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ntasy novel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홍루몽(紅樓夢)』에 나타난 소상관(瀟湘館)의 의경(意境) 분석 (A Study on Spatial Imagery(Yijing) Analysis of the Weeping Bamboo Lodge(Xiaoxiangguan) in #x300E;A Dream of Red Mansions』)

  • 윈쟈옌;김태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8-15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을 통해 중국 청나라 소설 "홍루몽"에 등장하는 가상 정원인 소상관의 의경을 분석하는 것이다.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홍루몽"에 묘사된 가상 정원은 실제로 재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소상관의 의경 분석을 통해 "홍루몽"은 정원 식물들의 의미를 많이 활용하여 의경을 연출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소상관의 주요 조성 이념은 사법자연(師法自然)이며, 대표적인 공간 구성 원리는 곡경통유(曲徑通幽)와 차경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홍루몽"과 "원야"에 나타난 전통정원의 조성 이념이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청나라 소설 "홍루몽"에 나오는 소상관의 의경 분석을 통해 정원 의경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고 향후 정원 의경을 분석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마련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홍루몽"은 중국전통정원 연구에 매우 유효한 자료임이 확인되었다.

대상 소타자로 작용하는 엘런 올렌스카 - 『순수의 시대』에 나타난 남녀관계 (Ellen Olenska as the objet petit 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n Edith Wharton's The Age of Innocence)

  • 이미선
    • 비교문화연구
    • /
    • 제53권
    • /
    • pp.73-102
    • /
    • 2018
  • 이 논문의 목적은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욕망 이론을 토대로 이디스 워튼(Edith Wharton)의 "순수의 시대(The Age of Innocence)"의 두 주인공인 뉴랜드 아처Newland Archer)와 엘런 올렌스카(Countess Ellen Olenska)의 관계에서 엘런을 대상 소타자(objet petit a)로 규정하고 두 사람의 사랑의 불가능성을 욕망의 불가능성으로 읽어내는 것이다. 뉴랜드는 1870년대의 뉴욕 상류사회에서 참된 사랑과 참된 감정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에게 엘런은 뉴욕 상류사회의 틈새와 결핍이자 그의 삶의 틈새와 결핍을 동시에 구현하면서 그 틈새와 결핍을 메울 수 있는 존재, 즉 대상 소타자가 된다. 대상 소타자로서의 엘런은 뉴랜드의 욕망을 작동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지만 뉴랜드는 중요한 순간마다 사회적 규범 속으로 도망침으로써 엘런과의 결합을 지연시키는 방향으로 행동한다. 그의 행동은 욕망의 목적이 대상과의 결합이 아니라 욕망의 순환과 재생산이라는 특성을 보여 준다. 뉴랜드가 마지막 장면에서 엘런과의 재회를 포기하는 것은 엘런을 도달할 수 없는 대상으로, 접근 불가능한 대상으로 유지시키고 그녀를 욕망의 대상으로 영원히 붙잡아 두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논문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런 욕망의 특성을 남녀관계의 특성과 연관시켜서 "순수의 시대"를 남녀관계의 본질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읽어내는 것이다. 주체와 대상 소타자의 관계를 보여주는 뉴랜드와 엘런의 관계는 남성과 여성이 결코 조화로운 관계를 만들어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 음모인가 아니면 단순한 환각인가? - 『제49호 품목의 경매』를 중심으로 (Is it a real Conspiracy or just a Paranoia? : The Crying of Lot 49)

  • 류다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51-458
    • /
    • 2016
  • "제49호 품목의 경매"는 '트리스테로'라는 미스터리한 우편조직의 진실을 찾아가는 오이디파 마스를 통해 작가의 의도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많은 주제 중에서 아마도 가장 중요하고 만연되어 있는 것은 '환각'이라고 할 수 있고, 이는 이 작품의 다른 주제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작품에 내재하는 또 다른 중요한 주제는 바로 '음모'이다. 하지만, 제정신이 아닌 세계에서 현실과 환상을 구별하는 것은 정말로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트리스테로에 대한 존재가 실제 음모인지 아니면 단순한 환각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트리스테로에 대한 정보가 드러난 이후의 세계는 오이디파에게 친숙했던 세계와는 전혀 다른 세계였고, 트리스테로에 대한 그녀의 탐색은 더 이상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었고 그녀는 어떻게든 그 닫혀있는 세계에서 벗어나야만 했다. 그녀가 현실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트리스테로의 비밀을 발견해야만 했었고, 그녀가 보고 들은 것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그녀가 환각 증세를 가지게 되는 것은 아마도 그 상황에 합당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 novel method for natural motion mapping as a strategy of game immediacy

