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UMIGATION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2초

Ethylene Oxide 처리와 Gamma가 조사가 건조 농산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ylene Oxide Fumigation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Dried Agricultural Products)

  • 조한옥;권중호;변명우;양재승;김영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3-141
    • /
    • 1986
  • 주요 농산 건조가공품에 오염된 미생물의 효과적인 살균법 개발을 목적으로, 현행방법인 ethylene oxide 훈증처리와 감마선 조사에 따른 미생물의 살균효과와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료의 미생물 오염도는 고추장 분말, 참깨, 느타리버섯 분말, 당근 flake의 순이었으며, 전세균이 $4.6{\times}10^{3}/g~1.5{\times}10^{6}/g$, 내열성 세균이 $1.3{\times}10^{3}/g~1.4{\times}10^{6}/g$, 산저항성 세균이 $8.4{\times}10^{2}.g~8.8{\times}10^{5}/g$, 내삼투압성 곰팡이를 포함한 곰팡이류는 $4.0{\times}10^{2}/g~1.5{\times}104/g$, 대장균군은 당근 flake를 제외한 나머지 시료에서 $4.0{\times}10^{3}/g~2.7{\times}10^{5}/g$ 정도로 오염되어 있어 위생적인 살균처리가 요구된다. 살균효과 실험에서는 대부분의 시료가 7~10 kGy의 감마선 조사로서 모든 미생물의 사멸이 가능하였으나 ethylene oxide 처리구에서는 전반적으로 전세균과 내열성 포자균 및 곰팡이의 살균이 불충분하였다. Ethylene oxide 처리는 시료의 색소, 아미노산, 무기질, 색도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나 적정선량의 감마선 조사는 이들에 대해 비교적 안전하였으며, 실온에서 3개월 동안 저장된 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감마선 조사구가 ethylene oxide 처리구나 대조구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 PDF

광릉긴나무좀, 왕녹나무좀, 노랑애나무좀 성충에 대한 포스핀의 훈증활성 (Fumigant Activity of Phosphine Against Three Wood Boring Beetles, Platypus koryoensis, Cryphalus fulvus, and Xyleborus mutilatus)

  • 조성우;김성일;김현경;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1-35
    • /
    • 2019
  • 많은 산림해충들은 목재검역에서 문제가 되고 있어 포스핀($PH_3$)을 이용하여 광릉긴나무좀, 왕녹나무좀, 노랑애나무좀의 성충에 대한 살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3종의 나무좀류에 대하여 99% 살충활성을 보이는 LCT값은 각각 3.192 (광릉긴나무좀), 0.994 (왕녹나무좀), $0.501mg{\cdot}h/L$ (노랑애나무좀) 순으로 나타났다. 포스핀을 처리한 3종의 나무좀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살충활성도 증가하였다. 특히 광릉긴나무좀에서는 0.4 mg/L 이상의 농도에서 약제처리 7일 후에 100%의 사충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포스핀이 3종의 목재해충 성충에 대해 메칠브로마이드의 대체훈증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valuation of Toxicity of Paper Mill Sludge to Honey Bees and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 Bisrat, Daniel;Ulziibayar, Delgermaa;Jung, Chuleu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15-323
    • /
    • 2019
  • Large amounts of sludge produced by paper mill industries represent one of the mos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world. Recently, beekeepers living in the neighborhood of the paper mill in Hwasan County, Youngcheon city, GB, Korea, became alarmed that honey bee colonies were dying off suddenly across the neighborhood.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oxicity (oral, fumigation, repellent) of recycled solid paper mill sludge (SPMS) and leachate paper mill sludge (LPMS) to honey bee worker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and to analyze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 The SPMS and LPMS were separately subjected to a liquid-liquid extraction (LLE) at three temperatures to extract VOC(highest VOC yields: 1.52% SPMS and 0.34% LPMS). A total of 70 chemicals were detected in the VOC of paper mill sludges, of which 49 and 21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SPMS and LPMS, respectively. The SPMS was dominated by high degree presence of stanols (saturated sterols), such as cholestanol, cholestan-3-ol and also saturated hydrocarbons. However, LPMS wa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sterols. Both SPMS and LPMS showed an influence on the olfactory behavior of honey bee on Y-tube assay, with repulsion rates of 72 and 68%, respectively. Both SPMS and LPMS at concentration of 100mg/mL caused higher honey bee oral mortality than the untreated controls at 48, 72, 96 and 120 hours after treatment(highest oral mortality at 120 hr: 85.74%(SPMS); 93.51 % (LPMS)). A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when honey bees were tested to fumigant toxicity. Both SPMS and LPMS caused significant higher mortality than the untreated control 24 hour after the exposure (highest fumigation mortality at 120 hr: 69.4% (SPMS); 56.8% (LPMS)). These preliminary results indicated that paper mill sludge could be partly responsible for sudden death and disappearance of honey bees, especially in hot humid summer days. With climate change, the risk of environmental chemical exposure to honey bee would pose greater attention.

