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SG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8초

A Successfully Treated Case of Recurrent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with Plasmapheresis and High dose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 Her, Sun Mi;Lee, Keum Hwa;Shin, Jae Il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65-168
    • /
    • 2017
  •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in children, which is a kind of nephrotic syndrome showing steroid resistance, usually progresses to a substantial number of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Although the pathogenesis of primary FSGS is unclear, several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FSGS is associated with circulating immune factors such as soluble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receptor (suPAR) or anti-CD40 autoantibody. We report a successfully treated case of a 19-year-old female patient who experienced a recurrence of primary FSGS. After the diagnosis of FSGS, the patient progressed to ESRD and received a kidney transplantation (KT). Three days later, recurrence was suspected through proteinuria and hypoalbuminemia. She has been performed plasmapheresis and high dose methylprednisolone pulse therapy and shown remission status without increasing proteinuria for four years after KT. In conclusion, strong immunosuppressive therapy may be helpful for a good prognosis of recurrent FSGS, suppressing several immunologic circulating factors related disease pathogenesis.

단백질체학을 이용하여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과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의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FSGS and MCNS Using Proteomic Method in Childhood Nephrotic Syndrome; Preliminary Study)

  • 김성도;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70-175
    • /
    • 2009
  • 목적 :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환아들은 어떤 종류의 약물치료에도 잘 반응하지 않고 점차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사이의 단백질 발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미세 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신장 조직 샘플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들에 대해 2차원 전기영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개의 단백체로 분리한 후 실버 염색을 하였다. 분리한 단백질은 MASCOT Peptide Mass Fingerpri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결과 : 미세변화형 신증후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신장 조직에서 서로 상반된 발현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중 가장 크고 두드러지게 발현되는 부위를 잘라내어 단백질 분석을 시행한 결과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에서만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단백질이 발현 되었다. 결론 : 상기 결과는 비록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병태생리를 알기 위한 기초연구였으나 본 연구에서 밝혀진 glutathione S-transferase P1-1 은 향후 질병의 기전을 밝히는데 있어서 중요한 소견으로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초점분절사구체경화증에서 발세포병증과 형태 변화 (Podocytopathy and Morphologic Changes in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정현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1호
    • /
    • pp.13-18
    • /
    • 2013
  • 발세포병증은 발세포의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사구체질환이다. 발세포의 손상은 여러 사구체질환에서 관찰될 수 있으나, 미소변화질환과 FSGS에서 주요 병인으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는 FSGS에서 발세포 손상의 형태 변화와 분절경화의 유형을 설명하고자 한다. 발세포가 손상되면 형태 변화로 발돌기의 소실, 발세포 세포질 내 공포, 발세포하 낭 등이 관찰되며, 심하면 발세포의 탈락 및 자멸사가 관찰된다. 그러나 분절경화가 초래되기까지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발세포의 소실이 있어야 하며, 손상된 발세포는 동일한 사구체 소엽 내 주변 발세포로 손상을 전파하여 병변이 커지게 된다. FSGS는 광학현미경 소견을 기초로 NOS형, perihilar형, cellular형, tip형, collapsing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각 아형에 따라 임상 경과나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반응이 다르고 흔히 동반되는 임상 조건들도 다르다고 보고되었으나 이에 대하여는 아직도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FSGS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 정보와 혈액 내 투과인자의 성분 등 관련된 인자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면 FSGS에서 관찰되는 조직 변화나 병태생리를 더 잘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미세변화형 신증후군(MCNS)으로부터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SGS)으로 이행된 환아의 임상양상 (Clinical Analysis of Children with Transitory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MCNS) to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CS))

