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 harves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Follicular Unit Classification Method Using Angle Variation of Boundary Vector for Automatic Hair Implant System

  • Kim, Hwi Gang;Bae, Tae Wuk;Kim, Kyu Hyung;Lee, Hyung Soo;Lee, Soo In
    • ETRI Journal
    • /
    • 제38권1호
    • /
    • pp.195-205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follicular unit (FU)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an angle variation of a boundary vect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hairs in several FU images. The recently developed robotic FU harvest system, ARTAS, classifies through digital imaging the FU type based on the number of hairs with defects in the contour and outline profile of the FU of interest. However, this method has a drawback in that the FU classification is inaccurate because it causes unintended defects in the outline profile of the FU. To overcome this drawback, the proposed method classifies the FU's type by the number of variation points that are calculated using an angle variation a boundary vecto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robust and accurate for various FU shapes, compared to the contour-outline profile FU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ARTAS system.

Cloning of Phospholipase D from Grape Berry and Its Expression under Heat Acclimation

  • Wan, Si-Bao;Wang, Wei;Wen, Peng-Fei;Chen, Jian-Ye;Kong, Wei-Fu;Pan, Qiu-Hong;Zhan, Ji-Cheng;Tian, Li;Liu, Hong-Tao;Huang, Wei-Dong
    • BMB Reports
    • /
    • 제40권4호
    • /
    • pp.595-603
    • /
    • 2007
  • To investigate whether phospholipase D (PLD, EC 3.1.4.4) plays a role in adaptive response of post-harvest fruit to environment, a PLD gene was firstly cloned from grape berry (Vitis Vinifera L. cv. Chardonnay) using RT-PCR and 3'- and 5'-RACE.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809 residues) showed 84.7% identity with that of PLD from Ricinus communis. The secondary structures of this protein showed the characteristic C2 domain and two active sites of a phospholipid-metabolizing enzyme. The PLD activity and its expression in response to heat acclimation were then assayed. The results indicated PLD was significantly activated at enzyme activity, as well as accumulation of PLD mRNA and synthesis of new PLD protein during the early of heat acclimation, primary suggesting that the grape berry PLD may be involved in the heat response in post-harvest grape berry. This work offers an important basis for further investigating the mechanism of post-harvest fruit adaptation to environmental stresses.

고추 부위별추출물에 의한 종양세포의 세포사유도 - Hepatoma 세포와 MCE-7 세포 - (Induction of Cancer Cell Apoptosis by the Extract of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 Sorted According to the Parts in Hepatoma Cells and MCF-7 Cells)

  • 정용자
    • 약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57-68
    • /
    • 2003
  • Under the active search for biologically active novel agents for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some agents have been found from plants which are easily available. Our previous research on them revealed that C. annuum L. var. angulosum Mill have high antiproliferating effect on cancer cells. However, it has not been known whether the anticancer efficacy i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part of C. annuum L. var. angulosum Mill or whether it can be changed by timing of harvest or solvent for extraction. Thus we compared the efficacy of each part of C. annuum L. var. angulosum Mill and assessed how much difference in the efficacy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time of harvest or solvents for extraction. We observed the morphologic change and apoptosis 48 hr after treatment with the extract of each part of C. annuum L. var. angulosum Mill in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 and human hepatoma cells. We also counted cancer cells by trypan blue method and MTT method to check the cytotoxicity. The leaf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cancer effect among all the parts of C. annuum L. var. angulosum Mill; 50% and 70% reduction in the number of cancer cells was observed at 25 $\mu\textrm{g}$/mι and 50 $\mu\textrm{g}$/mι, respectively. It was more than 2 times as potent as 5-fluorouracil (5-FU). We found chromosomal fragmentation, clumping, and destuction by PI staining, and DNA fragmentation by electrophoresi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eaf extraction using water as solvent has the highest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activity in cancer cells compared with other parts of extraction.

