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ling rate of drying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유채 종자의 수본확산계수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 ;홍상진;한재웅;금동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5호
    • /
    • pp.296-302
    • /
    • 2008
  • The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and its dependence on drying temperature during drying of rapeseed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data were recorded from thin layer drying experiments at nine different combinations of drying air temperatures of 40, 50, and $60^{\circ}C$ and the relative humidities of 30, 45, and 60%. The moisture diffusion equation was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i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moisture diffusion equation for a spherical shape using Fick's second law. The effective diffusivities during the drying of rapeseed were $l.72{\times}10^{-11}$, $2.41{\times}10^{-11}$ and $3.31{\times}10^{-11}\;m^2{\cdot}s^{-1}$ at 40, 50 and $60^{\circ}C$, respectively. The activation energy for moisture diffusion during drying was $28.47\;kJ{\cdot}mol^{-1}$. The dependence of moisture diffusivity on temperature was described by an Arrhenius-type equation. Drying occurred in the falling rate period and the internal moisture diffusion phenomenon is the governing physical mechanism of the moisture movement in the particles.

Dehydration Kinetics of Rehmannia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 Rhim, Jong-Whan;Kim, Ji-Hye;Jeong, Won-Ch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71-777
    • /
    • 2007
  • Sliced and whole root of rehmannia were dehydrated in a laboratory dryer at 40, 60, 80, and $100^{\circ}C$ to evaluate the kinetic parameters for dehydration of rehmannia. The drying curves of both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a falling-rate drying period only. Sliced rehmannia dried 1.1 to 3.1 times faster than whole root of rehmannia depending on drying temperatur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of rehmannia samples at the drying temperature tested were 0.069-0.078 g water/g dry solid, which was coincided with the monolayer moisture content (0.06 and 0.07 g water/g dry solid) evaluated from desorption isotherms using GAB (Guggenheim-Anderson-de Boer) model. A logarithmic model for thin layer drying was applied to evaluate the drying time to reach EMC ($t_{EMC}$) and drying constant (k).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1/t_{EMC}$ and k was described by the Arrhenius model with activation energy values of 32.56 and 47.14 kJ/mol determined using the former parameter, and 34.27 and 38.26 kJ/mol determined using the latter parameter for sliced and whole root of rehmannia, respectively.

第二減速 乾燥期에 있어서의 假濕球溫度의 普偏性 (The Universality of the Pseudo Wet Bulb Temperature During the Second Falling Rate Period)

  • 박성신
    • 대한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6-116
    • /
    • 1972
  • 물 및 Methyl Alcohol 과 같은 液體에 젖은 巨大孔 不活性 微少孔 不活性 및 微小孔 濕潤性 物質을 乾燥할때 假濕球 溫度가 普扁的으로 形成되며 假濕球 溫度는 空氣乾操의 第 2 減速期中 乾球溫度와 濕球溫道間에 나타난 하나의 새로운 一定溫道이다. 이 溫度는 液體 空氣 境界에서의 熱傳達, 蒸氣壙散, 液體蒸發 現象을 考慮한 式으로 計算되며 Nissan Bolles 및 George가 誘導한 式에 依하여 計算된 數値는 實險結果値와 一致한다.

  • PDF

도시하수 Sludge의 초고주파 건조 (Drying of Sewage Sludge Using Microwave Energy)

  • 최병순;이동훈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6권1호
    • /
    • pp.40-46
    • /
    • 1997
  • 하수처리에 있어서 오니 처분 문제는 아주 심각하다. 슬러지의 최종처분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수분제거하 할 수 있다. 슬러지 건조는 가열에 의해 고.액을 분리하여 재이용, 소각, 처분을 위한 전처리 공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주파로 하수오니를 건조후,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초고주파 건조는 속도가 빠르고 효율이 매우 높다. 건조시 물질전달은 1차원적이라 가정하였다. 건조속도곡선에서, 감율속도기간에서의 수분이동은 확산에 의한다. 두께 0.2cm인 시료에서 모델과 실험결과가 일치함을 알 수 있다.

