The distribution of tFAs in crackers and cookies was wide(0.8~25%), whereas meat and fish products contained 0% to 8.9% of tFAs. Fried chickens had 0% to 14.6% of tFAs and French fries had 5.2% to 18.8% of tFAs. In noodles, nuts, chocolates and fermented fish sauces, tfAs were not detec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