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segmentati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6초

피부색 분할과 소벨 마스크를 이용한 얼굴 영역 검출 (A Facial Region Detection Using the Skin-Color Segmentation and Sobel Mask)

  • 유창연;권동진;장언동;김영길;곽내정;안재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하)
    • /
    • pp.553-55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컬러 영상에서 피부색 분할과 소벨 마스크를 이용한 얼굴 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YCbCr색공간에서 Cb와 Cr성분을 이용하여 피부색 분할을 한 후에 형태학적 필터링과 레이블링을 통해 얼굴 후보 영역을 분리한다. 분리된 각 후보 영역에 대해 휘도 성분 Y에서 소벨 마스크의 수직 연산자를 적용한 후에 수평 투영을 통해 나타난 최대값을 눈의 위치로 검출해낸다. 비슷하게 얼굴의 지형적인 특징과 소벨 마스크의 수평 연산자를 적용하여 계산된 수평 투영의 최대값에 따라 턱 부분을 검출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얼굴 영역을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A Facial Image Segmentation for Video Coding and its Recognition Based on DWT

  • Lim, Chun-Hwan;Park, Jong-A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3B호
    • /
    • pp.338-346
    • /
    • 2001
  • 이 논문에서는 잡음에 대해 유연성이 있는 신경망과 차영상법-DCT를 이용한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동일환경(조도의 세기, 얼굴에서 카메라까지의 거리)에서 연속적으로 두 개의 영상을 캡쳐했다. 이 때 한 영상은 얼굴을 포함하지 않고 다른 영상은 얼굴을 포함하게 된다. 차영상 방법을 이용하여 두 개의 이미지로부터 얼굴영상과 배경영상을 분리하고 그 다움에 분리된 얼굴영역에서 사각영역을 추출하여 이 영역을 얼굴의 특징영역으로 이용하였다. 이 사각 영역은 눈, 코, 입, 눈썹 등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이 영역에 대해 DWT 연산을 수행한후 특징 백터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특징벡터는 정규화 되어 신경망의 입력벡터로 사용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학습된 얼굴영상에 대해서는 100% 인식률을 보였고 학습되지 않는 얼굴 영상에 대해서는 92.25%의 인식률을 보였다.

  • PDF

Real-time Tracking and Identification for Multi-Camera Surveillance System

  • Hong, Yo-Hoon;Song, Seung June;Rho, Jungky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1호
    • /
    • pp.16-22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solution for personal profiling system based on user-oriented tracking. Here, we introduce a new way to identify and track humans by using two types of cameras: dome and face camera. Dome camera has a wide view angle so that it is suitable for tracking human movement in large area.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person only by using dome camera because it only sees the target from above. Thus, face camera is employed to obtain facial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erson. In addition, we also propose a new mechanism to locate human on targeted location by using grid-cell system. These result in a system which has the capability of maintaining human identity and tracking human activity (movement) effectively.

블록단위 영역분할을 이용한 얼굴 특징 요소 추출 (Extraction of Facial Feature Component using Section Segmentation of Block-units)

  • 김승업;이우범;김욱현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논문집
    • /
    • pp.97-10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얼굴의 특징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입력 영상을 이진 영상으로 처리한 후, 얼굴 요소 후보 블록의 면적, 둘레, 원형도, 종횡비를 이용하여 불변하는 눈, 코, 입의 특징 요소를 추출한다. 사람의 얼굴에 대한 특징 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우선 이진 영상을 생성한다. 하나 하나의 고립된 영역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화소 레이블링을 한 후 만들어진 얼굴 요소 후보 블록 단위로 면적을 구하고, 윤곽선 추적 방법에 의하여 둘레를 구한 다음 면적, 둘레, 원형도 및 종횡비의 유사도를 구한다 블록의 종합 유사도, 대칭적 거리, 위치의 유사도를 활용하여 눈, 코, 입을 추출한다. 추출된 각 특징 요소간의 거리와 각도를 이용하여 12개의 특징 인수를 구하는 제안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얼굴의 특징 인수들을 추출한다. 각 특징점 사이의 거리와 각 거리간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100명으로부터 획득한 297개의 원 영상을 대상으로 12개의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한 결과 92.93%의 추출 성공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덜 받는 눈, 코, 입의 위치 관계의 블록을 근거로 특징 요소를 추출할 수 있도록 제안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피부 미세 요소가 포함된 분할 맵을 이용한 얼굴 영상 합성 모델 분석 (Analysis of Facial Image Synthesis Models using Segmentation Maps including Skin Microelements)