  • 이지은;육진원;이의성;김지홍;김병길;정현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4권1호
    • /
    • pp.17-24
    • /
    • 2000
  • 목 적 :소아의 원발성 신증후군 중 $85\%$이상을 차지하는 미세변화형 신증후군(MCNS)은 스테로이드 치료로 완전 관해가 잘 오는 예후가 양호한 질환이다. 반면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SGS)은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신부전으로의 진행 및 신이식 후의 재발률이 높아 장기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검상 MCNS로 진단된 환아 중 여러 약물 요법에 반응이 불량하거나 증세의 악화가 있어 추적 관찰하며 시행한 2차 신생검상 FSGS로 조직 소견의 변화를 보이는 경우가 드물게 있어 본 저자들은 이들의 임상 양상의 특징을 비교 고찰하여 MCNS로부터 FSGS로 이행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세브란스 병원 소아과에서 신장생검 상 미세변화형 신증후군 및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으로 진단받고 치료 중인 환아 2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 병리 소견상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을 보인 군(MCNS군),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을 보인 군(FSGS군)및 MCNS로부터 FSGS로 이행된 군(이행군)등 3개 군으로 나누어 이들 각 군의 임상 양상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는 MCNS군 241명($81.4\%$), FSGS군 47명($15.9\%$), 이행군 8명($2.7\%$)으로 총 296명 이었으며, 평균 발병 연령은 MCNS군 $6.0{\pm}2.6$세, FSGS군 $7.2{\pm}4.3$세, 이행군 $8.3{\pm}2.6$세였고, 남녀비는 MCNS군 3.7:1, FSCS군 1.8:1, 이행군 3:1이었다. 내원 당시의 혈뇨, 고혈압, 24시간 뇨단백량, 혈청 알부민, 혈청 콜레스테롤, 혈청 크레아티닌 등을 비교하였으며, 이중 이행군:FSGS군 간의 비교에서 24시간 뇨단백량 $686:342mg/m^2/hr$(P<0.05), 혈청 알부민 1.92:2.47g/dL(P<0.05), 혈청 콜레스테를 494:343 mg/dL(P<0.05)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 이외에는 이행군과 FSGS군 또는 MCNS군과의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스테로이드 치료에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는 MCNS군 $13.3\%$,이행군 $12.5\%$,FSGS군 $59.6\%$로 FSGS군이 의미있게 많았으며(P<0.05), 스테로이드 이외의 면역억제제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는 MCNS군 $58.5\%$, 이행군 $100\%$, FSGS군 $80.8\%$로 MCNS군에 비해 이행군과 FSGS군이 의미있게 높았다(P<0.05). 평균재발횟수는 MCNS군 $0.84{\pm}0.21$회/6개월, 이행군 $1.07\pm}0.53$회/6개월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관해에서 첫 재발까지의 기간 역시 MCNS군 6.94${\pm}$1.92개월, 이행군 $6.71{\pm}4.89$개월, FSGS군 $5.27{\pm}12.48$개월로 각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에서 치료 경과중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으로 이행된 예는 전체 MCNS의 249명중 8명으로 $3.2\%$였다. 이들의 임상양상의 특징을 비교 고찰한 결과 이행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위험요인은 없었다. 미세변화형 신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아 중에서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자주 재발하는 경우, 또는 강력한 면역치료에도 관해가 오지 않는 경우 등에는 신장 조직 생검을 재시행하여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으로의 이행 여부를 확인해야 하겠다.

  • PDF

Renal transplantation in a patient with Bartter syndrome and glomerulosclerosis

  • Lee, Se-Eun;Han, Kyoung-Hee;Jung, Yun-Hye;Lee, Hyun-Kyung;Kang, Hee-Gyung;Moon, Kyung-Chul;Ha, Il-Soo;Choi, Yong;Cheong, Hae-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1호
    • /
    • pp.36-39
    • /
    • 2011
  • Bartter syndrome (BS) is a clinically and genetically heterogeneous inherited renal tubular disorder characterized by renal salt wasting, hypokalemic metabolic alkalosis and normotensive hyperreninemic hyperaldosteronism. There have been several case reports of BS complicated by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Here, we have reported the case of a BS patient who developed FSGS and subsequent end-stage renal disease (ESRD) and provided a brief literature review. The patient presented with classic BS at 3 months of age and developed proteinuria at 7 years. Renal biopsy performed at 11 years of age revealed a FSGS perihilar variant. Hemodialysis was initiated at 11 years of age, and kidney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at 16 years of age. The post-transplantation course has been uneventful for more than 3 years with complete disappearance of BS without the recurrence of FSGS. Genetic study revealed a homozygous p.Trp(TGG)610Stop(TGA) mutation in the CLCNKB gene. In summary, BS may be complicated by secondary FSGS due to the adaptive response to chronic salt-losing nephropathy, and FSGS may progress to ESRD in some patients. Rena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BS and ESRD results in complete remission of BS.

다른 면역 억제제에 듣지 않는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 환자에서 Cyclosporin A 2차 치료에 의한 완해 경험 (Second Trial of Cyclosporin A-Induced Remission in Other Immunosuppressant Therapy-Resistant FSGS Patient)

  • 조희연;이범희;강주형;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1호
    • /
    • pp.83-90
    • /
    • 2005
  •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FSGS) has been detected in approximately 10% of cases of Idiopathic nephrotic syndrome in children, and exhibits a poor response to initial steroid therapy, as well as a higher rate of progression to chronic renal failure and relapse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We describe a case of an eleven year-old boy with steroid-resistant FSGS who exhibited a response to a second trial of cyclosporin h(CsA) therapy. At the age of 26 months, this patient was diagnosed with steroid-resistant FSGS. For 9 years, he had undergone a gauntlet of therapies to induce remission; oral steroids, cyclophosphamide, methylprednisolone(mehyIPd) pulse therapy, CsA, and ibuprofen therapy. Although these therapies failed to induce remission, the patient's renal function remained In the normal range during the nine years of treatment. At the age of ten years, the patient's proteinuria decreased, and complete remission was attained with a second administration of CsA, coupled with a low dose of oral steroids. This patient continues to receive CsA without relapse. Therefore, our major concern involves the possibility of relapse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CsA therapy Our findings in this case suggest that, in cases of refractory FSGS, if renal insufficiency does not emerge, aggressive therapy for the amelioration of proteinuria should be continuously pursued.