늑골골절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최신 연구동향: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PubMed를 중심으로 (The Latest Research Trend on Korean Medicine of Rib Fractures: Focused on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PubMed)

  • 박은상;황현호;박기현;김호걸;임지성;강준혁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60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test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 nonsurgical treatment of rib fractures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Methods We searched for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1, 2015 to July 1, 2022 in PubMed and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based on keywords 'rib fracture'. 'Korean medicine', 'oriental medicine', 'TCM', 'moxibustion', 'acupunture', 'cupping', 'electroacupuncture', 'pharmacopuncture', 'fire needling'. Results A total of 79 studies were searched at first research. Then the studies were screening according to criteria and Finally 20 studies were selected. The oriental medical intervention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fumigation method, herbal medicine, external application, acupuncture, ointment, herb fomentation, Tending Diancibo Pu far-infrared therapy. Conclusions Various oriental medical interventions such as herbal medicine, acupuncture, fumigation, herb fomentation, ointment, and physical therapy are being studied abroad for the treatment of rib fractures.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research related to the nonsurgical treatment for rib fractures is needed in the future in korea.

Effects of chlorine dioxide gas fumigation on the storage quality of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 Cheongdobansi

  • Jiyoon Kim;Jung Soo Kim;Minhyun Kim;Ji Hye Kim;Insun Kim;Inju Nam;Jong-Kuk Kim;Kwang-Deog Moo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0-204
    • /
    • 2023
  • Because of their short harvest season, large quantities of persimmons must often be processed within a limited time. Therefore, new methods to extend their storage life are require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lorine dioxide (ClO2) gas fumigation for various treatment periods on the storage quality of astringent persimmons Cheongdobansi under low-temperature conditions. The conditions consisted of continuous treatment with ClO2, treatment for 2 weeks with ClO2, and no treatment, all of which are stored at low temperatures. Control samples (storage 0 days) without any treatment were prepared and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10 weeks at two-week intervals. The ClO2 gas treatment maintained the moisture content, color value, hardness, soluble tannin conte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However, ClO2 gas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soluble solids, pH, and total sugar content. In particular, continuous treatment with ClO2 maintained the storage quality after 6-8 weeks of storage, particularly the hardness and weakness (sensory evaluation). Th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of continuous treatment with ClO2 as a highly effective method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Cheongdobansi.

Methyl Bromide를 대체하는 훈증 가스의 문화재 재질 안정성 평가 (The Stability Appraisement on Cultural Property Material with the Replacing Fumigation Gas of Methyl Bromide)

  • 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3-291
    • /
    • 2009
  • 현재까지 문화재 훈증제로서 사용되어왔던 브롬화메틸(Methyl Bromide, 이하 M.B)은 온실 가스로 지구 오존층 파괴의 원인물질로 판명되어,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선진국에서는 2005년부터 사용이 금지되었다. 또한, 2007년 발리 협약에 의해 우리나라도 점진적으로 사용 규제가 예상되므로, 본 실험에서는 Methyl Bromide를 대체할 Ethylene Oxide + HFC 134a, Methyl Iodide, Cyanogen, Argon 훈증법이 금속(은, 구리, 철), 목재(미송), 안료(황, 장단, 양청, 백분, 먹), 섬유(삼베, 모시, 황마, 도침 비단, 비도침 비단 / 쪽, 황벽, 홍화 염색), 지류(닥지 4종, 중성지 1종) 시편 재질에 미치는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훈증 실험 결과, Ethylene Oxide + HFC 134a가 훈증 전, 후 실험 시편의 중량, 색도 변화 등에 가장 영향이 없었다. 표면변화는 지류와 금속시편에서 부분적으로 변색이 발생하였다. 색도변화는 대부분의 시편에서 0.5에서 1.5내외의 근소한 색차를 나타내었다. Methyl Iodide는 훈증 전, 후 중량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변화는 대부분의 실험시편에서 1.0 이상의 색차를 나타내었다. 특히, 염색된 대부분의 섬유시편에서 비교적 큰 색도변화가 나타났다. 표면변화는 양청안료시편에서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변색이 관찰되었다. Cyanogen은 훈증 전, 후 실험 시편의 중량변화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변화는 전반적으로 실험시편에서 1.5이상 정도의 색차를 보였다. 특히, 섬유시편의 변색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rgon으로 훈증한 실험시편은 중량변화가 3~6% 내외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변화는 지류시편에서 부분적으로 변색이 발생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색도변화는 2주 훈증 조건에서 홍화와 황벽으로 염색한 황마시편이 6.3, 6.0의 현저한 색차를 나타냈다.

