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resemblanc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1초

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한 과학 PCK 변화 탐색 (Exploring Changes in Science PCK Characteristics through a Family Resemblance Approach)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5-248
    • /
    • 2022
  •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 학생의 교육과정 선택권 확대 등과 같은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과학교사의 전문성인 PCK에도 변화가 요청된다. 즉, 기존 합의-PCK를 구성하는 범주 및 과학 PCK의 특성은 고정된 것이 아니어서 새로운 범주와 특성이 추가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해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요구되는 과학 PCK의 잠재성의 영역을 '가족유사성 과학 PCK'의 형태로 탐구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의 초점집단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초점집단 심층면담에서는 미래사회와 교육환경 변화로 인해 2030년-2045년의 가까운 미래 학교의 과학교사에게 요구되는 과학 PCK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를 논의하였다. 심층면담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함과 동시에 기존 합의-PCK와 차별화되는 가족유사성-PCK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심층면담 텍스트에 대한 언어네트워크(semantic network)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미래사회 교사의 역할기대가 변함에 따라 새롭게 요청되는 과학교사의 가족유사성-PCK의 특징을 PCK 구성 영역별로 살펴보았다. 미래학교 과학교사에게 요구되는 가족유사성-PCK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가족유사성-PCK는 출발점에 해당하는 기존 합의-PCK로부터 그 외연이 확장되면서 새로운 PCK요소가 추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유사성-PCK의 양태를 살펴보면, [인공지능-융복합지식-콘텐츠-디지털], [지역사회-네트워크-인적자원-관계], [기술-탐구-가상현실-연구], [자기주도학습-협업-공동체] 등이 뚜렷한 네트워크 군집을 형성하면서 미래학교의 과학교사의 전문성을 형성,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학교 과학교사 전문성의 변화 동향과 대처 방안을 결론으로 제안하였다.

가족 유사성 접근법을 적용한 물체의 빠르기 주제의 융합지식 구성 연구 (Constructing Convergence Knowledge on Velocity with Family Resemblance Approach)

  • 이수아;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2호
    • /
    • pp.188-205
    • /
    • 2018
  • For STEM education science teachers usually choose topics which are related to both science and other disciplinary contents. Nevertheless it is not clear for the teachers to adopt what kind of criteria for their choices. Interdisciplinary teaching is not a mixture of science content with another one from different disciplines as resources for the content teaching. Instead the criteria and perspectives for the integration need to be clearly defin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o integrate science and other disciplines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teaching. Family resemblance approach by Wittgenstein, recently revised by Erduran and Dagher, was applied to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 math,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ocuments in Korea. Aim and value, methodological rules and methods, knowledge, and activities in each discipline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view of FRA. Results of the study described alternative criteria of how to find appropriate topics for interdisciplinary teaching.

지구과학의 본성에 대한 연구방법 제안 -현상학적 접근 및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가족유사성 접근의 활용- (Suggesting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Nature of Earth Science: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Family Resemblance Approach to NOS)

  • 박원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1-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현상학적 접근 및 NOS-가족 유사성 접근을 적용하여 지구과학의 본성을 규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현상학적 접근은 지구과학에 고정된 본질이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상황의 요청에 따라 본성 자체가 유동적인 것임을 전제로 한다. 이는 직관적으로 드러난 감각적 현상들을 통해 지구과학의 다면적 특성을 편견 없이 모두 수집, 분석하고 종합하는 방법이다. 현상학적 접근은 학문적 세계의 토대를 이루는 생활세계를 직시하면서 지구과학의 본성을 탐구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지구과학이 가지는 풍부함과 복잡성, 역동성을 드러낼 수 있다. 현상학적 관점에서 지구과학의 본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가족유사성 접근을 제안하였다. NOS-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해, 조금씩 차이점을 가지는 다양한 과학의 영역들이 서로서로 공유하는 특성들을 조합함으로써 과학의 본성(NOS)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를 지구과학의 본성에 적용하면 지구과학을 '가족'으로 만들어주는 일반적인(domain-general) 특성과 영역별로 특수한(domain-specific) 특성을 동시에 규명할 수 있다. 예컨대 지구과학을 구성하는 학문영역인 지질학, 대기 과학, 해양학, 천문학, 지구시스템 과학 등등이 서로 공유하는 특징들의 네트워킹을 통해 이들 학문영역을 지구과학이라는 가족으로 특징짓는 가족유사성을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구과학의 본성을 총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구과학의 본성에 대한 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해 지구과학을 구성하는 하위 영역 학문의 특성이 달라짐에 따라 변화하는 지구과학의 본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교과목으로서 지구과학의 위상과 발전체계를 정립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교과서 분석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여러 관점의 비교 -전통적 접근, 과학의 특성, 가족 유사성 관점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rious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extbook Analysis Centering on the Consensus View, Features of Science, and Family Resemblance Approach)

