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se-alarm rate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1초

하이브리드 신뢰도를 이용한 제한 영역 핵심어 검출 성능향상 (Improvement of Domain-specific Keyword Spotting Performance Using Hybrid Confidence Measure)

  • 이경록;서현철;최승호;최승호;김진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632-64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RLJ-신뢰도 (RLJ-confidence measure)와 정규화 신뢰도 (normalized CM)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ACM (Anti-filler CM)을 제안하였고, HCM (hybrid CM)을 이용하여 기존의 NCM과 제안한 ACM을 통합하였다. 제안된 ACM은 기존 신뢰도의 단점 중 하나인 오인증 (FA: false acceptance)의 원인이 반음소 모델의 구성방법에 있다고 보고 음소 인식기를 이용하여 실제 음소 수열을 추정한 다음, 이를 반음소 모델로 정의하고 신뢰도를 계산하였다. 두 가지 신뢰도의 특성을 살펴보면, 기존 NCM(FR: false rejection)에 좋은 성능을 보이고, 제안한 ACM은 FA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 두 신뢰도가 상보적인 특성을 가진다 이를 이용하여 두 가지 신뢰도를 가중치 벡터 α를 이용하여 통합하고 이를 합성 신뢰도 (HCM: Hybrid CM)라고 정의하였다. 실험결과 미검출율 (MDR: missed detection rate) 10%부근에서, HCM 적용시에 0.219 FA/KW/HR (false alarm/keyword/how)로서 NCM 단독사용에 비해 성능이 22% 향상되었다.

음성 패킷을 이용한 채널의 에러 정보 전달 (Transmission of Channel Error Information over Voice Packet)

  • 박호종;차성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94-400
    • /
    • 2002
  • 디지털 음성 통신에서 송신하는 음성 패킷의 전송 에러율을 알면 송신 채널 상황에 적합한 압축 동작을 통하여 전체 통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이동통신과 인터넷 통신에서는 음성 패킷의 전송 에러정보를 알려주는 프로토콜이 지원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채널의 전송 에러 정보를 음성 패킷에 삽입하여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채널 에러 정보 삽입 방법은 ACELP (algebraic code-excited linear predictin) 코드벡터의 펄스 위치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며, 이를 통하여 추가정보 삽입에 의한 음질 저하를 막고 오인식율을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측정하였으며 음질의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정보의 검출 능력과 오인식율에서 만족할 만한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압축파 검사 모듈을 이용한 돌발상황 검지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Incident Detection Model Using Compression Wave Test Module)

  • 이환필;김남선;오영태;김수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7-88
    • /
    • 2004
  • 본 연구는 고속도로 구간의 돌발상황 검지 모형에서 돌발상황과 비슷한 특성으로 오경보를 일으키게 되는 유사 돌발상황의 하나인 압축파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모형의 개발에 있다. 연구는 현재 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FTMS)에 사용되는 다목적 돌발상황 검지 모형(APID)의 압축파 검사를 기반으로 이를 압축파 검사를 수행하지 않는 타 모형(DES, DELOS)에 적용가능하도록 모듈화시켜 오경보 발생건수가 감소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평가에 있어서는 모형의 민감도 측면에 초점을 두고 polling cycle별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각 polling cycle별로 모형이 교통상황을 얼마나 반영하는지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기존, 개발 모형들에 대한 전반적인 검지율와 오검지율, 평균 검지시간을 산정하도록 하였다. 개발 모형을 적용한 결과 혼잡상태에서 발생하는 오경보 횟수가 상당부분 감소하여 오검지율이 개선되었으며 검지율, 평균검지시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모형을 이용하여 실제 고속도로 교통 관리 시스템에도 적용시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DS-CDMA 시스템을 위한 적응 혼합 검색형 동기획득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n Adaptive Hybrid Search Code Acquisition Algorithm for DS-CDMA Systems)

  • 박형래;양연실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3C호
    • /
    • pp.83-9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DS-CDMA 시스템을 위한 적응 혼합 검색형 동기획득 알고리즘의 성능을 저속 페이딩 환경에서 해석한다. 먼저, CDMA 순방향 링크에서의 간섭의 불안정성 (nonstationarity)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CFAR (constant false alarm rate) 특성을 갖도록 동기획득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설계된 알고리즘의 평균 동기획득 시간 (mean acquisition time)을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주파수 선택성 레일라이 페이딩 환경에서 신호탐지 확률, 탐지실패 확률, 및 오경보 율을 유도한다. 성능 해석 시 저속 페이딩 환경을 고려해, 수신 신호의 포락선이 PDI(post-detection integration) 구간 동안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끝으로 설계된 동기획득 알고리즘 대하여 부 윈도우 (sub-window)의 크기, PDI 크기, 판정 임계치 등에 따른 동기획득 성능의 변화를 cdma2000 환경을 고려하여 분석한다.

