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ies manage system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39초

Green SCM 도입 및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Green SCM)

  • 이공섭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9-83
    • /
    • 2012
  • This study analyzes introduction state of Green SCM technology in domestic and overseas area and suggests how to reduce greenhouse gases of logistics in the future. Thus, introduction state of Green SCM was reviewed by building and integrating logistic-related informatization systems such as WMS and TMS. And how to apply the system to track toxic substance in supply chain was performed to manage toxic substanc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to display and collect vehicle condition & log through OBD-II, which is widely adopted, and hardware to measure, collect, and monitor carbon dioxide emission and power consumption of fixed facilities.

공공시설물 지진대응을 위한 중요도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Criteria for Infrastructure Importance regarding Earthquake)

  • 박재우;김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317-327
    • /
    • 2018
  • The perception of earthquake in Korea has changed due to the earthquake that occurred in Gyeongju and Pohang, and the earthquak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infrastructure management. Damage to infrastructures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is extensive. In particular, damage to infrastructures that perform public function used to spread to the whole area. From the point of view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public to define what infrastructures are important management targets and to prepare a countermeasu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tho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infrastructure to effectively manage infrastructures for earthquakes. For this purpose, important factors for the railway bridges, power generation and electric power facilities, and apartment complexes are suggested. AHP analysis is conducted to suggest priorities. In additi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infrastructure importance are presented.

그린캠퍼스 운영체계에 대한 사례연구 - 미국 그린캠퍼스 지원기관 및 하버드대학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Green Campus Operating System - Focused on the Green Campus Support Institu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Harvard University -)

  • 김동현;이현;전강은;김세용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1-22
    • /
    • 2013
  • The concept of Green campus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with the fact that universities are classified as energy gluttons. This study clearly defines the meaning of domestic green campus, and explores the operating system of green campus and related associations. Then, it draws implications from the case of Harvard University. For the research, reports and research papers of the University are examined thoroughly, and detailed information were confirmed through visiting to the official home page and emails with authorities. The green campus support institutions of the United States are making efforts to integrate overlapping functions and create a synergy effect through internal interchange and information exchange, and substantive collaboration. Also, it is drawing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 and faculties of American universities by publicizing and raising various methods of funding to manage them. The primary factors of Harvard University's success are: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all members, the coordinated oper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vision to be the center of the green campus initiative and the cooperation of each department. Other critical factors of Harvard's success are their fundraising capability, and specialized management institution.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draws applicable implications on domestic Green campus through in-depth analysis, which surpasses introduction of preceding studies.

FGI를 통한 노인장기요양시설 운영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Management of Long-Term Care Facilities Through FGI)

  • 박성원;이원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87-597
    • /
    • 2019
  • 우리나라 인구의 빠른 고령화와 일상생활이 어려운 노인들이 증가하여 사회적 연대를 위한 노인장기요양 제도가 실시되었다. 제도 도입 후 나타난 장기요양제도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요구하고 있으며 기관 및 급여유형별로 통합된 요양서비스 제공체계, 노인의료-요양의 연속성 부족에 따른 요양병원-시설 간 기능정립 문제 등도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입소정원, 종사인력, 제공서비스와 관련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 내 노인 인구와 인정자 수, 노인성 질환자수 등 장기요양 수요를 반영, 지역별 적정 기관 및 인력 수급 정책 방향 제시하고, 지자체별 목표와 수급계획을 수립하여, 장기요양기관 지정요건 절차 강화 및 지정 갱신제 등 인증제도 도입이 검토되어야 하며, 남성요양보호사 육성 및 수가 인상 등을 통한 종사자 처우개선을 통하여 원활한 인력수급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급식비의 보험적용과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프로그램 확대제공, 원활한 입소관리를 위한 의료외 사고 중재기구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LBS 기반의 수도정보서비스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LBS-based Water Service Information Service System)

  • 황의호;이근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4D호
    • /
    • pp.535-544
    • /
    • 2009
  • 1995년 이후 국가 GIS사업 및 지하시설물 관련 GIS DB가 구축되었으나,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부족으로 인해 활용성 극대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또한, 수도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수도GIS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 중에 있으나, 시스템 운용에 있어 현장업무 지원 및 활용체계가 미진하여 관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신기술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수도GIS DB의 활성화 및 정보제공 체계의 수도관리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반의 수도 관리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 구축된 수도GIS 추진현황 및 GIS DB를 분석하여 최신 IT기술 적용방안을 검토하고, 최신 기술 동향 분석을 통하여 수도GIS의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을 선정하여 수도관리용 모바일 단말기 개발 및 LBS 시스템을 설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관로의 효율적 관리 및 운영을 위하여 신기술 도입을 통한 업무지원의 체계성 확보가 가능하며, 현장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것으로 판단된다.