  • Lee, Ji Young;Woo, Tac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5호
    • /
    • pp.2313-2326
    • /
    • 2018
  • The method of operating a game could determine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player and the game character, and thus, in the Virtual Reality, players' control methodologies are important to enhance their immersion.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gam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based on the player's movements.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the method of operating movement conforming to the movement of the character and the physical operation of the body on forming game experiences for the player. The result of performing an experiment increased reality for the game player through a controller in the shape of the actual control, to increase focus in the game. As so, game play through movements, including actual movements by the player displayed to enhance game satisfaction. In the part of media remediation field, Game can be defined as media which has their own unique hypermediacy. Especially, in the motion based game, players' movement mediates players and the game, therefore, players' movement could make players' experience augmented or immediate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s. Even though sports and dances genres of motion-based games are common, RPG or adventure genres are rar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on have been explained in the immediacy. In a game of fantasy, which is difficult to experience in real-life situations, the nature of the player's motion can increase the immersion of the game, which can contribute to utilization of players' motion and experience design in the various genres and suggestion of grounds theory.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able to design motion-based games of various genres.

하워드 패스트의 『이민자들』에 나타난 중국계 미국인 재현 연구 (Chinese-American Representation in Howard Fast's The Immigrants)

  • 이수미
    • 비교문화연구
    • /
    • 제35권
    • /
    • pp.97-122
    • /
    • 2014
  • Since the arrival of Chinese immigrants in the 1850s, many Euro-American writers tended to project their fears, contempt, desires and fantasy onto the Other race and perceived Chinese Americans in stereotypes-dangerous villains, unassimilated aliens, quiet and passive servants, sexually submissive women, or seductive prostitutes. However in the 1970s and the 1980s Euro-American novels expressed varying attitudes towards Chinese Americans. Many earlier EuroAmerican writers began portraying positive characterizations of Chinese Americ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one of the Euro-American writers, Howard Fast characterized Chinese Americans in The Immigrants. Part of the novel concerns a Chinese American family. Fast gave a favorable portrayal of Chinese Americans. Unlike many Euro-American novelists who dealt only with Chinese American villains and prostitutes and view Chinese Americans as the lowest class of American society, Fast, on the other hand, portrayed Chinese Americans as law-abiding and useful citizens. Thus, I will discuss how Howard Fast subverted the familiar negative characterization of Chinese Americans and placed Chinese American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American immigration history. Many white Americans tended to notice only the lurid and sensational aspects in the Chinese American community. They seldom regarded Chinese Americans as people with homes and families and seldom saw Chinese Americans as individuals, as human beings with feelings, pain, and joy. To counter this racist view, Fast described the family life of Chinese Americans and depicted Chinese Americans as individuals with a full range of human emotions and with strong family and cultural ties. Though Fast debunked some myths about Chinese Americans, he also reinforces other stereotypes or some stereotypical illusions about them. In conclusion, I'll demonstrate Fast's work remains an incomplete representation of Chinese Americans.

<하생기우전>의 서사구조와 작가적 의미 - 갈등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Writer's Intent in the Hasaenggiwoojun(何生奇遇傳))

  • 문범두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7호
    • /
    • pp.111-149
    • /
    • 2018
  • 이 연구는 <하생기우전>의 서사구조를 갈등양상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이를 작가의 삶이나 사유방식과 대응시켜 그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구성의 앞부분 갈등 양상은 기존 견해와 다른 방향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입신공명과 애정추구라는 두 가지 다른 지향의 이면에는 주인공의 자기실현 방식이 일관된 문제의식으로 자리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사회 문제로 부터 남녀애정으로 전환되고 있지만 자아의 내면적 지향이 갈등의 동기가 되고, 동시에 그것이 갈등을 극복하는 요인이 되는 방식으로 의미구조가 설정되어 있다. 혼인 허용 여부를 둘러싼 갈등의 이면에는 부모가 누린 삶의 방식에 대한 여인의 저항과 반대가 그 중심을 이룬다. 의미를 확장하면 부모의 개심(改心)은 곧 왜곡되고 편향된 사회의 변화를 상정한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그 사회의 변화는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차원에서 개인의 실천 행위를 통해 구현된다는 점을 나타낸다. 이 작품은 주인공의 '완결된 삶'을 보여주기 위한 과정이 전체 구성을 이루고 있다. 그것은 표면적으로 여인과의 혼인을 통하여 달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사대부 지식인의 삶의 방식과 사회 환경이 어떤 방향으로 변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의미구조의 핵심에 두고 있다. 자아와 세계의 갈등이 내면의 성찰, 도덕적 실천 윤리로 귀결되는 지점에서 해소되는 구조가 이를 반영한다. 의미구조가 이처럼 중의적으로 설정되어있는 것은 이 작품의 뚜렷한 특징이다. 사회 변화로 읽힐 수 있는 여인 부모의 도덕적 윤리적 반성은 결국 훈구세력에 의해 왜곡된 사회 현실이 사림의 이념으로 개선되어 간다는 뜻을 지닌다. 하생과 여인의 혼인, 그 후의 성취로 표현되는 상황은 결국 사림의 실천적 윤리의식이 개인으로부터 사회로 확산해 감으로써 사림 주도의 이상사회를 실현하고자 하는 기재의 의지가 낭만적으로 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창조적 글쓰기'가 개인 및 시대에 미치는 치유적 작용 - '어둠의 남자(Vampire)' 상징을 중심으로 - (Healing Effect of 'Creative Writing' on Individual and on Our Age - Focused on the 'Man of Darkness (Vampire)' Symbol -)