정규화 신뢰도를 이용한 핵심어 검출 성능향상 (Improvement of Keyword Spotting Performance Using Normalized Confidence Measure)

  • 김철;이경록;김진영;최승호;최승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0-386
    • /
    • 2002
  • Rahim의 논문 (M.G. Rahim, et al., PROC. of ICASSP96, 1996)과 같은 기존의 후처리 방법은 음소 모델과 반모델 (anti-model)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음소 단위 신뢰도를 계산하고, 이들의 평균을 단어 단위 신뢰도로 정의한다. 그런데 음소단위의 신뢰도가 동일한 확률밀도함수를 갖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특정단어의 경우 계산된 신뢰도는 대체로 낮은 값을 갖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신뢰도를 통계적으로 정규화한 신뢰도를 제안한다. 즉 음소단위의 신뢰도가 가우시안 분포를 갖는다고 가정한 후 트라이 폰(sri-phone) 단위로 정규화하여 동일한 정규분포를 갖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문맥종속 핵심어 모델과 문맥독립 필러 모델을 이용한 일반적인 핵심어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정규화 신뢰도 (NCM: Normalized Confidence Measure)가 불검출율 (WDR: Missed Detection Rate) 8%정도에서 오검출율 (PAR: false alarm rate)을 0.44에서 0.33 FA/KW/HR (false alarm/keyword/hour)로 저하시켰다. 이것은 오검출율에서 성능이 25% 향상된 것이다.

TOA Estimation Technique for IR-UWB Based on Homogeneity Test

  • Djeddou, Mustapha;Zeher, Hichem;Nekachtali, Younes;Drouiche, Karim
    • ETRI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757-766
    • /
    • 2013
  • This paper deals with the estimation of the time of arrival (TOA) of ultra-wideband signals under IEEE 802.15.4a channel models. The proposed approach is based on a randomness test and consists of determining whether an autoregressive (AR) process modeling an energy frame is random or not by using a distance to measure the randomness. The proposed method uses a threshold that is derived analytically according to a preset false alarm probability. To highlight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pproach, simulation setups as well as real data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new TOA estimation algorithm. Thereby,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the cell averaging constant false alarm rate technique, the threshold comparison algorithm, and the technique based on maximum energy selection with search back. The obtained results are promising, considering both simulations and collected real-life data.

결함크기 측정오차로 인한 오검률의 통계적 예측 (Statistical Prediction of False Alarm Rates in Automatic Vision Inspection System)

  • 주영복;허경무;박길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9년도 정보 및 제어 심포지움 논문집
    • /
    • pp.163-165
    • /
    • 2009
  • Automatic Vision Inspection(AVI) systems automatically detect defect features and measure their sizes via camera vision.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an AVI to meet customer's specification in adv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atistical method for prediction of false alarm rate regarding inconsistency of defect size measuremet process. We only need are a simple experimental trial for repeated defect size measurement test. The statistical features from the experiement are utilized in the prediction process.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is swift and easy to implement and use. The experiment shows a close prediction compared to manual inspection results.

  • PDF

자동결함 검출시스템에서 결함크기 측정오차로 인한 오검률의 통계적 예측 (Statistical Prediction of False Alarm Rates in Automatic Vision Inspection System)

  • 주영복;허경무;박길홈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906-908
    • /
    • 2009
  • AVI (Automatic Vision Inspection) systems automatically detect defect features and measure their sizes via camera vision.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an AVI to meet customer's specification in advance. Also the prediction can indicate the level of current performance of an AVI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atistical method for prediction of false alarm rate regarding inconsistency of defect size measurement process. For this purpose, only simple experiments are needed to measure the defect sizes for certain number of times. The statistical features from the experiment are utilized in the prediction process.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is swift and easy to implement and use. The experiment shows a close prediction compared to manual inspection results.

Analysis of GNSS Signal Acquisition Performance Spreading Zadoff-Chu Codes

  • Jo, Gwang Hee;Choi, Yun Sub;Lim, Deok Won;Lee, Sang Jeong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8권1호
    • /
    • pp.13-18
    • /
    • 2019
  • This paper analyzes the signal acquisition performance of the legacy GNSS spreading codes and a polyphase code. The code length and chip rate of a polyphase code are assumed to be same as those of the GPS L1 C/A and Galileo E1C codes. The autocorrelation and cross correlation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In addition, a way to calculate a more accurate probability of false alarm for a code with sidelobe non-zero auto-correlation function is proposed. Finally, we estimate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and the mean acquisition time for a given signal strength and the probability of false alarm.

점멸성 비화염 검출을 제거하는 웨이블릿변환 기반의 컬러영상 화염 검출 방법 (A Color Video Flame Detection Method based on Wavelet Transform to Remove Flickering Non-Flame Detection)

  • 누완;이현술;김원호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9-94
    • /
    • 2013
  • 본 논문은 컬러 영상에서 화염검출 시 주기적으로 점멸하는 비화염 물체 검출을 제거하기 위해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화염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 화염검출 알고리즘에서는 화염의 색상과 시간적인 변화와 공간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화염을 판정한다. 하지만 자동차 경광등, 방향지시등과 같이 점멸하면서 화염과 비슷한 특성을 보이는 물체를 화염으로 검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주기적으로 점멸하면서 화염과 비슷한 특성을 보이는 비화염 요소의 주기성을 판별하여 오검출을 감소시킨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화염의 색상과 영상 차분 기법으로 화염 후보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영역에 대하여 웨이블렛 변환 계수를 분석하여 주기성을 갖는 오검출 요소를 포함한 비화염 영역을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모의실험 결과, 주기성을 갖는 비화염 영역을 제거하였고 97.9%의 검출율과 7.3%의 낮은 오검출율 성능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