  • PDF

경북지역(慶北地域)사과원(園)의 개식장해(改植障害) 발생가능성(發生可能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pple Replant Disease in Kyungpook Region)

  • 김규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91-99
    • /
    • 1993
  • 경북지방(慶北地方)사과원(園)의 사과나무 개식장해(改植障害) 발생여부(發生(與否)와 발생정도(發生程度)를 밝힐 목적(目的)으로 20년이상(年以上) 사과재배(栽培)가 계속되고 있는 23개(個) 사과원(園)의 토양(土壤)을 채취(採取)하여, 토양소독(土壤消毒)에 의(依)한 사과실생묘(實生苗)의 생장(生長)과 개식장해(改植障害)에 관련(關聯)된 것으로 알려진 몇 가지 요인(要因)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사과실생묘(實生苗)의 생장(生長)은 6개(個) 과원(果園)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있었고, 가장 큰 차이(差異)를 나타낸 과원(果園)에서 38% 증가(增加)되었다. 2. 생체중(生體重)에서는 지하부(地下部)가 4개원(個園), 지하부(地下部)가 10개원(個園) 전생체중(全生體重)에서는 9개원(個園)에서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었고, 지상부(地上部)에서 토양소독(土壤消毒)에 의(依)한 차이(差異)가 가장 현저(顯著)하였으며, 5개과원(個果園)에서는 50%이상(以上) 증가(增加)되었다. 3. 토양중(土壤中)의 Cu 및 As 농도(濃度), 토양선충수(土壤線蟲數)는 사과실생묘(實生苗)의 생장(生長)과 생체중(生體重)에 뚜렷한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4. 토양(土壤) PH와 개식장해발생간(改植障害發生間)에는 뚜렷한 관계(關係)를 확인(認定)할 수 없었다.

  • PDF

바퀴에 대한 Coriander Oil (Coriandum sativum) 성분의 훈증효과 (Fumigant Toxicity of the Constituents of Coriander Oil, Coriandum sativum against Blattella germanica)

  • 배정숙;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7-41
    • /
    • 2005
  • 바퀴벌레(Blattella germanica)에 대한 coriander oil (Coriandum sativum) 등 5종의 식물정유의 훈증독성을 조사하였다. 그들 중 spearmint oil이 20과 $10\;{\mu}{\el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모두 $100\%$의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Coriander를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alpha}$-pinene ($6.1\%$), camphene ($1.1\%$), ${\beta}$-pinene ($0.5\%$), ${\beta}$-myrcene ($0.8\%$), limonene ($2.5\%$), ${\gamma}$-terpinene ($4.5\%$), ${\rho}$-cymene ($1.8\%$), ${\alpha}$-terpinolene ($0.5\%$), camphor ($4.9\%$), linalool ($70.5\%$), ${\alpha}$-tepineol ($0.7\%$), geranyl acetate ($2.8\%$), geraniol ($1.4\%$)이 주요 구성성분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gamma}$-terpinene과 geranyl acetate가 $10\;{\mu}{\ell}/954\;ml$ (air) 약량에서 $100\%$의 높은 훈증독성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및 Methyl Bromide처리가 배 과실의 검역해충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Radiation ari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Quarantine Pest and Quality of Asian Pears)

  • 권중호;강호진;조덕조;정헌식;권용정;변명우;최성진;최종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7-63
    • /
    • 2002
  • 배(Pyrus pyrifolia cv. Niitaka) 과실의 검역해충 사멸을 위하여 methyl bromide (MeBr) 훈증의 대체방안을 연구할 목적으로 감마선 조사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배 과실에서 검역대상 해충으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와 사과응애(Panonychus ulmi Koch)가 동정되었다. 이들 해충들은 MeBr 훈증에 의해 처리 1일 후 완전 박멸되었으나, 감마선 처리에 의해서는 지효성을 보이면서 조사선량에 비례하여 사충률이 증가되었다. 과실의 호흡량은 조사선량의 증가와 MeBr 훈증에 의해 증가되었다. 과실의 과피 흑변과 과심 장해는 MeBr 처리에 의해 크게 촉진되었으며, 감마선 처리에서도 선량에 비례하여 촉진되었다. 과육경도와 표면색도는 MeBr의 영향 보다는 2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과육의 연화와 표면색도의 변화가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3 kGy 조사에 의해 다소 낮았으며, 아세트알데히드 함량은 처리조건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에탄올 함량은 3 kGy 조사에 의해 증가되었다. 관능적 품질특성은 1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Spearmint Oil의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Spearmint Oil against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Bemisia tabaci Adults)

  • 최유미;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3-328
    • /
    • 2004
  •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의 주요 해충인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spearmint oil의 훈증독성 및 접촉독성을 조사하였으며, gas chromatograph (GC)와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ry(GC/MS)를 이용하여 speamint oil의 주요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훈증독성 시험 결과, 온실가루이에 대해서 spearmint oil은 $10{\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99.1\%$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와 $1{\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각각 $91.7\%$$41.1\%$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spearmint oil은 $10{\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각각 $100\%$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와 $1{\mu}L/954mL$ air의 약량에서도 각각 100, $61.3\%$의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spearmint oil의 접촉독성은 살충효과가 $30\%$ 이하로 낮았다. Spearmint oil을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limonene ($16.1\%$), ${\gamma}$-terpinene($13.8\%$), ${\rho}$-cymene($5.8\%$), 3-octanol($6.9\%$), carvone($40.9\%$)이 주요 구성성분으로 나타났으며, 주요성분인 carvone 은 $10{\mu}L/954mL$ air 약량에서 $100\%$의 높은 훈증독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