  • 김계희;김기원;한은선
    • 심성연구
    • /
    • 제28권1호
    • /
    • pp.1-49
    • /
    • 2013
  • 이 논문은 '만남'과 '설레임'에서 비롯되었다. 본 논문의 저자는 2013년 2월 중순 경 만나 6월 초에 예정되어있던 원내 학술발표 주제에 대해 상의하였다. "현금(現今) 대중들의 강한 호응을 얻으며 많은 관객들의 발길을 끌어당기고 있는 개봉관 영화들 중에 어린 시절 들었던 옛날이야기들과 유사한 내용의 영화들이 유난히 많이 눈에 띈다. 그런 현상이 신기하다." 라는 대화를 하며 이런 저런 이야기들을 나누다가, 영화 '드라큘라', '트와일라잇 시리즈', '웜바디스(Warm bodies)'에로 자연스럽게 주제가 흘러가게 되고, 저자 공히 이 영화들을 모두 보았으며 또한 매우 인상 깊게 보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학술발표의 주제를 이와 관련하여 정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떠오르고 그것이 말로 표현되는 순간, 가슴 두근거리는 설레임과 두려움과 망설임이 동시에 느껴졌으며, 이렇게 하여 학술발표의 주제가 결정되었다. 학술발표를 준비하고 강연발표하고 청중들과 토론하는 과정 내내 설레임과 열정이 저자와 함께 하였으며, 학술발표집담회에 참석한 청중들 역시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강한 감정반응을 보이며 시간이 지나도록 열띤 토론을 한 후 학술발표를 마치게 되었다. 구연된 발표내용을 그냥 덮어버리려 했으나 웬지 모를 아쉬움이 남고 그 여운이 가시지 않고 있던 중에, 청중들 중 한 분의 조언과 권고에 따라, 논문으로 완성하여 투고하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저자가 만나 설레임과 열정을 공유하며 설레임과 열정이 이끄는 곳으로 동반하던 길 위에서 시도하게 된 하나의 작은 '창조적 글쓰기'이다. 본 논문의 제 l장에서는 '창조적 글쓰기'로 이어진 31세 여성의 꿈을 소개하고 그 꿈 이전과 이후의 여성 개인의 삶이 어떠한지에 대해 조명해 보았으며, 제 2장에서는 개인의 무의식(꿈, 환상)에 나타나거나 체험되는 '창조적 충동'의 귀결(실현 방향) 및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개인에서 보이는 '창조적 충동'은, '내향화' 과정을 통해 개인의 인격의 창조적 변환을 가져오게 되기도 하며, '환상적 창작' 혹은 '외향화' 과정을 통해 '작품'으로 출산되기도 함을 볼 수 있었다. 때로는 두 방향의 귀결이 동시에 함께 일어나기도 하였다. 후일 처녀작 '트와일라잇'이라는 작품으로 완성됨으로써 '작가'로서의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게 한, 스테프니 메이어(Stephenie Meyer)의 '원형적 꿈'을 분석심리학적으로 고찰하고 그 해석을 시도해보았다. 제 3장에서는 개인의 꿈들과 영화 '드라큘라' '트와일라잇 시리즈' '웜바디스' 등을 조명해 보면서, 개인의 꿈들과 대중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는 소설, 영화 등의 일부 예술작품에서 '어둠의 남자(뱀파이어, 좀비)'의 모습(像)에 변환이 있으며, 인간인 여성과 사랑에 빠지게 되고 사랑이 결실을 맺기도 하며, 또한 어둠의 남자(뱀파이어)에 대한 의식의 자아의 태도와 상호 관계양상에 있어서도 매우 인상적인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현금의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해, 왜 이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인지 이와 같은 변화는 그 개인 및 이 시대와 어떤 관련이 있으며 개인 및 시대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인지 등에 대해 숙고해 보았다. 인간의 마음 심층(深層)으로부터 솟아오르는 '창조적 충동'은 '개인의 인격의 창조적 변환'으로 실현되거나 예술적 창조를 통해 '작품'으로 출산되기도 하며 시대의 인연과 닿을 경우 그 시대의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게 됨으로써, 개인과 시대를 새롭게 할 수 있는 치유와 구원의 작용을 가져오게 되기도 함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창조적 충동'의 긍정적이고 치유적인 측면에 대해 주로 조명해 보았으며, '창조적 충동'이 초래할 수 있는 부정적인 귀결 및 그 원인에 대한 고찰은 후일 기회가 되면 새로운 논문을 통해 다시 다루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