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ir-Trade Product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글로벌 에코패션 브랜드의 현황과 상품기획 특성 (A Case Study and Product Planning Characteristics of Global Eco-fashion Brands)

  • 하승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9-238
    • /
    • 2014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present condition and product planning of global eco-fashion brands that harmonize fashion and sustainability.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97 oversea fashion brands mentioned in books related to eco-fashion, Black(2011), Brown(2010), Fuad-luke(2009). As for research methods, materials and ethical practices of these selected 97 brands through literature data and their internet site homepages. This study analyzed oversea eco-brands collected 26 British brands, 22 American brands, 36 European brands such as Germany, France, Italy, Sweden, Spain, Finland and so on, except Britain and 13 other regions including Japan, India, Canada, Mexico, and New zealand. In conclusion, the product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se oversea eco-fashion brand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ommunity and fair trade, ecological and slow design, recycle, reuse, redesign, and new eco-models. Firstly, brands of 'community and fair trade' manufactured products through fair trade and local community's artisan by ethical practices with organic fabrics. Secondly, brands of 'ecological and slow design' pursued timeless design and multi-functional design as luxury eco-fashion styles. They used organic textiles, hemp, bamboo, soya, tencell, sea cell, and self-sustaining plants. Thirdly, brands of 'recycle, reuse, redesign' aimed for upcycling high-end fashion and used vintage clothes, textile scraps, PET, parachutes, tires, safety belts, advertising banner and so on. In addition, brands of 'new models as eco-fashion' suggested zero-waste cutting, recycling over-printing technology, new sustainable business model, and ethical practices in the supply chain of the fashion industry.

  • PDF

우리나라 대학생의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Perceptions and Purchase Intention on Fair-Trade Product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 홍성헌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4호
    • /
    • pp.109-130
    • /
    • 2012
  • 공정무역(fair trade)은 국제무역거래에 있어 불평등을 해소하고 생산과정에 있어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대안무역으로서 평가받으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윤리적 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의 공정무역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고 최근 그 거래규모가 급증하여 공정무역제품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윤리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한 Shaw와 Shiu(2003)의 '수정된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하여 대학생소비자들이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윤리적 제품의 소비자행동에 관한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자 구매태도, 규범적 신념, 공정회복기대, 윤리적 책임의식 등과 공정무역제품 구매의도와의 관계, 그리고 인구통계적 요인, 공정무역인지, 구매경험이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등의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지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공정무역제품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윤리적 책임의식과 소비자의 구매태도였다. 윤리적 책임의식이 구매의도에 영향력이 더 큰 요인이었다. 소비자들은 공정무역제품 구매를 통해 윤리적 의무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공정무역제품 구매촉진을 위해서 구매의 필요성과 소비자 개인으로서의 윤리적 책임을 연계하고 소비자태도가 우호적이고 긍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전략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자기결정성 심리 욕구와 지각된 영향력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sumer Self-Determination Psychological Needs and Perceived Influence for Fair Trade Products)

