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deformity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19초

성장기 아동의 악안면 성장과 신체발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MAXILLOFACIAL GROWTH AND PHYSICAL DEVELOPMENT OF GROWING CHILDREN)

  • 황충주;경승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63-978
    • /
    • 1997
  • 교정 환자들은 성장과 발육을 하는 개체이므로 교정치료의 시기 선택은 가장 어렵고 중요한 요소이며,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의 개발에 따라 안면 성장의 양상과 연령 증가에 따른 성장 변화량은 성장 예측 등의 교정적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되어왔다. 이에 3세에서 12세까지의 한국인 남여 아동 각 연령군에서의 두개 안면부의 경조직 계측치 평균과 신장, 체중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받은적이 없고, 성장과 발육에 장애가 없는 3세에서 12세까지의 소년 147명과 소녀 106명을 연구대상으로 만 2년간 두부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경조직 분석을 Burstone의 COGS논문에 기초하여 두개저, 상악골과 하악골, 수직 계측, 수평 계측, 상하악 기저골 관계 및 치성 계측의 6개 부분으로 나누어 성장과의 관계 및 키와 몸무게와의 관계를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 계측에서 N-Ar(FH), N-Ba(FH)의 최대 성장 증가량은 남녀 모두 체중과 신장의 최대 증가량을 나타내는 연령과 일치한다. 그 외의 항목은 일정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큰 증가를 보이지 않고 있어 두개저의 성장은 초기에 거의 완성됨을 알 수 있었다. 2. Genial angle은 남녀 모두에서 성장과 함께 점차 감소하였다. 3. ANS-Me(L)보다 N-ANS(L)가 더 많은 성장량을 보여 안면 형태에 많은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4. $N-A-Pog^{\circ}$ 은 연령증가와 더불어 감소하며 이는 하악골의 성장이 상악골의 성장량보다 빠르고 많았다. 5. 상하악 기저골 관계에서 Y-axis의 길이는 증가하지만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하악골은 두개저에 대해 일정방향으로 성장하였다. 6. 영구치 맹출과 더불어 Interincisal angle은 감소하였다.

  • PDF

두부규격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미소 시의 중안면부 연조직의 변화량 측정 (Cephalometric Evaluation of the Midfacial Soft Tissue Changes on Smiling)

  • 천강용;신동환;전원배;김수호;김유진;박형욱;조진용;윤준용;서미현;이원덕;서제덕;이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21-425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oft tissue changes of the midfacial area at the repose position and the natural smiling position for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and planning in the orthognathic surgery. Methods: The total of 30 subjects, 15 male and 15 femal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tal point landmarks were placed at the cheek, orbital rim, subpupil, and nasal base. The movements of the landmarks were evaluated at the repose position and smiling position in the lateral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Paired t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soft tissue changes statistically. Results: In the lateral cephalograms, the cheek point (4.49 mm in female, 4.87 mm in male) showed the most distant movement. All points presented significant movements, except the orbital rim and nasal base point in male. Cheek point presen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hange in male. Subpupil point presen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change in both male and female. In the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the nasal base point (5.41 mm in female, 6.30 mm in male) showed the most distant movement. Subpupil point and nasal base point presented significant movements in both female and male. Nasal base point present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hange in both male and female. In the lateral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the positional changes of all points presen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in both female and male. Conclusion: The cheek point in the sagittal view and the nasal base point in the frontal view showed the most distant movement on smile. In the sagittal view, the subpupil point and cheek point moved anteriorsuperiorly on smile. In the frontal view, the nasal base points moved laterosuperiorly on smile. In both the sagittal and frontal view, the positional changes of all point were highly correlated to each other. These results may be used in the soft tissue references for the treatment planning of the dentofacial deformity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