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ithfulness of Appropri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과업기술적합도(TTF)가 그룹지원시스템(GSS)의 사용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유방식동의 정도와 전유 충실도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The Influence of TTF on GSS Usage and Task Performanc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COA and FOA)

  • 강소라;전방지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55-78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협업을 위하여 도입되는 GSS(Group Support System)를 대상으로 과업과 기술의 적합도(TTF: Task-Technology Fit)가 GSS의 사용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조직구성원들의 상호작용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적응구조화이론(AST: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에서 제시하고 있는 그룹 구성원들 간의 전유방식의 동의정도(COA)와 사용자와 설계자 간의 일치(FOA)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GSS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2005년 6월 2일부터 6월 27일까지 약 1달 간 총 30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업기술적합도는 GSS 사용과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유방식의 동의정도가 강할 경우 GSS사용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또한, 전유의 충실도역시 과업기술적합도와 GSS 사용과 성과 간의 관계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위해 개인의 정보시스템 성과에 대한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과업기술적합도 모형과 정보시스템에 구성원들이 적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적응구조화이론 이론을 통합함으로써 GSS 사용에 따른 개인의 성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GSS의 수용 요인과 GSS의 사용이 개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Acceptance Factors and Usage of GSS on Organizational Member's Performance)

  • 강소라;양희동;박현여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83-49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협업을 위하여 도입되는 그룹지원시스템(group support system; GSS)를 대상으로 GSS의 사용에 미치는 영향과 GSS의 사용으로 인한 개인의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개인의 기술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과 사용자의 과업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과학기술적합(task-technology fit; TTF) 개념, 그리고 적응구조화이론(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AST)을 통합하여 그룹 구성원들이 GSS의 도입의도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개인과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높은 TTF는 사용자들이 GSS에 대하여 지각하는 유용성과 용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TTF가 사용자들의 적절한 사용을 이끌고 있음을 검증하여 TTF 중심의 연구와 AST의 적절한 사용(faithfulness on appropriation; FOA)을 중심으로 하는 두 연구에 대한 통합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정보 시스템 최종 사용자의 피드백 탐색 행위와 합목적적 정보 시스템 활용;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

  • 신영미;이주량;이호근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527-535
    • /
    • 2007
  • The number of SMEs taking up information systems such as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many of those organizations have stepped into the stage of ongoing use at this point. Thus, research which takes into account idiosyncratic nature of SME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before. Through an empirical study using survey method, we trie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end user's feedback seeking behavior in SMEs and how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uch behavior reinforce and interact with the feedback seeking behavior itself. The result shows that end user's active role as a voluntary feedback seeker is important in utilizing information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initial design intention in ongoing use environment. Furthermore, in order to facilitate such feedback seeking behavior in SME environment, it is essential that management's involvement and communicating to its employees the importance of effectively utilizing the information systems as well as the support of peer IT champ.

  • PDF

둔덕리 이웅재고가(李雄宰古家)의 공간 및 경관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and Visual Composition of Yi Ung-Jae's Old House, Dundeok-ri)

  • 노재현;이정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0-76
    • /
    • 2020
  • 본 연구는 전통정원의 가치 발굴과 재조명을 목적으로, 임실 이웅재고가의 공간적·시각적 배치 특성과 경관과 정원 구조를 검토하여 전통정원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를 부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가가 입지한 둔덕리 동촌마을은 배산임수의 전형적인 형국으로 3개로 모인 물줄기 북측에 전착후관한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단구대와 삼계석문의 경승을 갖는 동촌마을은 노적봉과 계관봉은 안산(案山)으로 한 '지네가 하늘을 나는 형국(飛天蜈蚣形)'의 길지로 이해된다. 이웅재고가는 16C 중반 춘성정 이담손에 의해 조영된 전북지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가이자 조선 왕실가문의 종가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및 일제강점기 일본에 저항한 충정과 대문채의 효자정려 그리고 편액과 주련에 담긴 충효의 가풍은 물리적인 가옥의 가치를 부상시키는 요소가 되기에 충분하다. 경사진 지형에 거스르지 않게 배치된 사랑채나 안채의 배치 그리고 높은 돈대에 올린 사랑채는 최대한 원경을 차경하는 효과를 거두며 왕가 건물로서의 위엄성과 위계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사주문과 중문을 통한 안채 진입방식, 넓은 후원과 채원의 할애 그리고 안채에 배려된 공루 등의 가옥 구성은 일반 사대부가에 비해 매우 독특하다. 그러나 전후관계로 보면 사당을 주변으로 넓은 후원을 안배함으로써 유교적 이상을 실현하는 한편 자연과의 조화를 꾀하고 있다. 한편 지금은 교란·훼손되었으나 외원에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방지원도형(方池圓島型)의 지당(池塘)이 존재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고가에서 주목되는 식재수종은 후원의 소나무, 팽나무, 감나무, 매화, 홍단풍 그리고 측정의 산수유를 비롯하여 외원의 자두나무 등이다. 석축 위로 조성된 화계는 고가의 정원상을 가장 명료하게 보여주는 공간으로 정원 특성을 잘 간직한 공간이지만 화계 식생경관에 어울리지 않게 종 다양성과 사당에 어울리지 않는 화려함이 극도로 높아 식재의 짜임새를 상실한 느낌이다. 이웅재고가는 조선 전기 궁궐 밖에 조성된 궁가(宮家) 건축의 한 단면을 보여줄 수 있는 조영물이라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웅재고가의 관리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