  • 옥정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2호
    • /
    • pp.283-297
    • /
    • 2018
  • 본 연구는 공정무역 제품에 대한 태도와 행위의 갭에 대한 보다 근원적이고 설명적인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지각된 시장영향력(PMI: Perceived Market Influence: 개인의 행동이 시장 내 다른 소비자들의 행동에게 미칠 영향을 인지하고 결과적으로 스스로 공정무역 관련 소비 행동을 하게 만드는 동기가 되는 신념)에 주목하고 이를 공정무역 관련 소비자의 인식 구조에 탐색적으로 적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지각된 자기결정성 심리적 욕구(자율성, 유능성, 관련성)와 해당 소비자가 지각하는 영향력(개인영향력, 시장영향력)의 관계검증을 통하여 공정무역제품의 자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의 결과, 자기결정성과 관련된 주요 심리적 욕구 중 유능성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과 소비자의 지각된 영향력 관계가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지각된 영향력 간에도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지각된 영향력과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자산에도 영향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윤리적 소비의 일환인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행동 사이의 갭을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아울러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심리적 요인과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o-psychological factors and educational experience on adolescent consumers'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 최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7-83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윤리적 소비행동을 정착시키기 위해 청소년들의 윤리적 소비행동 경향을 알아보고 사회심리적 요인과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55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행동에 대한 일반적 경향의 평균값이 2.61(SD=0.81)에서 3.08(SD=0.75)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른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공정무역제품 소비의 경우, 종교가 있는 집단, 계층인식이 중상층이상 집단, 부의 학력이 대학원이상 집단이, 기부와 나눔은 종교가 있는 집단, 계층인식이 중상층이상 집단, 부의 학력이 대학원이상 집단, 모의 학력이 대학이상 집단이, 환경친화적 소비에서도 종교가 있는 집단, 계층인식이 상층이상 집단, 모의 학력이 전문대졸이상 집단이 상대적으로 윤리적 소비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계층인식, 부와 모의 학력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과 윤리적 소비교육 경험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정무역제품 소비는 윤리적 소비자교육, 환경친화적 가치, 물질주의, 절약성, 대중매체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기부와 나눔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물질주의, 윤리적 소비자교육, 대중매체와 환경친화적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로컬소비는 환경친화적 가치, 소비자교육, 물질주의, 대중매체, 절약성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환경친화적 소비의 상대적 영향력은 환경친화적 가치, 물질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행동의 정착과 함양을 위하여 가치 지향적 윤리적 소비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PDF

윤리적 소비와 소비가치의 관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윤리적 소비와 소비가치의 키워드 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in Consumer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onsumption and Consumption Value: Focusing on Analyzing Ethical Consumption and Consumption Value Keyword Changes Using Big Data)

  • 신은정;고애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2호
    • /
    • pp.245-25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g data to identify the sub-dimensions of ethical consumption, as well as the consumption value associated with ethical consumption that changes over time.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Naver and Daum using the keyword 'ethical consumption' and frequency and matrix data were extracted through Textom, for the period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18. In addition, a two-way mod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UCINET 6.0 program and visualized using the NetDraw function. The results of text mining show increasing keyword frequency year-on-year, indicating that interest in ethical consumption has grown. The sub-dimensions derived for 2014 and 2015 are fair trade, ethical consumption, eco-friendly products, and cooperatives and for 2016 are fair trade, ethical consumption, eco-friendly products and animal welfare. The results of deriving consumption value keywords were classified as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functional value and conditional value. The influence of functional value was found to be growing over time. Through network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dimensions of ethical consumption and consumption values derived each year from 2014 to 2018 showed a significantly strong correlation between eco-friendly product consumption and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functional value and conditional value.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와 지속적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on the intention to pay Price Premium and Continued Purchase Intention)

  • 김현규;정선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75-92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존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친환경제품, 기부, 봉사활동, 공정무역)이 소비자가 지각하는 기업의 신뢰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 그리고 지속적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소비자 성별의 차이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요인에 따른 기업의 신뢰도와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기업신뢰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 그리고 지속적 구매의도와 같은 주요연구변수에 관한 선행연구와 실증조사를 진행하였다. 실증조사는 사회적 기업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중 친환경제품과 공정무역은 기업신뢰도와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는 지속적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신뢰도는 지속적 구매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를 거쳐 지속적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가운데 봉사활동과 공정무역이 기업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봉사활동과 기부는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남성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rade Exhibition for Small & Medium Enterprises by Using of Special Conditions in Foreign Marketing Insurance