  • PDF

고추의 동시탈종(同時脫種) 건조방법(乾燥方法)의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 고추씨의 분리방법(分離方法)과 운동량(運動量)의 분석(分析)- (Development of a Simultaneous Seed Separation and Drying Method of Red Pepper -Part I. Red Pepper Seed Separation Methods and Their Momentum Analysis-)

  • 전재근;박상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67
    • /
    • 1977
  • 고추씨를 분리(分離)하는 방법(方法)으로 자유낙하(自由落下), 상하진탕, 회전사(回轉篩)를 이용(利用)하는 방법(方法)과 그 기구(機構)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 씨의 분리(分離)는 고추에 가(加)해 주는 충격량(衝擊量)으로 설명(說明)할 수있었으며, 이를 운동량(運動量)의 크기로 분석(分析)하였다. 씨의 분리(分離)에 기여(寄與)하는 운동량(運動量)의 영향은 속도(速度)를 얻은 방법(方法)에 따라 상이(相異)하였다. 한편 동일속도하(同一速度下)에서 운동량(運動量)의 씨분리효과(分離?果)를 산출(算出)하였으며, 자유낙하(自由落下), 상하진탕 및 회전사방법(回轉篩方法)에서 각각(各各) $2.50{\times}10^{-6}$, $2.09{\times}10^{-6}$$3.94{\times}10^{-8}$의 값을 보였다. 고추씨의 분리속도(分離速度)의 변화율(變化率)은 고추의 건조속도(乾燥速度)의 변화율(變化率)과 유사한 경시적(經時的) 변화양상(變化樣相)을 갖고 있었다.

  • PDF

능이버섯의 건조과정 중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in Aroma Characteristics of Neungee (Sarcodon aspratus) during Drying Period)

  • 민용규;정옥진;박지은;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80-786
    • /
    • 2002
  • 능이버섯의 건조특성에 미치는 외부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도 3수준$(30^{\circ}C,\;50^{\circ}C,\;70^{\circ}C)$과 풍속 3수준(0.5 m/sec, 1.0 m/sec, 1.5 m/sec)에서 능이버섯의 건조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조건에서의 향기성분과 건조과정 중 향기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능이버섯의 건조는 상당기간이 감률건조기간으로 나타났으며, 건조속도는 건조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했으나, 풍속은 건조에 미치는 영향이 작게 나타났다. 건조온도 $50^{\circ}C$, 풍속 1.5 m/sec의 건조조건에서 1-octen-3-ol, 3-octanone, 1-octanol, 3-octanol등의 peak area가 각각 17976, 11570, 1016, 1077로 다른 건조온도 조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건조시간에 따른 능이버섯의 주요 향기성분 함량 변화를 보면 1-octen-3-ol을 비롯한 1-octanol, 2-octen-1-ol, 3-octanol 등의 $C_8$ 화합물 peak area가 크게 감소하였고, C8 화합물 중 1-octen-3-one, 3-octane등의 상대적 함량비는 증가하였다. 또한 건조과정 중 butyric acid, propanoic acid, 3-methyl thiopropanol 등과 같은 화합물이 생성되었다.

식품보장과 수분활성에 관한 연구 3. 어육의 건조 및 저장중의 품질 (Studies on Food Preservation by Controlling Water Activity III. Quality Changes of Fish Meat during Drying and Storage)

  • 한봉호;이종갑;배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89
    • /
    • 1983
  • 말쥐치육을 시료로하여, 건조중과 건어육 저장중의 갈변과 미생물조성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40^{\circ}C,\;50^{\circ}C$에서의 강제송풍식건조중에는 지방산화가 Maillard반응보다 갈기색소물질의 형성에 다소 깊이 관여하였다. 건조중의 지방산화는 감속건조기에서의 말쥐치 건조표면의 수분활성에 영향을 받아서, 공기의 상대습도가 $30\%$일 때 지방산화가 가장 늦었고, 상대습도가 $20\%,\;10\%$로 낮아지거나 $40\%,\;50\%$로 높아질수록 지방산화가 촉진되었다. 건제품을 $30^{\circ}C$에 저장하였을 때에도 갈변색소물질의 형성에는 지방산화가 Maillard 반응보다 다소 깊이 관여하였다. 수분활성 $0.12{\sim}0.76$의 범위에서 지방산화가 가장 늦었던 것은 수분활성 0.33부근이었다. $6\%$의 sucrose, $1.5\%$의 D-sorbitol을 첨가하였던 건어육을 $30^{\circ}C$에 저장하였을때 지방산화가 가장 늦은 수분활성은 0.33보다 다소 낮아졌으며, 평형수분함량의 증가에 따른 이동성(mobility)의 증대로 인한듯한 수용성갈변색소물질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건조직후의 말쥐치육의 미생물조성은 구균 $30\%$, 간균 $65\%$, 곰팡이와 효모가 $5\%$정도였다. 저장중에는 전체 미생물중 구균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였고, 비포자 Gram 음성간균은 감소하였으며, 비포자 Gram 장성균과 포자형성균 및 곰팡이, 효모가 차지하는 비율은 거의 일정하였다.