  • 조헌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81-694
    • /
    • 2019
  • This study intends to delineat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 science (NOS)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Thus, centering on a science textbook calle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this study analyzes the elements of the NOS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the consensus view, features of science (FOS), and family resemblance approach (FRA). While the consensus view highlights the similar elements of the NOS across the topics, the FOS is concerned about empirical ways for doing science. The FRA rather focuses on socio-cultural aspects of science activities. While the consensus view is useful to reify the features of the NOS, the FRA helps to understand science from various viewpoints. Regarding the philosophical account for three perspectives, all of them are ambiguous to some extent. The consensus view holds contradictory dispositions e.g., relativism vs. (post-)positivism, and critical realism and instrumentalism. The FOS supports empirical tradition but cannot effectively cope with the anomalous situation. The FRA is useful to show up the ways of science in both microscopic (personal) and macroscopic (social) viewpoints. However, the broader concept about science may mislead understanding of the NOS.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s some implication for improving the framework of the NOS and teaching the NOS in the classroom.

융합적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실행 -조사연구 및 자기연구-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Practice on Convergent Science Teaching: Survey and Self-Study)

  • 이수아;전영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9-374
    • /
    • 2020
  • 본 연구는 조사연구와 자기연구의 복합 형태로 구성되었다. 조사연구로서 초등 교사의 융합 수업 및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대표하는 사례로서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융합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로서 나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살펴보고, 속력을 주제로 수학-과학-체육의 가족 유사성에 근거한 융합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지도한 양상을 자기연구로 실행하였다. 초등 교사들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개방형 검사 문항을 초등 교사 28명에게 서면 질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에 참여했던 초등 교사들은 융합 수업을 교과 활용적 접근 또는 다학문적 접근의 융합으로 생각하였다. 융합 지식을 개별 교과의 집합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융합된 지식은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습득할 수 있다는 인식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 역시 비슷한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자기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나는 가족유사성의 범주별 분석 결과와 그것에 근거한 융합 지식 체계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활동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수학의 단위, 비와 비율의 개념은 과학의 속력 개념과 연계되어 있어서 두 교과의 개념을 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체육 활동은 수학과 과학 개념을 융합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맥락을 제공하여 간학문적 접근의 융합 수업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가족유사성에 근거한 간학문적 융합 지식 체계와 교사인 나의 인식론적 신념 간의 간극과 해결 양상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인공지능 미술작품과 매체 지각 (Artificial intelligence Artworks and Media Perception)

  • 허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741-74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기술들이 속속 발명되는 오늘날 인공지능 기술이 예술과 만나 어떠한 매체 지각을 수용자로 경험케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인공지능 작품들 중 지각과 관련되여 부각되는 작품들을 위주로 하여 인공지능 기술이 예술과 만나 어떠한 매체 지각을 수용자로 경험케 하는지 알아보았다. 인공지능 미술의 매체 지각으로 기계 환각, 언캐니 그리고 인공 공감의 특성을 규명하면서 이러한 지각들이 결국은 가족유사성 안에서 아우라 지각임을 규명하였다.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은 더욱 발달하게 되고 예술가들은 그들의 실험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예술가들에 의해 생성된 작품들은 새로운 경험들을 관객에게 제공하면서 관객들의 지각 경험을 확장 해 가리라 기대해 본다.

심리적 본질주의와 범주표상 (Psychological Essentialism and Category Representation)