벼 유수분화기 생장 및 질소영양상태에 따른 수량의 수비질소 반응 (Yield Response to Nitrogen Topdress Rate at Panicle Initiation Stage under Different Growth and Nitrogen Nutrition Status of Rice Plant)

  • 김민호;부금동;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71-583
    • /
    • 2006
  • 안정적인 고품질 쌀의 생산을 위한 수비처방을 하기 위해서는 유수형성기 생육상태와 질소영양상태별 질소시비량에 따른 수량반응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비와 분얼비 시용량을 달리하여 유수분화기에 다양하게 조성된 벼 생육 및 질소영양상태별로 수비 질소 시용량을 달리하였을 때의 수량반응을 질소시비량과 질소흡수량으로 살펴봄으로써 수비처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1. 기비 + 분얼비와 수비 시용량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어 수비 시용량에 관계없이 기비 + 분얼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기비 + 분얼비 시용량에 관계없이 수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영양생장기 시비량(기비 + 분얼비)이 $10{\sim}12\;kgN/10a$까지 생식생장기 시비량(수비)이 6 kgN/10a까지 증가할수록, 그리고 영양생장기 질소흡수량이 $6{\sim}7\;kgN/10a$까지 생식생장기 질소흡수량이 $5{\sim}6\;kgN/10a$까지 수량은 직선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그 이상일 경우 수량 증가폭은 점차 줄어들었는데, 이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이었다. 3. 단위질소흡수량당(kgN/10a) 총영화수($/m^{2}$) 증가는 영양생장기가 약 1900여개, 생식생장기가 $1400{\sim}1500$여개였지만 단위질소흡수량당 수량증가(kg/10a)는 영양생장기가 $30{\sim}50$, 생식생장기가 $40{\sim}80$ 정도였다. 4. 총영화수는 출수기 질소흡수량과 직선적인 관계를 보이고 수량은 시기별 질소흡수량의 다과에 상관없이 이들의 총합인 수확기 질소함량과 2차 곡선관계($R^2$>0.88)를 보였는데, 이는 어느 시기에 질소를 흡수하느냐보다는 생육기간의 총질소흡수량에 의해 수량이 좌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질소흡수량이 같더라도 총영화수와 수량은 연차간에 차이를 보였다.

유수분화기 식생지수와 SPAD값에 의한 벼 질소 수비 시용량 결정 (Determining Nitrogen Topdressing Rate at Panicle Initiation Stage of Rice based on Vegetation Index and SPAD Reading)

  • 김민호;부금동;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386-395
    • /
    • 2006
  • 목표 수량과 단백질함량을 얻기 위한 질소 수비처방을 위해서는 유수형성기 전후 생체정보의 정확한 진단뿐만 아니라 유수형성기 이후 작물의 질소 축적 및 이에 따른 수량 및 미립 단백질 함량 반응이 정량화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영양상태를 잘 대표하는 RVI green과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SPAD값의 유수분화기와 유수분화기 1주일전의 측정치 및 유수분화기부터 수확기까지 즉 생식생장기 지상부 질소 축적량(PNup)을 변수로 하는 수량 및 단백질함량 예측 중회귀 모델과 PNup 예측 회귀모델을 작성하여 이들의 수비 처방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유수분화기 및 유수분화기 1주일전의 RVIgreen과 SPAD값, 그리고 PNup을 이용하여 얻은 수량과 단백질함량의 중회귀모형은 어느 경우에나 모델의 결정계수($R_{2}$)가 0.9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2. 수량을 최대로 하는 생식생장기 질소흡수량(PNup)은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본 연구의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 범위로 보면 $9{\sim}13.5kg/10a$ 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PNup은 유수형 성기 전후 SPAD값과는 무관하게 $10{\sim}11kg/10a$ 범위로 나타났다. 3. 미립의 단백질함량을 7% 이하로 하는 유수형성기 질소흡수량은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과 SPAD값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어느 경우에나 $6{\sim}8kg/10a$로 추정되어 최대수량을 위한 생식생장기 질소흡수량 $9{\sim}13.5kg/10a$ 보다 크게 낮았다. 따라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수비 처방을 위해서는 수량보다도 단백질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처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본 실험결과 수비질소의 회수율은 $53{\sim}83%$의 변이를 보였는데, 생식생장기 생육량이 많을 수록 회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수비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생식생장기 천연질소공급량은 $3{\sim}4kg/10a$ 범위였으며 유수분화기 생육량이 많을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수비 질소시비량 및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 영양 지표들을 예측변수로하는 PNup 예측모델을 작성하였으며 이 모델들은 적합도가 매우 높았다. 5. 영양생장기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의 비파괴적 측정치를 이용하여 목표 수량과 단백질함량에 달할 수 있도록 수비질소 시용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한 모델들이 광범위한 조건에서 이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품종, 토양, 기상 조건에서 모델의 검증과 보완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