  • 김유진;박인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56-1257
    • /
    • 2022
  • 분할 맵 기반 얼굴 합성 분야의 기존 연구들은 피부 영역을 하나의 라벨로 취급한다. 이는 피부 내 미세한 요소를 표현하지 못하며 고해상도 영상 합성 성능 부족이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분할 맵에 주름, 모공, 홍조와 같은 피부 요소를 추가하여 이로부터 얼굴 영상을 합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분할 맵 기반 영상 합성 연구에 제안하는 기법을 적용하여 정량적 및 정성적 비교를 통해 성능이 개선됨을 보인다.

  • PDF

피부색 영역의 분할을 통한 후보 검출과 부분 얼굴 분류기에 기반을 둔 얼굴 검출 시스템 (Face Detection System Based on Candidate Extraction through Segmentation of Skin Area and Partial Face Classifier)

  • 김성훈;이현수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2호
    • /
    • pp.11-2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피부색 정보를 이용한 얼굴 후보 검출 방법과 얼굴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얼굴 확인 방법으로 구성된 얼굴 검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제안하는 얼굴 후보 검출 방법은 피부색 영역과 피부색의 주변 영역에 대한 이미지 분할과 병합 알고리듬을 이용한다. 이미지 분할과 병합 알고리듬의 적용은 복잡한 이미지에 존재하는 다양한 얼굴들을 후보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안하는 얼굴 확인 방법은 얼굴을 지역적인 특징에 따라 분류 가능한 부분 얼굴 분류기를 사용하여 얼굴의 구조적 특징을 판단하고, 얼굴과 비-얼굴을 구별한다. 부분 얼굴 분류기는 학습 과정에서 얼굴 이미지만을 사용하고, 비-얼굴 이미지는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적은 수의 훈련 이미지를 사용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얼굴 후보 검출 방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평균 9.55% 많은 얼굴을 후보로 검출하였다. 그리고 얼굴/비-얼굴 분류 실험에서 비-얼굴에 대한 분류율이 99%일 때 기존의 분류기보다 평균 4.97% 높은 얼굴 분류율을 달성 하였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에서 경상돌기의 변이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VARIATION OF STYLOID PROCESSES IN PANORAMIC RADIOGRAPHS)

  • 오숙희;김종열
    • 치과방사선
    • /
    • 제18권1호
    • /
    • pp.193-201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the length and shape of styloid process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longated styloid processes and the styloid process syndrome, using panoramic radiogrpahs and questionaires. The subjects were 342 patients consisted of 170 males and 172 females aged from 11 to 78 years, not showing facial asymmetry, who visited infirmary of dental college of Yonsei University. Also, the accuracy was determined for measuring the length of styloid processes from panoramic radiographs, using dried skul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ngth of styloid processes was magnified approximately 1.1 tim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ies in the magnification rate of length between right and left side. 2. The mean radiographic length of styloid processes was 29.72±7.92㎜ in males, 27.93±6.69㎜ in females, and 28.82±7.37㎜ in total. And elongated styloid process (>30㎜) was seen in 31.3% of total subjects. 3. The growth in the length of styloid processes was completed in the third decade. 4. The most common shape of styloid processes was straight followed by segmented and bent form. The incidence of segmentation was reduced with increasing age. 5. The 74% of subjects with elongated styloid process (>30㎜) showed symptoms of the styloid process syndrome.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headache followed by discomfort in the neck when turning the head from left to right, tinnitus or earache, vague facial pain, discomfort or pain when swallowing, feeling that an object is caught in throat.