가동 중 원자력시설의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구현방안 연구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in Operational Nuclear Facilities)

  • 김도연;윤성수;엄익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229-244
    • /
    • 2024
  • 최근 APR1400 노형과 같이 원자력발전소의 디지털 기술 적용에 따라 "이블 PLC"같은 원자력시설 대상의 공급망 공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원자력 공급망 보안에 있어 산업 특성상 수많은 공급업체가 존재하기에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원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하지만, 제어시스템 특성상 소프트웨어 자산의 긴 생명 주기로 인해 속성 정보가 일관되지 않게 관리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운영 환경의 가용성 문제로 인해 형상 관리 자동화 도입이 미흡한 상태에서 입력 오류와 같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을 적용한 체계적인 자산 관리 방안 및 자연어처리 기법을 적용한 입력 오류에 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도시 유역의 우수관망 통수능 개선을 위한 LID 기술 적용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LID Technology for Improvement of Drainage Capacity of Sewer Network in Urban Watershed)

  • 백종석;김백중;이상진;김형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17-625
    • /
    • 2017
  • Both domestic and overseas urban drainage systems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to solve the problems of urban flash floods and the flood damage that is caused by local downpours. Recent urban planning has been designed to better manage the floods of decentralized rainfall-management systems, and the install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and low-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at national ministries has been recommended. In this study, we use the EPA SWMM model to construct a decentralized rainfall-management network for each small watershed, and we analyze the effect of the drainage-capacity improvement from the installation of the LID technologies in vulnerable areas that replaces the network-expansion process. In the design of the existing urban piping systems, it is common to increase the pipe size due to the increment of the impervious area, the steep terrain, and the sensitive entrance-ramp junction; however, the install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and LID facilities will be sufficient for the construction of a safe urban drainage system. The applications of LID facilities and green infrastructure in urban areas can positively affect the recovery of the corresponding water cycles to a healthy standard, an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will occur in the future.

민원 자료 분석을 통한 민원 특성별 서비스 관리기준 설정 (Development of Level of Service by Complain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Complaints Data)

  • 박미연;소병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525-3534
    • /
    • 2015
  • 하수시설 자산관리체계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는 하수 서비스 공급을 위한 관리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하수관련 시설이 건설되고 나면 운영단계에서 발생하는 개 대체 항목의 많은 부분들이 민원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수준을 관리하기 위해서 어느 지역에 어떤 민원이 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어떤 부분을 개선시킬 것인지를 찾아 서비스 관리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국내 자산관리 수행이 진행되고 있는 S지역의 하수 민원대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지역 특성별로 민원발생 대상 시설과 민원 발생 유형을 분석하여 서비스 제공 관리기준을 개발하였다. 이를 선진 하수시설 자산관리 밴치마킹 대상지역과 비교하여 S지역만의 Best Practice 구현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였다.

현행 주유소 지하유류저장시설 관리의 문제점과 토양${\cdot}$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Current Issues on the Oil UST Management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Prevention of the Subsurface Contamination)

  • 김미정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4호
    • /
    • pp.62-7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주유소 지하유류저장탱크 관리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탱크가 제작, 설치, 관리. 그리고 용도폐지 되는 전 과정에 관련한 규정 및 제도, 그리고 시설기준을 검토한 결과, 탱크가 제작되어 용도 폐지 될 때까지 미흡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행 시설기준도 미국 및 다수의 EU 회원국가들에 비하여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오염검사 결과 및 기타 자료들을 비교 분석하여 토양오염검사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지하유류저장탱크에 의한 실제 누유 가능성을 추정하였다.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오염방지조치 등 시설기준 강화 - 신규시설의 시설기준강화, 기존시설에 대한 개선조치 수립; 둘째, 토양오염검사의 탱크 및 배관 검사의 대체; 셋째, 탱크제작 및 시공관리 강화, 넷째, 비직영주유소의 토양오염위험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마련; 기타, 주유소 소유운영자에 대한 토양오염관리 교육과 전국 지하유류저장시설의 누유감지 및 방지시설의 설치유무와 시설운용 현황에 대한 자료구축을 제안하였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다중 무선통신 컨트롤러 개발 (Development of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er for Smart Factory Construction)

  • 오재준;최성주;김진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0권9호
    • /
    • pp.602-608
    • /
    • 2017
  • Due to recent industry 4.0, manufacturing has changed a lo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controller and controller of the control system, to communicate various production information and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o produce a database in accordance with the flexible production for a small quantity of various items, and to manage the trend of major parts of production facilitie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er for small scale control system for smart factory by applying XBee and microcomputer. This controller is cheap and easy to build multi-radio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1: N and can control and monitor control system. In addition, we tested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ers by using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C++, and constructed network, control, and database for mechanism module, and confirmed effectiveness for industrial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