  • 김신우;조준형;이형철
    • 인지과학
    • /
    • 제32권2호
    • /
    • pp.55-73
    • /
    • 2021
  • 심리적 본질주의에 따르면 사람들은 어떤 범주를 규정하는 숨겨진 본질 속성(essential properties)이 있으며 이것이 그 범주가 가지는 전형적 속성들의 인과적 원인이라는 믿음을 가진다(Gelman, 2003; Hirschfeld, 1996; Medin & Ortony, 1989). 이러한 본질주의적인 믿음은 범주가 단순히 상관을 가진 속성의 집합("clusters of correlated features")이라고 제안한 Rosch (1973, 1978)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 속성의 통계적 상관, 즉 가족 유사성만을 가진 범주와 달리 본질화된 범주는 범주간 경계가 매우 뚜렷하며 범주내 개체들이 동질적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Gelman, 2003; Prentice & Miller, 2007). 본질주의적 믿음이 범주 표상(범주간 경계, 범주내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두 개의 실험을 실시했다. 참가자들은 조건에 따라 가족 유사성 범주와 본질화된 범주를 학습한 다음 범주화 과제(실험 1)와 범주 예시들의 빈도 추정 과제(실험 2)를 실시했다. 그 결과 본질화된 범주에서 범주간 경계가 더 뚜렷해졌으며 범주내 응집성이 높아졌다. 이 결과는 범주 속성의 단서 타당도와 범주 타당도가 증가하여 발생한 것으로 본질주의적인 믿음이 범주구조의 거시적인 표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수적 추론 도구로서 논증구조를 활용한 과학과 예비교사들의 가족유사성 PCK 특성 탐색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Science PCK and the Role of Argumentation Structure as a Pedagogical Reasoning Tool)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6-71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논증구조를 교수적 추론 도구로 활용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말하는 논증구조의 역할과 실효성을 탐구하고,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보여주는 PCK 특성을 탐구하려는 것이다. 논증구조를 활용한 수업 계획과 성찰을 체험하는 일련의 교수적 추론과정에서 교사의 PCK가 발휘되므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보여주는 미래지향적 가족유사성 PCK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15명의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참여하여 논증구조를 활용하여 수업설계와 수업시연을 체험하고, 학기말에 수업 체험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함과 동시에 예비교사들의 가족유사성 PCK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예비교사들은 논증구조를 적용하면서 수업을 조직적으로 계획하고, 사실에서 결론에 이르기까지 관련된 논증요소를 구분함으로써 짜임새 있게 수업을 구성하였다. 논증구조 구성요소별 특징을 살펴보면, 예비교사들은 사실과 결론의 징검다리인 논거, 반박, 한정어 등을 찾아내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증구조로 인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PCK 영역은 과학수업 실천 부분으로, 수업내용에 적합한 수업모형선정, 과학수업을 통한 데이터 리터러시와 디지털 역량개발 등을 예비교사들은 강조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수적 추론 도구로서 논증구조의 잠재력과 활용 가능성, 논증구조를 활용한 과학수업을 체험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탐구와 추론 역량 개발의 가능성, 논증구조를 교수적 추론 도구로 활용하는 교사교육 프로토콜 개발의 필요성 등을 결론으로 제언하였다.

Cases and Features of Abductive Inference Conducted by a Young Child to Explain Natural Phenomena in Everyday Life

  • Joung, Yong-Ja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7-21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ses and features of the abductive inference used by young children when trying to explain natural phenomena in everyday life. From observing a 5-year-old's daily activities with his family, and analyz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criterion extracted from the form of abductive inference described by C. S. Peirce, a few cases where the child used abductive inferences to explain natural phenomena were found. The abductive inferences in the cases were conducted: (a) based on figural resemblance and behavioral resemblance (b) under the influence by individual belief and communal belief, then (c) resulted in new categorization accompanied by over generalization. Such features of the abductive inference showed the 'double faces'; sometimes encourages and sometimes discourages children's generating better scientific hypotheses and explan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young children use abductive inference to explain doubtful natural phenomena in everyday life, although we need to consider carefully with the double aspects of the features of abductive inference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s to the fields of science education. Finally, several suggestions and following studies for science education are proposed.

Influence of Co-Habitation on a Family Line Resemblance in Nutrient and Food-Group Intake among Three Generations of Japanese Women

  • Sasaki, Satoshi;Tsuji, Tomiko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5권2호
    • /
    • pp.93-104
    • /
    • 2003
  • Although a generation-related difference in nutrient and food-group intake has been broadly recognized in the Japanese population,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of intakes with consideration of a family line and co-habitation status. We conducted a dietary survey usi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dietetic course in Aichi, Japan, and their mothers and grandmothers. A validated self-administered diet history questionnaire was used for assessment of intakes. Data from 110 famil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means of 13 nutrients and 10 food groups (of the 15 and 14, respective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eneration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carbohydrate, protein, saturated fatty acid, cholesterol, and fish intakes between the students living with their mothers and those apart. In the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generations, moderate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most nutrients and food groups between the students and their mothers living together (correlation range = 0.30-0.61 for nutrients, and = 0.21 -0.56 for food groups). A wide variation with no consistency was observ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heir grandmothers (-0.18 -0.59 and -0.33 -0.65, respectively), No meaningful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ny two generations living apart. Among the food groups examined, pulses, fish, and vegetables showed relatively large difference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wo groups with different living conditions. When living togeth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nutrients and food groups between the students and their mother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frequency of eating out by the stud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ving together and eating together were an important factor for the resemblance in dietary habits between generations in the population with a marked generation-related difference in intakes. (J Community Nutrition 5(2) : 93-104,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