  • PDF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신병증의 동물 모델 (FGS/kist 생쥐) 신 조직의 유전자 발현 양상 (Transcriptome Profiling of Kidney Tissue from FGS/kist Mice, the Korean Animal Model of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강희경;이병섭;이철호;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5권1호
    • /
    • pp.38-48
    • /
    • 2011
  • 목 적: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이하 FSGS)은 소아신부전의 원인 중 가장 흔한 사구체 질환이다. 일차성 FSGS의 병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저자들은 FSGS의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cDNA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양상 분석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 수준에서의 FSGS의 질환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사람의 일차성 FSGS와 유사한 질병경과를 보이는 동물모델인 FGS/kist 생쥐의 신피질 조직을 대조군 생쥐(FGS/kist 생쥐의 조상 strain인 RFM/kist 생쥐)와 AB 1700 mouse chip을 이용한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FGS 질병특이 유전자가 62개 추출되었다. 이들은 세포주기/사멸, 면역반응과 지질 대사/혈관 질환과 관련된 유전자들로써, 유전자간 network의 중심유전자가 면역반응(TNF, IL-6/4, IFNg)과 세포사멸 조절 유전자(TP 53), 그리고 지질대사의 중요 유전자인 PPARG이었다. 결 론: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자발적인 FSGS의 임상경과를 보이는 FGS/Kist 생쥐의 신장조직의 유전자 발현의 분석을 통하여 신장세포사멸과 면역반응에 뒤따르는 기질 섬유화, 그리고 지질 대사의 이상과 조기 혈관 질환이 FSGS의 병태생리에 기여할 것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인 연구가 계속된다면 global transcriptome profiling 기법으로 병인 탐색 및 치료방법 개발 에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in a Child with Prader-Willi Syndrome : A Case of Obesity-associated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Cho Hee-Yeon;Chung Dae-Lim;Kang Ju-Hyung;Ha Il-Soo;Cheong Hae-Il;Choi Yong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2호
    • /
    • pp.244-249
    • /
    • 2004
  • 비만성 사구체경화증(obesity-associated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은 비만과 부종이 없는 신증후군 범위의 단백뇨, 사구체 비대 및 경화 등의 임상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다수의 환자에서 신부전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자들은 부종 없이 심한 단백뇨와 저알부민혈증을 보인 14세의 Prader-Willi 증후군 여아에서 신생검을 통하여 사구체비후와 메산지움 증식이 동반된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경화 소견을 관찰하였다 이로써 소아의 Prader-Willi 증후군에서도 비만성 사구체경화증에 의한 신부전으로의 진행 위험이 있음을 알리는 바이다.

  • PDF

Circulating Permeability Factors in Idiopathic Nephrotic Syndrome

  • Ha, Tae-S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7-21
    • /
    • 2019
  • Nephrotic syndrome (NS) is a common chronic glomerular disease in children characterized by significant proteinuria with resulting hypoalbuminemia, edema, and hyperlipidemia. Renal biopsy findings of diffuse foot processes effacement on electron microscopy and minimal change disease,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or diffuse mesangial proliferation on light microscopy. It has been speculated that circulating permeability factors would be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NS because they have been reportedly detected in the sera of patients and in experimental models of induced proteinuria. Moreover,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patients with primary FSGS recurrence shortly after transplantation. This report reviews the current knowledge regarding the role of circulating permeability factors in the pathogenesis of proteinuria in NS and suggests future targeted therapeutic approaches for NS.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의 병리와 분류 (Pathology and Classification of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김용진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6권1호
    • /
    • pp.21-31
    • /
    • 2012
  •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은 경화증을 주 병변으로 하는 질환으로서 일차성 사구체 질환의 하나이면서 진행된 사구체 질환의 형태적 변화를 기술하는 단어로도 사용되고 있다. 사구체에는 경화증, 유리질 형성, 거품세포의 출현, 발세포의 공포화, 광륜형성 등이 보이고, 간질의 섬유화와 염증세포의 침윤, 세뇨관의 위축, 혈관의 비후 및 내막 섬유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면역형광검사에서 부분적으로 IgM과 C3 등의 침착을 보이지만 면역관련 질환은 아니다. 전자현미경 검사에서는 발세포의 손상 현상으로 세포질 내의 공포화와 족돌기가 상실되는 것이 중요 소견이다. 2004년 표준화 된 FSGS의 분류는 과거의 형태학적 변형들을 모아서 임상과의 상관관계를 지웠다. 그 결과 tip형이 가장 예후가 좋으며, collapsing형이 가장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분류가 증례에 따라서는 적용하기가 애매한 경우가 많고, collapsing형을 FSGS에 분류하는 것에 대한 반론 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임상적으로는 FSGS를 원인에 따라 분류하여 거꾸로 형태학적 공통점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사구체의 수가 적어서 일어나는 과여과로 인한 FSGS는 perihilar형이 많고 유전적 질환에 의한 것은 diffuse mesangial sclerosis가 특징인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 FSGS는 이와 같이 아직도 밝혀져야 할 것이 많은 질환이며,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