  • PDF

의료 두뇌영상의 익명성 (Anonymity of Medical Brain Images)

  • 이효종;두약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9권1호
    • /
    • pp.81-87
    • /
    • 2012
  • 현재 사용되고 있는 두뇌영상의 제거 방법은 비록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있으나, 과도한 제거로 정확한 두뇌영상의 무결성을 손실할 수 있다. 원래 두뇌의 영상과 동일한 두뇌 조직을 나타내면서 환자의 신원을 감출 수 있는 새로운 익명화 얼굴모델을 생성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제안방법은 두 단계로 구성되었다: 10명의 두뇌영상을 정규화시켜서 모조 두뇌 표본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실험영상 두뇌의 외곽부를 모조 두뇌의 안면부로 대체시키는 단계이다. 전체 두뇌영상에서 두피와 두개골 영역을 분할하기 위하여 레벨셋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영역화된 모조 두뇌를 대상 두뇌영상에 동일하게 배치하고 정규화를 시켜서 익명화된 얼굴 모델을 생성하였다. 원래 영상과 변형된 영상의 두뇌 조직부의 밝기 변화를 비교하여 제안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두 두뇌영상은 두뇌 조직에서 완전히 동일하면서 신원을 파악할 수 없는 것을 검증하였다.

Block Based Face Detection Scheme Using Face Color and Motion Information

  • Kim, Soo-Hyun;Lim, Sung-Hyun;Cha, Hyung-Tai;Hahn, Hern-Soo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61-468
    • /
    • 2003
  • In a sequence of images obtained by surveillance cameras, facial regions appear very small and their colors change abruptly by lighting condition. This paper proposes a new face detection scheme, robust on complex background, small size, and lighting conditions. The proposed method is consisted of three processes. In the first step, the candidates for the face regions are selected using face color distribution and motion information. In the second stage, the non-face regions are removed using face color ratio, boundary ratio, and average of column-wise intensity variation in the candidates. The face regions containing eyes and mouth are segmented and classified, and then they are scored using their topological relations in the last step. To speed up and improve a performance the above process, a block based image segmentation technique is used. The experiments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detects faced regions with more than 91% of accuracy and less than 4.3% of false alarm rate.

대한민국 정부의 코로나 19 브리핑을 기반으로 구축된 수어 데이터셋 연구 (Sign Language Dataset Built from S. Korean Government Briefing on COVID-19)

  • 심호현;성호렬;이승재;조현중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8호
    • /
    • pp.325-330
    • /
    • 2022
  • 본 논문은 한국 수어에 대하여 수어 인식, 수어 번역, 수어 영상 시분할과 같은 수어에 관한 딥러닝 연구를 위한 데이터셋의 수집 및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어 연구를 위한 어려움은 2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손의 움직임과 손의 방향, 표정 등의 종합적인 정보를 가지는 수어의 특성에 따른 인식의 어려움이 있다. 둘째, 딥러닝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학습데이터의 절대적 부재이다. 현재 알려진 문장 단위의 한국 수어 데이터셋은 KETI 데이터셋이 유일하다. 해외의 수어 딥러닝 연구를 위한 데이터셋은 Isolated 수어와 Continuous 수어 두 가지로 분류되어 수집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양의 수어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외의 수어 데이터셋도 방대한 데이터셋을 필요로 하는 딥러닝 연구를 위해서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수어 딥러닝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대규모의 한국어-수어 데이터셋을 수집을 시도하였으며 베이스라인 모델을 이용하여 수어 번역 모델의 성능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을 위해 수집된 데이터셋은 총 11,402개의 영상과 텍스트로 구성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할 베이스라인 모델로는 수어 번역 분야에서 SOTA의 성능을 가지고 있는 TSPNet 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 수집된 데이터셋에 대한 특성을 정량적으로 보이고, 베이스라인 모델의 실험 결과로는 BLEU-4 score 3.63을 보였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 보다 정확하게 데이터셋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국어-수어 데이터셋 수집에 있어서 고려할 점을 평가 결과에 대한 고찰로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