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con 9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초

Falcon 9 방식의 한국형 재사용 발사체 및 정지궤도 발사체 임무설계 (Falcon 9 Type Korean RLV and GTO-LV Mission Design)

  • 이금오;서대반;임병직;이준성;박재성;최수진;이기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42
    • /
    • 2022
  • 한가지 유형의 엔진 여러 개를 번들로 묶어서 발사체 제품군을 개발하는 전략은 SpaceX와 그들의 재사용 발사체 Falcon 9과 Falcon Heavy에 의해 입증되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35톤급 메탄 다단 연소 사이클 엔진을 이용한 잠재적인 발사체 제품군을 제시하였으며, 다양한 우주 임무에서 그것들의 유용성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예를 들어, Falcon 9의 한국형 버전은 소모성 모드에시 500 km SSO에 약 4.7톤의 탑재체를 투입할 수 있는 반면에, 해상에 착륙하는 모드에서는 약 2.16톤의 탑재량으로 줄어들게 된다. Falcon Heavy의 한국형 버전은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었을 때, 4.4톤을 GTO에 투입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공통부스터코어 구성이 높은 경사각에도 불구하고 천리안 2호 위성을 투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후, 이 메탄 엔진이 소형위성 발사체에 추력공급 용도로도 사용도 가능하다.

SpaceX Falcon 9 그리드핀의 공력 특성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Grid Fins on SpaceX Falcon 9)

  • 이형진;조우성;고상호;이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10호
    • /
    • pp.745-752
    • /
    • 2020
  • SpaceX Falcon 9에 탑재된 초음속 그리드핀 유동에 관한 수치해석을 통하여 해당 그리드핀의 공력특성을 평가하였다. 3차원 정상 수치해석 계산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단위 그리드핀 개념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사체의 받음각, 외부 프레임, 그리고 커넥팅 로드 등의 영향성을 보정하는 전후 처리과정을 개선하였고, 이에 따라 최종 공력계산의 정확도가 과거 연구에 비하여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천음속과 초음속 비행조건에서 다양한 받음각을 갖는 SpaceX Falcon 9 그리드핀의 공력특성을 평가하였다.

SpaceX의 발사체 개발 전략 분석 (An Analysis of Launch Vehicle Development Strategy of SpaceX)

  • 이금오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2-86
    • /
    • 2019
  • SpaceX는 현재 Falcon 9 v1.2 Block 5의 성공적인 발사 및 회수로 세계 발사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SpaceX는 케로신 가스 발생기 엔진인 Merlin 엔진을 개발하였고, Falcon 1에서 Falcon Heavy까지 엔진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여 탑재 중량을 증가시켰다. SpaceX는 초기에 많은 실패를 겪었지만 NASA의 도움으로 많은 위기를 극복하고 발사체를 개발할 수 있었다. 또한 재사용 발사체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운용비용을 크게 절감했다. 한국의 후속 발사체도 이러한 SpaceX의 개발 전략을 참고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스페이스X사의 팔컨 9 비행데이터 분석 (Analysis of Flight Data in SpaceX's Falcon 9)

  • 김현준;유철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12호
    • /
    • pp.997-1010
    • /
    • 2021
  • 본 연구는 스페이스 X사의 팔컨 9 발사체의 비행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분석하였다. 모든 임무는 극궤도, SSO, ISS, LEO, GTO와 같은 궤도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였다. 1단 발사체의 메인 엔진 종료, 역추진, 재진입, 착륙 연소의 특징적인 기동에서 속도, 고도, 동압, 가속도 등의 물리 변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상세한 기동 분석으로부터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고 이는 재사용 발사체 개발을 위한 설계 및 평가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초음속 그리드핀 3차원 유동해석을 통한 단위 그리드핀 개념의 타당성 연구 (Validity of the Concept of the Unit Grid Fin by 3-D Calculation of Supersonic Grid Fin Flows)

  • 이형진;고상호;강태곤;이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8호
    • /
    • pp.609-615
    • /
    • 2021
  • SpaceX Falcon 9에 탑재된 초음속 그리드핀 유동 특성에 관한 3차원 수치해석이 수행되었다. 3차원 수치해석 결과를 기준으로 관련 수치해석 과정의 단순화와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과거 도입된 단위 그리드핀 접근의 타당성이 평가되었다. 아울러 마하수 2.8 초음속 비행조건에서 다양한 받음각을 갖는 SpaceX Falcon 9 그리드핀의 공력특성이 평가되었다.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의 방화벽정책 분배를 위한 알고리즘 : FALCON (The Policy Distribution Algorithm of Firewall in Integrated Security Management)