  • PDF

태양(太陽) 열(熱 )집열기(集熱機)를 이용(利用)한 벼의 건조(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Drying of Rough Rice by Solar Collectors)

  • 장규섭;김만수;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64-272
    • /
    • 1979
  • 곡물(穀物)의 천일(天日) 건조(乾燥)와 연료(燃料)를 열원(熱源)으로 하는 열풍(熱風) 건조(乾燥)의 문제점(問題點)을 보완(補完)하기 위(爲)한 시도(試圖)로서 구조(構造)가 간단(簡單)하고 제작비(製作費)가 저렴(低廉)한 평판(平板) 집열기(集熱機)와 튜브형(型) 집열기(集熱機)를 설계(設計) 제작(製作)하여 활용(活用)에 필요(必要)한 기초적(基礎的)인 것을 연구(硏究) 검토(檢討) 하였으며, 실제(實際) 곡물(穀物)을 grain bin에 넣고 집열기(集熱機)를 부착(附着)하였을 때 건조(乾燥)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978년도(年度) 대전(大田) 지방(地方)의 일조(日照) 시수(時數)에 의(依)한 수평면(水平面) 일사량(日射量)은 5월(月)이 $16,814\;KJ/m^2{\cdot}day$로 가장 높았고 12월(月) $4,254\;KJ/m^2{\cdot}day$로 가장 낮았으며 기록치(記錄値)와 계산치(計算値)에 의(依)한 유의성(有意性)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곡물(穀物) 건조(乾燥) 기간(期間)(10월(月) 21일(日)${\sim}$28일(日))동안 오전(午前) 오후(午後) 두차례에 걸쳐 집열기(集熱機)의 효율(效率)을 산출(算出) 하였던 바, 일사량(日射量)이 클수록 효율(效率)도 높았으며 11${\sim}$12시(時)사이의 평판(平板) 집열기(集熱機)의 평균(平均) 효율(效率)은 28.12 로서 튜브형(型)의 16.75 보다 11.37 %가 높았다. 3. 건조(乾燥) 기간중(期間中) 12시(時)를 기준(基準)으로 한 grain bin 입구(入口)의 온도(溫度)는 대비구(對比區)가 20.02, 튜브형(型) 집열기(集熱機)에 연결(連結)된 grain bin이 40.5, 평판(平板) 집열기(集熱機)의 grain bin이 $55.1^{\circ}C$로서 큰 차이(差異)를 나타냈으며 grain bin내(內) 곡물(穀物) 추적(推積) 두께에 따른 온도(溫度) 변화(變化)에서 평판(平板) 집열기(集熱機)와 튜브형(型) 집열기(集熱機)의 grain bin은 곡물층(穀物層)이 두꺼울 수록 낮았으나 대비구(對比區)는 별차이(別差異)가 없었다. 4. 초기(初期) 수분(水分) 함량(含量)이 27.4%인 곡물(穀物)을 17.0%(생체중(生體中) 14.5%)까지 떨어 뜨리는데 25 cm 곡물(穀物) 두께에서 대비구(對比區)가 32, 튜브형(型)의 grain bin이 18, 평판(平板) 집열기(集熱機)의 grain bin이 11시간(時間)이 걸렸으며, 곡물(穀物) 추적(推積) 두께는 건조(乾燥) 속도(速度)에 커다란 영향(影響)을 미쳤고, 건조(乾燥) 특성(特性)은 초기(初期) 감률(減率) 건조기(乾燥期)를 걸쳐 항률(恒率) 건조기(乾燥期)로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