  • Kim, Jae-Seong;Lee, Gyu-Chang
    • 무역상무연구
    • /
    • 제52권
    • /
    • pp.119-135
    • /
    • 2011
  • Korea's trading volume is expected to surpass USD 1 trillion in 2011. Korean economy achieves this largely due to its dependence on export and enhanced technological capacity and product quality. Improved recognition of Korean enterprises in the global arena also helped. However, the largest reason behind theses could be found in exporters' ceaseless marketing endeavors and continued government supports. Today, more and more people become to rely on trade exhibitions to boost export effectively. Trade exhibitions are employed as a useful tool to attract buyers and enter a market. This is because such exhibitions' marketing effect and professional aspects. South Korean export relies on large conglomerates for most part. However, 95% of the country's entire industry are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is means that SMEs' export has a huge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Therefore, as a way to improve SME export and minimize their losses, we need to use trade exhibitions more actively. The overseas policy insures only promotional activities regarding foreign exhibition and fair (including international events held in Korea), foreign distributor, shopping mall, home shopping, etc. and does not include air fare, traffic cost in the local place, accommodation cost and dining expenditures as costs to be excluded mentioned above. It is not easy for them to take part in events abroad if they have to pay for such expenses. If full financial support is difficult, the Korea trade insurance corporation still may give a certain level of aid for successful exporters to engage in marketing activities abroad more actively and further stimulate SMEs' export.

  • PDF

USITC의 반덤핑 피해판정에서의 동종상품과 국내산업의 해석범위에 관한 연구 (Study concerning the Scope of the Interpretation of Like Product and Domestic Industry in USITC's Antidumping Injury Determination)

  • 하충룡;한나희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4호
    • /
    • pp.159-175
    • /
    • 2007
  • Under U.S. Antidumping law, dumping occurs when 'subject merchandise' is imported into the United States and sold at less than 'fair value'. The administration of U.S. antidumping law is shared between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USDOC) and the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USITC). USDOC's task is to determine whether imports are being dumped, and if so, to estimate the margin of dumping. In determining whether an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is materially injured or threatened with material injury, 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is materially retarded, by reason of the subject imports, the USITC must first define the 'like product' and the 'domestic industry'. One of the crucial factors on antidumping measures is the interpretation's scope of the 'like product' and the 'domestic industry', leading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U.S. antidumping law.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omestic industry' and 'like product' considering U.S. antidumping law. Most USITC's determinations regarding like product and industry as flexible conception have been supported by the U.S. Courts.

  • PDF

석유제품 혼합판매 활성화 방안

  • 윤원철;손양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1권2호
    • /
    • pp.417-439
    • /
    • 2012
  • 최근 들어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정부는 연일 유가 안정 대책을 내놓고 있다. 특히 공정거래위원회는 혼합판매 허용을 골자로 하는 거래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혼합판매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혼합판매와 관련된 국내 제도의 변천 과정을 기술한다. 또한 혼합판매 현황과 혼합판매 활성화를 위해 검토되어야 할 주요 사항들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혼합판매도입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급자별 구분저장 요건과 전량구매조건의 완화 내지 폐지가 선결될 필요가 있다. 이들 방안은 정유사 단계의 공급가격과 주유소 단계의 소비자가격 인하를 유도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현행 법률 개정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제약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 시장에서 대형마트 주유소, 독립형 자가폴, 프랜차이즈 독립폴 주유소를 육성하는 방안을 동시에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구조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Distribution Structure of Farm Product in Korea)

  • 최수환;김중원;김경록;이영석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2권2호
    • /
    • pp.70-83
    • /
    • 2011
  • 농산물 수입개방에 따른 국제화에 대응하여 농사눌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농업의 구조조정의 필요성과 농산물 유통에 있어 농산물 제값받기, 공정거래, 능률 향상 등의 시대저 요청에 정부의 적절한 대응이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공산물에 비해 보잡한 농산물의 유통구조를 효율적으로 변화시키고, 산지수집 단계에서부터 농산물 출하선택의 폭을 넓혀 안정적인 상품공급과 계획적인 생산체계를 유도하고 농산물의 원활한 수급조절과 판매 처리 능력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유통과정에서 각종 부도덕한 상거래 행위를 근절시켜 유통정책의 효율적인 수립 및 집행을 위해 정확한 유통통계와 정보화가 필요하다.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산자에게는 상푸의 적정가격 보장과 생산의 극대화를 위한 시설개선이며, 소비자에게는 기호에 따라 적정가격의 최상푸질을 제공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영의 효율성을 높여 단순히 유통비용 또는 마진을 낮추는 개선이 아닌 실제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유통구조의 비용을 절감하여 최상의 생산품을 제공하여야만 향후 우리나라 농산물의 입지를 강화하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