  • 김광혁;권윤주;김동수;정태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4호
    • /
    • pp.467-472
    • /
    • 2002
  • 근래의 네트워크는 인터넷의 여러 보안 위협과 시스템의 취약성들로 인해 보안시스템의 도입, 보안 컨설팅 등을 통하여 시스템 보안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통합보안관리시스템은 다수의 보안시스템 및 방화벽으로 구성된 보안 영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보안 제품들에 대해 일관성 있는 보안정책을 적용하는 시스템이다. 통합보안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정책과 더불어 정책을 적용할 보안시스템의 선정이 기본이 된다. 특히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서의 방화벽은 하나의 패킷흐름에 대해 패킷 경로에 놓인 여러 개의 방화벽 시스템이 관여를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방화벽으로 구성된 통합보안관리시스템에서 접근제어 정책을 수행할 방화벽을 선정함에 있어서 문제점을 살펴보고 정책을 설정할 방화벽 선정 알고리즘인 FALCON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FALCON 알고리즘의 사용으로 방화벽 선정에 있어서 안정성, 확장성, 간결함 등의 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Falcon 9 로켓 3회 발사 소음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noise from three Falcon 9 launches)

  • Mathews, Logan T.;Gee, Kent L.;Hart, Grant W.;Rasband, Reese D.;Novakovich, Daniel J.;Irarrazabal, Francisco I.;Vaughn, Aaron B.;Nelson, Pauline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22-33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반덴버그 공군기지(Vandenberg Air Force Base)에서 3차례 발사된 Falcon 9의 원거리장 소음에 대해 논하였다. 발사 소음은 3회 모두 롬폭(Lompoc) 도시 인근의 동일 위치에서 측정되었다. 전체 음압레벨(overall sound pressure level)은 3회 모두 유사하지만 기상조건과 관련된 차이점이 발사 초반부에 관찰되었다. 음압레벨 기준 최대 지향성은 약 65°로서 수평 정적 연소시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일치하였다. 세번째 발사 소음에 대하여 각 발사 단계에 따른 파형 및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1단 엔진 추진 구간에서 소음의 대역폭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그 크기는 모든 주파수에 걸쳐 주변 소음레벨을 상회하였다. 또한, 발사 후반부 데이터에서 관찰되는 특이 경향은 1단 엔진 정지 및 2단 로켓 점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Post Trajectory Insertion Performance Analysis of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Using SpaceX Falcon 9

  • Young-Joo Song;Jonghee Bae;SeungBum Hong;Jun Bang;Donghun Lee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40권3호
    • /
    • pp.123-129
    • /
    • 2023
  •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the trans-lunar trajectory insertion performance of the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 the first lunar exploration spacecraf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successful launch conducted on August 4, 2022 (UTC), utilized the SpaceX Falcon 9 rocket from Cape Canaveral Space Force Station. The trans-lunar trajectory insertion performance plays a crucial role in ensuring the overall mission success by directly influencing the spacecraft's onboard fuel consumption. Following separation from the launch vehicle (LV),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rajectory insertion performance was performed by the KPLO flight dynamics (FD) team. Both orbit parameter message (OPM) and orbit determination (OD) solutions were employed using deep space network (DSN) tracking measurements. As a result, the KPLO was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ballistic lunar transfer (BLT) trajectory, satisfying all separation requirements at the target interface point (TIP), including launch injection energy per unit mass (C3), right ascension of the injection orbit apoapsis vector (RAV), and declination of the injection orbit apoapsis vector (DAV). The precise BLT trajectory insertion facilitated the smoother operation of the KPLO's remainder mission phase and enabled the utilization of reserved fuel, consequently significantly enhancing the possibilities of an extended mission.

SpaceX의 전략을 활용한 한국형 재사용 발사체 개발 전략 (Korean Reusable Launch Vehicle Development Strategy Using SpaceX's Strategy)

  • 이금오;이준성;박순영;노웅래;임성혁;남기원;서대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01-112
    • /
    • 2021
  • SpaceX는 Falcon 9과 Falcon Heavy의 재사용을 통해 다양한 탑재중량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한 종류의 엔진을 사용하여 발사체를 구성하며, 케로신 엔진에서 메탄 엔진으로의 전환, 3D 프린팅 사용 등 다양한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리랑 위성에서 천리안 위성까지 다양한 탑재중량 및 궤도를 감당할 수 있는 발사체 안을 구성하였으며, 케로신 가스발생기 사이클 엔진, 케로신다단연소 사이클 엔진, 메탄 다단연소 사이클 엔진을 사용한 10가지 발사체 안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10가지 안 중 35톤급 메탄 엔진을 사용한 재사용 발사체가 개발 가능성 측면에서 좋은 안으로 평가되었다.

Starship 시스템 개발 특징 (Characteristics of Starship System Development)

  • 유재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3-64
    • /
    • 2021
  • SpaceX사는 Falcon 9으로 발사체 비용을 혁신적으로 낮추었으며 로켓의 1단 재사용을 실용화하였다. 현재는 완전 재사용이 가능하고 탑재량이 가장 큰 Starship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이로 인해 더욱 저렴한 비용의 발사와 임무의 다양화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최초로 메탄 연료를 사용하는 전유동 다단 연소 싸이클을 사용하는 Raptor 엔진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완전 재사용을 위해 스테인리스강 탱크, 하강 중 배면낙하 및 역추진과 같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기술들을 함께 적용하여 다수의 시제기를 제작 및 시험하고 있다. 여기서는 Starship 시스템의 제원, 임무, 설계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Raptor 엔진과 매우 빠르게 제작된 초기 13 기의 Starship 시제기 개발 과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